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 주문 도자기의 특징과 부산 왜관요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주문다완(御本茶碗)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Busan Waegwanyo Kiln - With a focus on made-to-order tea bowl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7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the Busan Waegwanyo Kiln set up to supply ceramics needed for the Japanese tea ceremony amidst Joseon-Japan relations after Imjinwaera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de-to-order ceramics those days based on order sheets filled out for custom made ceramics. As Japan developed its unique tea ceremony culture called Chadoyu, Japanese people got to pay attention to ceramics of Joseon that perfectly fit their "Wabi” spirit. As the desire for Joseon-made bowls grew among Japanese people, the shogunate of Japan ordered the Beonju of Tsusima to ensure the supply of tea bowls to be used in the tea ceremony.
      The Beonju of Tsusima thus set up the Busan Waegwanyo Kiln in Waegwan, Busan after getting consent from the Joseon government, beginning to manufacture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in full scale. By analyzing the order sheet titled "Eojomulgong” filled out to process an order those days, the investigator found ou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first, orders were concentrated on tea bowls in the early days, but their order volum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with growing orders for tea service including vases and incense burners; secondly, there was preference for articles with "pine, bamboo & apricot trees”, "peonies” and "arabesque” patterns reflecting the taste of Japanese shogunate or daimyos. This trend was seen in overall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and finally, the preference for "pine, bamboo & apricot tree” patterns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Japan accepted Confucianism, as well. Accounting for the biggest proportion in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made-to-order tea bow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formative features including Woongcheon, Tonghyeong, and Ido tea bowls. Ogi and Eobon tea bowls represent made-to-order tea bowls produced at the Busan Waegwanyo Kiln. Both of them were huge hits as the best tools for the tea ceremony well equipped what the Japanese shogunate and daimyos wanted those days, having enormous impacts on the tea ceremony culture of Japan.
      The made-to-order tea bowls produced at the Busan Waegwanyo Kiln are the products of Joseon's soil, ceramic masters' techniques, and Japanese people's taste. In the future, more ongoing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topic will hopefully lay a foundation for exchanges in ceramic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history of ceramics.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the Busan Waegwanyo Kiln set up to supply ceramics needed for the Japanese tea ceremony amidst Joseon-Japan relations after Imjinwaera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de-to-order ceramics those days based...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the Busan Waegwanyo Kiln set up to supply ceramics needed for the Japanese tea ceremony amidst Joseon-Japan relations after Imjinwaera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de-to-order ceramics those days based on order sheets filled out for custom made ceramics. As Japan developed its unique tea ceremony culture called Chadoyu, Japanese people got to pay attention to ceramics of Joseon that perfectly fit their "Wabi” spirit. As the desire for Joseon-made bowls grew among Japanese people, the shogunate of Japan ordered the Beonju of Tsusima to ensure the supply of tea bowls to be used in the tea ceremony.
      The Beonju of Tsusima thus set up the Busan Waegwanyo Kiln in Waegwan, Busan after getting consent from the Joseon government, beginning to manufacture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in full scale. By analyzing the order sheet titled "Eojomulgong” filled out to process an order those days, the investigator found ou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first, orders were concentrated on tea bowls in the early days, but their order volum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with growing orders for tea service including vases and incense burners; secondly, there was preference for articles with "pine, bamboo & apricot trees”, "peonies” and "arabesque” patterns reflecting the taste of Japanese shogunate or daimyos. This trend was seen in overall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and finally, the preference for "pine, bamboo & apricot tree” patterns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Japan accepted Confucianism, as well. Accounting for the biggest proportion in Japanese made-to-order ceramics, made-to-order tea bow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formative features including Woongcheon, Tonghyeong, and Ido tea bowls. Ogi and Eobon tea bowls represent made-to-order tea bowls produced at the Busan Waegwanyo Kiln. Both of them were huge hits as the best tools for the tea ceremony well equipped what the Japanese shogunate and daimyos wanted those days, having enormous impacts on the tea ceremony culture of Japan.
      The made-to-order tea bowls produced at the Busan Waegwanyo Kiln are the products of Joseon's soil, ceramic masters' techniques, and Japanese people's taste. In the future, more ongoing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topic will hopefully lay a foundation for exchanges in ceramic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history of ceram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 조·일 관계 속에서 일본 다도에 필요한 도자기 공급을 위해 설립된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고, 주문생산을 위해 작성된 주문서를 통해 당시 주문 도자기들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본 특유의 차노유(茶の湯)라는 독특한 다도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와비(わび)’정신에 딱 들어 맞는 조선 도자기가 주목을 받게 되었고, 조선 사발에 대한 욕구가 커지게 됨에 따라 일본 막부는 대마도 번주를 통해 다도에 사용할 다완을 공급 할 것을 명하게 되었다. 이에 대마도 번주는 조선의 양해를 얻어 부산 왜관 내에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를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일본 주문 도자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당시 주문을 위해 작성된 『어조물공(御誂物控)』이라는 주문서를 분석함으로써 일본 주문 도자기들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초창기 다완 위주의 주문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다완의 수량이 점점 줄어들고 화병, 향로 등 기타 차도구들의 주문이 많아졌다. 둘째, 일본 막부나 다이묘의 취향이 반영된 ‘송죽매(松竹梅)’나 ‘모란(牡丹)’,‘당초문(唐草紋)’등의 문양이 들어간 기물을 선호하였고, 일본 주문 도자기 전반에 그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송죽매(松竹梅)’등의 문양이 선호되었던 것으로 보아 일본도 유학을 받아 들인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이 반영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본 주문도자기 중 가장 큰 비중을 가진 주문 다완의 조형적 특징은 크게 웅천다완형, 통형다완형, 정호다완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부산 왜관요에서 생산된 대표적인 주문 다완으로는 오기다완(吳器茶碗)과 어본다완(御本茶碗)이 있는데, 모두 당시 일본 막부와 다이묘들이 원하는 요소들을 잘 갖춘 최고의 다도구로서 크게 유행하였으며 일본 다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에서 생산된 주문 다완은 조선의 흙과 사기장의 솜씨와 일본의 취향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따라서 이에 대해 우리도 보다 더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해 도자사에서 한·일 도예문화 교류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 조·일 관계 속에서 일본 다도에 필요한 도자기 공급을 위해 설립된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고, 주문생산을 위해 작성된 주문서를 통�...

