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우승,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메멘토 2022
2 McIntyre, L. C., "포스트트루스" 두리반 2019
3 이광석,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술감각의 사회적 조건" 도시인문학연구소 13 (13): 109-134, 2021
4 下司晶, "포스트모던 교육사상 : 일본교육학은 포스트모던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박영스토리 2020
5 Harman, G., "쿼드러플 오브젝트" 현실문화 2019
6 Kleinherenbrink, A.,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 연속성에 반대한다" 갈무리 2022
7 Gabriel, M., "지나치게 연결된 사회" 베가북스 2022
8 Bryant, R. L., "존재의 지도 : 기계와 매체의 존재론" 갈무리 2020
9 Descartes, R.,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 자연의 빛에 의한 진리 탐구" 문예출판사 2021
10 Floridi, L., "정보철학입문" 필로소픽 2022
1 신우승,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메멘토 2022
2 McIntyre, L. C., "포스트트루스" 두리반 2019
3 이광석,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술감각의 사회적 조건" 도시인문학연구소 13 (13): 109-134, 2021
4 下司晶, "포스트모던 교육사상 : 일본교육학은 포스트모던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박영스토리 2020
5 Harman, G., "쿼드러플 오브젝트" 현실문화 2019
6 Kleinherenbrink, A.,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 연속성에 반대한다" 갈무리 2022
7 Gabriel, M., "지나치게 연결된 사회" 베가북스 2022
8 Bryant, R. L., "존재의 지도 : 기계와 매체의 존재론" 갈무리 2020
9 Descartes, R.,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 자연의 빛에 의한 진리 탐구" 문예출판사 2021
10 Floridi, L., "정보철학입문" 필로소픽 2022
11 大黒岳彦, "정보사회의 철학 : 구글‧빅데이터‧인공지능" 박영스토리 2021
12 이윤미, "전후 일본교육개혁의 정치학: 동아시아교육발전모델의 실천적 측면"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59-85, 2017
13 Saussure, F. d.,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14 篠原雅武, "인류세의 철학 : 사변적 실재론 이후의 ‘인간의 조건’" 모시는사람들 2022
15 Meillassoux, Q., "유한성 이후 : 우연성의 필연성에 관한 시론" 도서출판b 2010
16 Mounk, Y., "위험한 민주주의 : 새로운 위기, 무엇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가" 와이즈베리 2018
17 최진, "우리는 왜 아직도 플라톤의 이데아론으로부터 배울 것이 있다고 믿는가: 데이터베이스 시대에 교육철학 가르치기" 한국교육사상학회 36 (36): 179-205, 2022
18 Gabriel, M., "왜 세계사의 시간은 거꾸로 흐르는가" 타인의사유 2021
19 Gabriel, M., "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열린책들 2017
20 Gabriel, M., "예술의 힘" 이비 2022
21 Bogost, I., "에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갈무리 2022
22 김주환, "시민교육의 한국적 특수성과 그 이율배반적 측면에 대한 검토: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4 (44): 31-51, 2022
23 Gabriel, M., "생각이란 무엇인가 : 인간의 생각감각에 대하여" 열린책들 2021
24 岩內章太郞, "새로운 철학 교과서 : 현대 실재론 입문" 도서출판b 2020
25 Gergen, K. J., "사회구성주의로의 초대" 박영스토리 2020
26 Harman, G., "사변적 실재론 입문" 갈무리 2023
27 Bhaskar, R., "비판적 실재론과 해방의 사회과학" 후마니타스 2007
28 Enriquez, J., "무엇이 옳은가" 세계사 2022
29 Frege, G., "뜻과 지시체에 관하여" 전기가오리 2017
30 최훈, "듀이의 다원적 실재론에 관한 연구: 비위계적 교사-학생 관계의 철학적 근거" 한국교육철학학회 44 (44): 125-150, 2022
31 東浩紀,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 오타쿠를 통해 본 일본 사회" 문학동네 2007
32 김남준, "도덕실재론의 최소성립조건" 대동철학회 (43) : 1-28, 2008
33 Bentham, J.,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대한 서론" 아카넷 2013
34 Shaffer, C., "데이터, 민주주의를 조작하다" 힐데와소피 2020
35 O′Neil, C., "대량살상 수학무기 : 어떻게 빅데이터는 불평등을 확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흐름출판 2017
36 Harman, G., "네트워크의 군주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철학" 갈무리 2019
