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돌봄 노동의 성격규정과 그 가치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spec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are work for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1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8년도 유례없는 최저시급 인상에도 불구하고 요양보호사는 주휴수당과 연차수당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최저임금보다 못한 임금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왜 여전...

      본 연구는 2018년도 유례없는 최저시급 인상에도 불구하고 요양보호사는 주휴수당과 연차수당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최저임금보다 못한 임금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왜 여전히 돌봄 노동이 불안정한 저임금 노동의 프레임 안에 갇혀있는지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검토를 통해 돌봄 문화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돌봄 성격을 규정하였고, 나아가 제대로 된 돌봄 노동의 가치를 재평가하기 위해서 우리사회가 지향해야할 돌봄 가치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나타나는 돌봄 노동은 여성인력을 중심으로 상품화된 사회적 돌봄,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젠더화된 돌봄, 친밀한 가족‘같은’ 전문 돌봄의 성격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이러한 세 가지 특성들이 돌봄 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에 제대로 된 돌봄 노동의 가치 평가를 위해 우리사회가 지향해야할 돌봄 가치 방안으로 돌봄의 주류화(mainstreaming)를 통한 사회화된 돌봄, 돌봄의 개별성과 전문적 재량권의 가치인정, ‘돌봄의 특성’이 고려된 공공재로서 돌봄 노동에 관해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돌봄 노동에 대한 낮은 사회적 가치평가 원인으로 제도와 문화 사이에서 발생하는 돌봄 성격을 규정하고, 나아가 제대로 된 돌봄 노동의 가치 평가를 위한 방안으로 우리사회가 지향해야할 돌봄 가치에 관해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기본 함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bout the reasons why care work was still trapped within the framework of unstable low-wage labor. Trying to find the answers, the investigator reviewed related literature, defined the nature o...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bout the reasons why care work was still trapped within the framework of unstable low-wage labor. Trying to find the answers, the investigator reviewed related literature, defined the nature of care around the care culture and the key elemen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examined the care values that the society should be oriented toward reassessing the values of care work. The findings show that care work had the following nature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commercialized social care, gendered care “considered to be feasible by anyone”, and professional care "like a immediate family”.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for the values of care: socialized care through the mainstream of care, recognition of a care receiver’s individuality and care provider’s professional discretionary power, and values of care work as public go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spread the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care in care work at the institutional level and at the care culture level for enhancing low social valuation of the care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돌봄 노동
      •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돌봄 성격
      • 4. 재평가를 위한 노인 돌봄 가치
      • 요약
      • 1. 서론
      •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돌봄 노동
      •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돌봄 성격
      • 4. 재평가를 위한 노인 돌봄 가치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근, "현대 복지국가의 ‘돌봄’ 위기에 대응하는 유교사상의 정책 담론 도출에 관한 연구 - 노인에 대한 ‘좋은 돌봄(good care)’의 이념 구상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4) : 209-247, 2011

      2 김영란, "한국의 사회적 위험 변화와 가족위험" 한국가족학회 26 (26): 151-188, 2014

      3 김찬우,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노인돌봄문화에 대한 탐색적 고찰"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4) : 82-115, 2014

      4 공병혜, "한국사회에서 노인돌봄" 한국여성철학회 13 : 1-22, 2010

      5 "최저임금 올랐지만, 요양보호사에겐 ‘그림의 떡"

      6 "최저임금 올랐다고 요양보호사‘처우개선비 삭감’ 논란"

      7 류임량, "제도화된 돌봄노동자의 역할 구성과 직업지위 — 재가 요양보호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7 (17): 189-231, 2017

      8 권수현,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돌봄 노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성별화된 관계 노동 특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9 최희경, "저소득층 노인과 방문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유사가족관계 연구" 한국가족학회 20 (20): 63-97, 2008

      10 윤연숙, "재가요양보호사의 경험을 통한 공적돌봄의 성격 분석 : ‘감정노동’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17

      1 오세근, "현대 복지국가의 ‘돌봄’ 위기에 대응하는 유교사상의 정책 담론 도출에 관한 연구 - 노인에 대한 ‘좋은 돌봄(good care)’의 이념 구상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4) : 209-247, 2011

