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과수와 야채를 중심으로 국내산지 농산물의 유통환경변화와 관련한 문헌조사와 양적ㆍ질적 조사를 병행하여 나타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산지 농산물의 경쟁력 제고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03931
2008
Korean
학술저널
33-52(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과수와 야채를 중심으로 국내산지 농산물의 유통환경변화와 관련한 문헌조사와 양적ㆍ질적 조사를 병행하여 나타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산지 농산물의 경쟁력 제고방...
본 연구는 과수와 야채를 중심으로 국내산지 농산물의 유통환경변화와 관련한 문헌조사와 양적ㆍ질적 조사를 병행하여 나타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산지 농산물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농산물도매시장과 대형할인점에 납품하는 산지농산물생산자조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납품처로는 대형할인점이 63.5%로 도매시장 27.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판매할 농산물시세에 관한 정보획득경로에 대한 복수응답결과에서는 도매시장이 8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인터넷 27.3%, 동업종 판매자단체 9.1% 순으로 나타났다. 대형할인점에 납품하게 된 동기로는 ‘산지생산자가 먼저 적극적으로 판촉을 전개함’이 66.7%인 반면 ‘대형할인점에서 먼저 방문하여 거래성사’는 25.0%로 낮게 나타났다. 향후 대형할인점과의 거래계획에서는 ‘확대할 예정’이라는 응답이 58.3%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현상유지’와 ‘축소할 예정’이라는 응답은 각각 33.3%와 8.3%로 나타났다. 대형할인점과의 거래 선호이유로는 가격안정성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꼽았다. 한편, 매출 규모가 높은 상위3개 대형할인점을 대상으로 농산물조달과 관련한 조사결과 과일류의 경우 산지직거래비중은 A사 90%, C사 100%였으며, 채소류의 경우 산지직거래비중이 A사 100%, C사 80%로 각각 나타나 산지직거래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유통단계에서의 협상력과 최종소매가격경쟁력에 있어서 PB에 비해 열위에 놓여 있는 산지농산물 브랜드(NB)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농산물 생산자조직의 장기적인 유통전략과 함께 농산물유통단계에서 도매시장의 기능이 되살아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공급업자의 역량이 구매업자와의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로 구성원 간 고객지향적 영역초월행동의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