37 남미자, "근대적 사유를 넘어 새로운 교육지형도 그리기: 신유물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4 (44): 27-55, 2022
38 Kirschner, P. A., "구성주의 수업: 성공인가 아니면 실패인가?" 박영스토리 206-225, 2014
39 최승현 ; 서범종, "교육사상의 역설과 전회: 근대교육학에서 포스트휴먼 교육학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5 (35): 27-52, 2022
40 곽태진,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 설정" 한국교육철학학회 41 (41): 1-23, 2019
41 진태원, "거짓 문제로서의 포스트코로나: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증상적 독해" 한국비평이론학회 26 (26): 197-228, 2021
42 Bryant, R. L., "객체들의 민주주의" 갈무리 2021
43 大黒岳彦, "가상사회의 철학 : 비트코인‧VR‧탈진실" 산지니 2022
44 Gabriel, M., "新時代に生きる道徳哲学" PHP新書 2021
45 篠原雅武, "人間以後の哲学 : 人新世を生きる" 講談社 2020
46 Clark, J., "‘Post-truth’ : political death of the expert" 50 (50): 1350-1351, 2018
47 "https://www.alejandradeargos.com/index.php/en/all-articles/21-guests-with-art/41878-interview-with-damien-hirst"
48 "https://www. politifact.com/personalities/donald-trump/statements/byruling/pants-fire"
49 Paul A. Kirschner,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Informa UK Limited 41 (41): 75-86, 2006
50 Adam, L., "Walking as Intelligent Enactment : A New Realist Approach" 2 (2): 49-58, 2019
51 Floridi, L., "The Logic of Infor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52 Taylor, C., "Retrieving Re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53 Peters, M, "Posthumanism, platform ontologies and the ‘wounds of modern subjectivity’" 52 (52): 579-585, 2020
54 Gabriel, M., "Neutral Realism" 98 : 181-196, 2015
55 Barad, K.,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ke University Press 2007
56 James Hill, "Markus Gabriel Against the World"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56 (56): 471-481, 2015
57 Harman, G., "Inter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74 (74): 88-95, 1965
58 Mikiko Yokoyama, "Hjørland’s Domain Analysis and Ontology: A Comparison with Putnam’s and Gabriel’s Ontologies" Mit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87 : 47-69, 2022
59 Bhaskar, R., "Forms of realism" 15 (15): 99-127, 1975
60 Kleinherenbrink, A., "Fields of Sense and Formal Things : The Ontologies of Tristan Garcia and Markus Gabriel" 1 (1): 129-142, 2018
61 Gabriel, M., "Fields of Sense : A New Realist Ontolog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5
62 Mario Teodoro Ramírez, "Fenomenología de la percepción y nuevo realismo. Merleau-Ponty, Meillassoux y Markus Gabriel"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exico 66 (66): 27-, 2021
63 Pooja, C., "Facts and Field(s)of Sense : Bertrand Russell and Markus Gabriel" 3 : 129-138, 2018
64 Bonnett, M., "Educational Relationships Ecologized. A Pedagogy of “Touching” in the Viral Era: Re-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3-16, 2022
65 Gokce, A. T., "Education in virtual age" 50 (50): 1420-1421, 2018
66 James Hill, "Does the World Exist?"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66 (66): 491-506, 2022
67 Bonnett, M., "After postmodernism : retuning to the real" 50 (50): 1308-1309,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