      2 김영란, "한국의 사회적 위험 변화와 가족위험" 한국가족학회 26 (26): 151-188, 2014

      3 김찬우,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노인돌봄문화에 대한 탐색적 고찰"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4) : 82-115, 2014

      4 공병혜, "한국사회에서 노인돌봄" 한국여성철학회 13 : 1-22, 2010

      5 "최저임금 올랐지만, 요양보호사에겐 ‘그림의 떡"

      6 "최저임금 올랐다고 요양보호사‘처우개선비 삭감’ 논란"

      7 류임량, "제도화된 돌봄노동자의 역할 구성과 직업지위 — 재가 요양보호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7 (17): 189-231, 2017

      8 권수현,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돌봄 노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성별화된 관계 노동 특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9 최희경, "저소득층 노인과 방문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유사가족관계 연구" 한국가족학회 20 (20): 63-97, 2008

      10 윤연숙, "재가요양보호사의 경험을 통한 공적돌봄의 성격 분석 : ‘감정노동’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17

      11 석재은, "장기요양보험수가개발의 특성과 정책과제" 2008

      12 이현정, "장기요양기관 내 위험발생가능성, 감정노동, 감성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191-218, 2017

      13 박홍주,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경험을 통해 본 돌봄노동의 의미구성과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4 박기남, "유료 재가 노인 돌봄 노동과 돌봄 관계의 특성" 한국가족학회 21 (21): 73-107, 2009

      15 강혜경, "유교문화속의 여성의 자아 -수용성(Receptivity)과 감응성(Responsiveness)을 중심으로-" 유교문화연구소 1 (1): 83-108, 2009

      16 "월 평균 급여 87만원, 돌봄 노동에 드리운 그림자들"

      17 임성옥,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3 (13): 153-178, 2011

      18 이윤석,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 및 제도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2 (32): 305-321, 2012

      19 김정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302-334, 2018

      20 이용갑, "요양보호사 처우개선 및 수급안정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 보건복지부・인천발전연구원 2015

      21 조순경, "여성직종의 외주화와 간접차별:KTX 승무원 간접고용을 통해 본 철도공사의 체계적 성차별" 한국여성학회 23 (23): 143-176, 2007

      22 이재경,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15 (15): 55-86, 1999

      23 반정호, "사회서비스 부문 숙련공간의 탐색" 한국노동연구원 2014

      24 송다영, "사회복지부문 돌봄 관련 일자리의 질 저하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소 7 (7): 7-42, 2014

      25 허라금, "보살핌의 사회화를 위한 여성주의의 사유" 한국여성학회 22 (22): 115-144, 2006

      26 석재은, "방문요양 수가 및 급여기준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27 조은, "모성의 사회적, 역사적 구성: 조선 전기 가부장적 지배 구조의 형성과 ‘아들의 어머니’" 55 : 73-103, 1999

      28 이주환, "돌봄직의 임금불이익과 임금격차 분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33-57, 2015

      29 함선유, "돌봄직 종사자의 저임금 기제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23 (23): 131-175, 2017

      30 석재은, "돌봄정의(Caring Justice) 개념구성과 한국 장기요양정책의 평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57-91, 2018

      31 이선미, "돌봄의 특성과 돌봄 공공성의 요건" 한국이론사회학회 (29) : 223-260, 2016

      32 윤자영, "돌봄서비스 일자리 근로조건의 현황과 과제" 82 : 52-66, 2012

      33 김송이,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2 (82): 103-136, 2012

      34 김경희, "돌봄노동의 상품화를 통해 본 모성과 노동"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71-106, 2008

      35 "돌봄 노동자 저임금, 건강위험 등 노동환경 심각"

      36 박영란, "돌봄 노동 여성의 욕구와 노인요양보장 정책"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27-56, 2007

      37 이우종, "도시개발이익의 합리적 공유방안 마련연구" 대한국토도시학회 2014

      38 최희경,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돌봄 정의"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103-130, 2018

