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핵심 내부통제시스템으로서의 관리회계시스템이 조직구성원들에 대하여 동기유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본 후, 관리회계시스템에 의한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2337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핵심 내부통제시스템으로서의 관리회계시스템이 조직구성원들에 대하여 동기유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본 후, 관리회계시스템에 의한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유...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핵심 내부통제시스템으로서의 관리회계시스템이 조직구성원들에 대하여 동기유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본 후, 관리회계시스템에 의한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유발이 기업성과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내부통제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회계시스템은 목표설정 및 성과측정, 성과평가 그리고 이에 기반한 성과보상 등 조직의 관리통제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목표는 조직구성원들의 업무활동을 직,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지닐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들에 대하여 동기를 유발하는 기초를 제공하는 한편,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의 지표가 된다(Locke, 1968). 또한 성과측정 및 성과측정치에 대한 피드백은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개별 구성원들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성과측정치에 대한 피드백은 조직구성들에 대해 구성원 자신이 수행한 업무결과를 통하여 자기효능감이나 성취감 등을 부여함으로써 과업목표에 대한 내재적 동기유발를 유발하게 된다(Ashford et al., 1983). 그리고 성과평가에 기반한 보상은 전통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과업수행을 위한 노력을 이끌어냄으로써 성과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동기유발을 자극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간주되어 왔는데, 특히 이는 과업이나 업무 자체가 아닌 과업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급여나 승진 등과 같은 외재적인 보상(extrinsic rewards)에 의해 발동, 촉진되는 외재적인 동기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의 성과목표나 전략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제공하는 한편, 내부통제를 위한 지속적인 성과측정 및 성과와 보상간의 연계를 통한 보상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관리회계시스템은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을 기업목표와 일치되도록 유도하고, 주어진 경영전략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유인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개인의 목표와 함께 기업의 목표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한편, 기업 전체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동기유발을 통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논의에 따라 관리회계시스템의 기업성과 증진에 대한 영향을 동기유발 측면에서 접근하여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가설을 설정,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첫번째 가설은 제조환경변화에 따라 관리회계시스템에 변화가 있는지에 관한 가설로서, 이는 본 연구에 있어 주요 변수 중의 하나인 관리회계시스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밝혀진 제조환경변화에 관한 가설이다. 본 첫번째 가설은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이라기 보다는 관리회계시스템에 관한 기초분석을 위한 선행가설이라 할 수 있다.
둘번째 가설은 관리회계시스템과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유발의 관련성에 관한 가설로서, 관리회계스템의 주요 기능이 조직구성원들에 대하여 동기유발(내재적 동기유발, 외재적 동기유발)효과를 지니고 있는지를 입증하기 위한 가설이다.
그리고 마지막 세번째 가설은 본 연구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가설로서, 관리회계시스템에 의해 촉발된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유발의 발현이 실질적으로 기업성과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입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 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관찰하기가 곤란한 잠재변수와 개별 잠재변수에 대해 하나 이상의 관측변수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하는 한편,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된 관리회계시스템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동기유발의 영향 유형을 구체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패널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도 수행하게 된다.
이상의 분석모형은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립된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과정에서 구상된 분석모형으로, 자료의 수집 및 본 분석 이전의 기초분석 단계에서 변수의 측정이나 개념정의 등이 다소 변화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