      본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 조·일 관계 속에서 일본 다도에 필요한 도자기 공급을 위해 설립된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고, 주문생산을 위해 작성된 주문서를 통해 당시 주문 도자기들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본 특유의 차노유(茶の湯)라는 독특한 다도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와비(わび)’정신에 딱 들어 맞는 조선 도자기가 주목을 받게 되었고, 조선 사발에 대한 욕구가 커지게 됨에 따라 일본 막부는 대마도 번주를 통해 다도에 사용할 다완을 공급 할 것을 명하게 되었다. 이에 대마도 번주는 조선의 양해를 얻어 부산 왜관 내에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를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일본 주문 도자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당시 주문을 위해 작성된 『어조물공(御誂物控)』이라는 주문서를 분석함으로써 일본 주문 도자기들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초창기 다완 위주의 주문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다완의 수량이 점점 줄어들고 화병, 향로 등 기타 차도구들의 주문이 많아졌다. 둘째, 일본 막부나 다이묘의 취향이 반영된 ‘송죽매(松竹梅)’나 ‘모란(牡丹)’,‘당초문(唐草紋)’등의 문양이 들어간 기물을 선호하였고, 일본 주문 도자기 전반에 그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송죽매(松竹梅)’등의 문양이 선호되었던 것으로 보아 일본도 유학을 받아 들인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이 반영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본 주문도자기 중 가장 큰 비중을 가진 주문 다완의 조형적 특징은 크게 웅천다완형, 통형다완형, 정호다완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부산 왜관요에서 생산된 대표적인 주문 다완으로는 오기다완(吳器茶碗)과 어본다완(御本茶碗)이 있는데, 모두 당시 일본 막부와 다이묘들이 원하는 요소들을 잘 갖춘 최고의 다도구로서 크게 유행하였으며 일본 다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부산 왜관요(釜山 倭館窯)에서 생산된 주문 다완은 조선의 흙과 사기장의 솜씨와 일본의 취향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따라서 이에 대해 우리도 보다 더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해 도자사에서 한·일 도예문화 교류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현정, "조선후기 倭館窯의 運營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2 가타야마 마비, "임진왜란 이후 일본 주문 茶碗에 대한 고찰: 吳器茶碗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4) : 87-108, 2010

      3 아사가와 노리타카, "부산요와 일본다완" 어드북스 2012

      4 谷明, "高麗茶碗の話" 谈交社 2014

      5 泉澄一, "釜山窯の史的硏究" 関西大学出版部 1986

      6 김명서, "朝鮮時代 일본에서 주문한 御本茶碗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7

      7 박미기, "『남방록』에 나타난 일본의 다도정신 고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허선영, "14~15세기 부산 기장지역 도자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1 허현정, "조선후기 倭館窯의 運營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2 가타야마 마비, "임진왜란 이후 일본 주문 茶碗에 대한 고찰: 吳器茶碗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4) : 87-108, 2010

      3 아사가와 노리타카, "부산요와 일본다완" 어드북스 2012

      4 谷明, "高麗茶碗の話" 谈交社 2014

      5 泉澄一, "釜山窯の史的硏究" 関西大学出版部 1986

      6 김명서, "朝鮮時代 일본에서 주문한 御本茶碗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7

      7 박미기, "『남방록』에 나타난 일본의 다도정신 고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허선영, "14~15세기 부산 기장지역 도자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3 0.2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