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문화의 세계화와 리얼리티 텔레비전 = ‘빅브라더 아프리카(Big Brother Africa)’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5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양상을 ‘빅브라더 아프리카 (Big Brother Africa)’라는 대중문화(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품의 소비와 수용, 그리고 해석과정을 분석함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빅브라더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12개국에서 온 참가자들로 구성된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2003년 이후 아프리카 46여 개국에 3개월여의 시간 동안 방송되었다. ‘빅브라더 아프리카’라는 대중문화 상품의 수용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 논문은 글로벌 시대에 아프리카 정체성 문제와 연관되어 아프리카에서 전개된 문화정치의 과정은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의 세계화가 일방적인 문화적 동질화 과정도 아니며 또한 아프리카를 글로벌 문화 흐름에서 고립되거나 혹은 글로벌 문화의 단순한 수동적 수용자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절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빅브라더 아프리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수용과 해석과정에서 나타났던 아프리카 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과정에서 글로벌 문화와 지역 정체성의 첨예한 갈등, 그리고 아프리카 정체성 문제와 관련되어 위로부터의 국가 민족주의와 통제된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헤게모니적 담론과 이와는 달리 대중문화의 수용과정에서 아프리카의 젊은 세대들에게서 나타났던 아프리카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상상사이에 존재하는 갈등과 모순을 분석해봄으로써 아프리카대륙에서 문화의 세계화 과정의 현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양상을 ‘빅브라더 아프리카 (Big Brother Africa)’라는 대중문화(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품의 소비와 수용, 그리고 해...

      이 논문은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양상을 ‘빅브라더 아프리카 (Big Brother Africa)’라는 대중문화(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품의 소비와 수용, 그리고 해석과정을 분석함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빅브라더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12개국에서 온 참가자들로 구성된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2003년 이후 아프리카 46여 개국에 3개월여의 시간 동안 방송되었다. ‘빅브라더 아프리카’라는 대중문화 상품의 수용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 논문은 글로벌 시대에 아프리카 정체성 문제와 연관되어 아프리카에서 전개된 문화정치의 과정은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의 세계화가 일방적인 문화적 동질화 과정도 아니며 또한 아프리카를 글로벌 문화 흐름에서 고립되거나 혹은 글로벌 문화의 단순한 수동적 수용자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절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빅브라더 아프리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수용과 해석과정에서 나타났던 아프리카 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과정에서 글로벌 문화와 지역 정체성의 첨예한 갈등, 그리고 아프리카 정체성 문제와 관련되어 위로부터의 국가 민족주의와 통제된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헤게모니적 담론과 이와는 달리 대중문화의 수용과정에서 아프리카의 젊은 세대들에게서 나타났던 아프리카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상상사이에 존재하는 갈등과 모순을 분석해봄으로써 아프리카대륙에서 문화의 세계화 과정의 현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Africa by examining how ‘Big Brother Africa’, a reality program in 2003 was received, distributed, and interpreted in African countries. ‘Big Brother Africa’ is a reality program that has been live-broadcasted for about three months throughout the African continent. As an African edition of reality television blockbuster, ‘Big Brother’, this program recruited young participants from 12 different countries in Africa and caused many controversies in those countr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ynamic reception processes of the popular cultural product. In doing so, it will demonstrate how the global meets the local in the areas like national identitie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is paper argues that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these countries, once revealed in the consumption and reception process of ‘Big Brother Africa’ as a popular cultural product, demonstrated that cultural globalization in Africa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what the existing perspectives, which tend to view African countries or Africans as a final destination of global cultural flows or passive receivers or consumers of global cultural products, usually describe.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some critical discussions on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these African countries, while top-down, national, and hegemonic discourses on African identities are coming across new, different imaginations of African identities, which are mainly dispersed among young Africans.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Africa by examining how ‘Big Brother Africa’, a reality program in 2003 was received, distributed, and interpreted in African countries. ‘Big Brother Africa’ is a reality prog...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Africa by examining how ‘Big Brother Africa’, a reality program in 2003 was received, distributed, and interpreted in African countries. ‘Big Brother Africa’ is a reality program that has been live-broadcasted for about three months throughout the African continent. As an African edition of reality television blockbuster, ‘Big Brother’, this program recruited young participants from 12 different countries in Africa and caused many controversies in those countr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ynamic reception processes of the popular cultural product. In doing so, it will demonstrate how the global meets the local in the areas like national identitie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is paper argues that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these countries, once revealed in the consumption and reception process of ‘Big Brother Africa’ as a popular cultural product, demonstrated that cultural globalization in Africa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what the existing perspectives, which tend to view African countries or Africans as a final destination of global cultural flows or passive receivers or consumers of global cultural products, usually describe.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some critical discussions on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these African countries, while top-down, national, and hegemonic discourses on African identities are coming across new, different imaginations of African identities, which are mainly dispersed among young Afric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이론적 배경: 문화의 세계화와 리얼리티 프로그램
      • 3. 아프리카의 텔레비전과 ‘빅브라더 아프리카’
      • 4. ‘빅브라더 아프리카’에 대한 반응들: 반대와 지지
      • 5. ‘빅브라더 아프리카’ 문화정치 :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와 아프리카 정체성
      • 1. 들어가며
      • 2. 이론적 배경: 문화의 세계화와 리얼리티 프로그램
      • 3. 아프리카의 텔레비전과 ‘빅브라더 아프리카’
      • 4. ‘빅브라더 아프리카’에 대한 반응들: 반대와 지지
      • 5. ‘빅브라더 아프리카’ 문화정치 :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와 아프리카 정체성
      • 6. 나가며: ‘빅브라더 아프리카’와 뉴미디어 권력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