      39 신수진, "노인장기요양보험 요양시설의 원가관점 수가 추정" 2 : 1-26, 2017

      40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급여안내책자"

      41 김신숙,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보상만족과 소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159-182, 2014

      42 공선희, "노인들의 가족돌봄에 대한 기대변화와 정책욕구" 한국사회학회 47 (47): 277-312, 2013

      43 석재은, "노인돌봄 공적재가서비스 이용에 따른 노인과 가족 간 관계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학회 21 (21): 29-61, 2009

      44 정소연,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 효과성과 영향 요인: 노인부양가족 생활상의 긍정적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1 (21): 117-149, 2009

      45 최인덕, "노인 장기요양 보험 대상자 및 시설, 인력 추계"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375-400, 2010

      46 김미주, "노동과 페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47 정고미라, "노동과 페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48 이승훈,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3) : 13-45, 2008

      49 이호용, "국가작용으로서 사회보장의 시장화에 대한 평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3 (33): 135-160, 2016

      50 허라금, "관계적 돌봄의 철학: ‘필요의 노동’을 넘어 ‘정치적 행위’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5) : 67-90, 2018

      51 한미경, "공적 영역(Public Sphere)에서 수행되는 노인 돌봄노동 성격에 관한 연구 : 장기요양보험법 시행에 따른 방문요양보호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2 김혜경, "가족/노동의 갈등구조와 '가족연대'전략을 중심으로 본 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 한국가족학회 14 (14): 2-2, 2002

      53 "‘손빨래 해라’김장 담가라..‘을 중의 을’ 요양보호사"

      54 Shorter, E., "The making of the modern family" Basic Books 1975

      55 Fineman, M., "The autonomy myth: A Theory of Dependence" The New Press 2004

      56 Hoschschild, A., "The Managed Heart :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57 Daly, M.,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51 (51): 281-298, 2000

      58 Mary, D,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51 (51): 281-298, 2000

      59 Stacey, C. L., "The Caring Self: The Work Experiences of Home Care Aides" ILR Press 2011

      60 Tronto, J. C., "The "Nanny” Question in Feminism" 17 (17): 34-51, 2002

      61 Engster, D., "Rethinking Care Theory: The Practice of Caring and the Obligation to Care" Wiley Blackwell 2005

      62 Dong, X. -y., "Relative Pay of Domestic Eldercare Workers in Shanghai, China" 23 (23): 135-159, 2017

      63 Drew, Eileen, "Reconceptualizing Families"

      64 Ungerson, "Personal Assistants and Disabled People: An Examination of Hybrid Form of Work and Care" 13 (13): 583-600, 1999

      65 Tronto, J. C., "Moral Boundaries : A Political Argument for an Ethic of Care" Routledge 1993

      66 Kittay, E., "Love’s Labor : Essay on women, equality, and dependency" Routledge 1999

      67 Lynch, K., "Love Labour as a Distinct and Non-commodifiable Form of Care Labour" 55 (55): 550-570, 2007

      68 Becker, G. 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alysis" 9-49, 1962

      69 "Hom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Folbre, N., "For Love or Money-or Both?" 14 (14): 123-140, 2000

      71 Phillips, A., "Feminist Review" Virago 1986

      72 Zechner, M. m, "Family Commitments under Negotiation: Dual Carers in Finland and Italy" 38 (38): 640-653, 2004

      73 England, P., "Emerging Theories of Care Work" 31 : 381-399, 2005

      74 Glenn, E. N., "Creating a Caring Society" 29 : 84-94, 2000

      75 Fisher, B., "Circles of Care: Work and Identity in Women’s liv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76 Kremer. M., "Child care policy at the crossroads: gender and welfare states restructuring" Routledge 2002

      77 Standing, G., "Carework: the Quest for Security" ILO 2001

      78 Gordon, S., "Caregiving: Readings in Knowledge, Practice, Ethics, and Poli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6

      79 Ruddick, S., "Care as Labor and Relationship In Joram G. Haber and Mark S. Halfon. Norms and Values: Essays on the Work of Virginia Hel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ocial Policy Review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al Policy Review ->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6 1.54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