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Estimation of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Based on the Period of Its Cambial Activity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활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및 벌채 적기 추정) = Estimation of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Based on the Period of Its Cambial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3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 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각 지역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 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각 지역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월악산과 미동산이다. 월악산과 미동산에서 일본잎갈나무 5본씩을 선발한 후, 월악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10월 6일, 미동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9월 29일까지 직경 2 mm 미니 생장추(trephor)로 형성층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형성층 시료는 PEG2000에 임베딩 한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두께 10∼15 μm로 박편 제작을 하였다. 상해세포간구 발생으로 정확한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월악산 일본잎갈나무 1본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 1본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현미경으로 월악산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개시 일을 관찰한 결과, 4월 28일에 월악산에서 2본, 미동산에서 3본이 개시하였다. 나머지인 월악산 2본과 미동산 1본은 일주일 후인 5월 4일에 개시하였다. 형성층 활동 개시를 유도한 적산온도는 월악산의 경우 196.4-271.8이었으며, 미동산은 204.7-277.3로 유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종료는 월악산 8월 4일 ~ 8월 25일, 미동산 8월 4일 ~ 9월 1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월악산과 미동산에 적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시기는 형성층 활동 약 한 달 전인 4월 이전이며, 벌채 시기는 형성층 활동이 완전히 종료되는 10월부터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tree by monitoring its cambial activity period. In addition, the heat summation to induce the cambial activity of Larix kaempferi was investigated. The 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tree by monitoring its cambial activity period. In addition, the heat summation to induce the cambial activity of Larix kaempferi was investigated. The study sites were at Mt. Worak and Mt. Midong. After selecting 5 trees at Mt. Worak and Mt. Midong, the cambium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mini trephor with 2 mm diameter from April 7 to October 6, 2017 at Mt. Worak, and from April 7 to September 29, 2017 at Mt. Midong. After the collected cambium samples were embedded in PEG2000, transverse thin sections with a thickness of 1 0 to 1 5 μm were prepared using a microtome. One Larix kaempferi sample from each site, Mt. Worak and Mt. Midong, in which the accurate monitoring of cambial activity was impossible due to the formation of traumatic resin canal, was excluded from the study. The observation of the initiation date of cambial activity under a light microscopy revealed that 2 specimens from Mt. Worak and 3 from Mt. Midong showed the initiation on April 28. The remaining 2 specimens of Mt. Worak and 1 specimen of Mt. Midong were initiated on May 4, which was a week later than the others. The heat summation that induced the initiation of cambial activity was 196.4-271.8 at Mt. Worak and 204.7-277.3 at Mt. Midong, which was similar. The termination of cambial activity occurred between August 4 and 25 at Mt. Worak, and between August 4 and September 1 at Mt. Mido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planting period for Larix kaempferi in Mt. Worak and Mt. Midong was before April, about a month before the cambium activity, and the felling period was from October when the cambial activity was completely termina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