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와 대학생의핵심역량 간의 연계성 분석: D 대학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Liberal Arts based on Core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D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0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beralarts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set for each university and perceived learningperformance level are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y level(correla...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beralarts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set for each university and perceived learningperformance level are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y level(correlation, regression, and IPA). Tothis end, students at D university were asked to respond using DEU liberal arts education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questions and the DEU-CCDS(core competency scale). As a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except for 'democraticcommun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andlearning outcomes of liberal arts educ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all core competencies exceptfor ‘democratic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IPA analysis, the corecompetency component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the areas of maintenance reinforcement(5), continuity maintenance(1), and progressimprovement(1). In addition, the core competency components related to the learning outcomesof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of maintenance reinforcement(5), continuitymaintenance(1), progressive improvement(3), and focus improvement(1). This is significant inthat the quality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satisfaction andlearning outcom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competencycomponent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설정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에 대해 대학생이 얼마나 만족하는지의 정도와 자신이 지각한 학습성과 수준이 이들의 핵심역량 수준과 연계된 정도를 상관, 회귀 및 IPA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설정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에 대해 대학생이 얼마나 만족하는지의 정도와 자신이 지각한 학습성과 수준이 이들의 핵심역량 수준과 연계된 정도를 상관, 회귀 및 IPA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DEU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 문항과 DEU-CCDS(핵심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민주적의사소통’핵심역량 구성요소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교양교육의 만족도및 학습성과가 ‘민주적의사소통’을 제외한 모든 핵심역량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IPA 분석 결과, 교양교육의 만족도와 관련된 핵심역량 구성요소들은 유지강화(5개), 지속유지(1개) 및 점진개선(4개)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교양교육의 학습성과와 관련된 핵심역량 구성요소들은 유지강화(5개), 지속유지(1개), 점진개선(3개) 및 중점개선(1개) 영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를 통해 교양교육의 질적 수준을 확인함과 동시에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