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속도로 휴게소 Layout 개선 및 설계지침 작성  :  (Improved Design Models of the Layout of Freeway Service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rvice area is an essential part of freeway for safe and comfortable driving. Thetotal length of freeway in Korea is ever increasing and the freeway network isbecoming more complex. Furthermor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varied by route andby the section of freeway In order to consider these condition changes, the functionsand design of service area must be improved. Currently, service areas are designedaccording to the guidelines in the "Manual of Highway Design". The guidelines,unfortunately, are too simple and old to design good modern service areas. In this study, facility and parking space layout models which can eliminate theconflicts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to the maximumextent, and new facilities and services which the user needs are suggested Inaddition, several service area designs are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trafficcharacteristics so that the service area design adequ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freeway section where the service area is located can be possible. A draft of"Guidelines for Service Area Design" is writt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번역하기

      Service area is an essential part of freeway for safe and comfortable driving. Thetotal length of freeway in Korea is ever increasing and the freeway network isbecoming more complex. Furthermor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varied by route andby the s...

      Service area is an essential part of freeway for safe and comfortable driving. Thetotal length of freeway in Korea is ever increasing and the freeway network isbecoming more complex. Furthermor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varied by route andby the section of freeway In order to consider these condition changes, the functionsand design of service area must be improved. Currently, service areas are designedaccording to the guidelines in the "Manual of Highway Design". The guidelines,unfortunately, are too simple and old to design good modern service areas. In this study, facility and parking space layout models which can eliminate theconflicts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to the maximumextent, and new facilities and services which the user needs are suggested Inaddition, several service area designs are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trafficcharacteristics so that the service area design adequ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freeway section where the service area is located can be possible. A draft of"Guidelines for Service Area Design" is writt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휴게소는 고속도로의 안전운행과 쾌적한 이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도로 부대시설이다. 고속도로의 연장이 증가하고 고속도로망이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으며, 교통특성은 노선별, 구간별로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휴게소의 기능과 구조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휴게소 설계는 도로설계요령에 제시된 지침에 따르고 있는데 지침 자체가 획일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성된지가 오래되어 양질의 설계를 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휴게소내에서 보행자와 차량간의 상충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는 시설물 및 주차장 배치방안과, 이용자들이 필요로하는 휴게소 시설과 서비스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특성을 고려한 휴게소 구조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휴게소가 설치되는 고속도로 구간의 특성에 적합한 휴게소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이 실제 설계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침서(안)을 작성하였다.
      번역하기

      휴게소는 고속도로의 안전운행과 쾌적한 이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도로 부대시설이다. 고속도로의 연장이 증가하고 고속도로망이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으며, 교통특성은 노선별, 구간별...

      휴게소는 고속도로의 안전운행과 쾌적한 이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도로 부대시설이다. 고속도로의 연장이 증가하고 고속도로망이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으며, 교통특성은 노선별, 구간별로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휴게소의 기능과 구조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휴게소 설계는 도로설계요령에 제시된 지침에 따르고 있는데 지침 자체가 획일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성된지가 오래되어 양질의 설계를 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휴게소내에서 보행자와 차량간의 상충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는 시설물 및 주차장 배치방안과, 이용자들이 필요로하는 휴게소 시설과 서비스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특성을 고려한 휴게소 구조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휴게소가 설치되는 고속도로 구간의 특성에 적합한 휴게소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이 실제 설계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침서(안)을 작성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 1.3 연구의 수행방법
      • 제2장 관련계획 검토
      • 2.1 장기도로망 확충계획 검토
      • 2.2 장기 휴게시설 확충계획 검토
      • 2.3 휴게소의 발전방향
      • 제3장 문헌고찰 및 해외사례
      • 3.1 국내 휴게소 설치기준
      • 3.2 국내 휴게소 설치 현환
      • 3.3 외국 휴게소 설치기준 및 현황
      • 제4장 이용자 특성 및 교통특성 분석
      • 4.1 이용자 특성 분석
      • 4.2 교통특성 분석
      • 4.3 시설물 조사 및 분석
      • 제5장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1 휴게소 구분
      • 5.2 휴게소 시설 배치
      • 5.3 주차 및 내부동선체계
      • 5.4 안내 체계
      • 5.5 휴게소 Layout 종합 개선안
      • 제6장 결론 및 건의사항
      • 6.1 결론
      • 6.2 건의사항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