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소아 대상 혈액배양검사 현황 파악을 위한 국내 다기관 설문조사 = A Multicenter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Pediatric Blood Cultur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11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 정도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소아감염분과 전문의(소아감염)와 신생아집중치료센터를 운영하는 병원에 근무하는 신생아분과 전문의(신생아)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 소아감염의 81.1% (30/37)와 신생아의 72.2% (52/72)가 설문에 응하였다. 적응증과 무관하게 정규 검사로 혈액배양을 실시하는 경우는 소아감염의 33.3%, 신생아의 59.6%였다. 소아감염의 40%와 신생아의 65.4%가 균혈증 의심 환자에서 혈액배양을 1회 시행한다고 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부 소독제는 포비돈-아이오딘이었고, 여러 피부 소독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순서는 기관마다 다양하였다. 배양 양성률 및 오염률을 모니터링하는 기관은 전체의 2/3 정도였으나 결과를 채혈자에게 피드백하는 곳은 적었다. 채혈 담당자에게 정기적인 교육을 하는 곳은 전체의 1/2 이하였다. 결론: 기관별로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이 다양하였으며 정도 관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병원은 적었다. 소아에서 실시되는 혈액배양의 질 향상을 위해 표준 지침의 정립이 필요하며 정도 관리를 위한 기관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목적: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 정도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소아감염분과 전문의(소아감염)와 신생아집중치료...

      목적: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 정도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소아감염분과 전문의(소아감염)와 신생아집중치료센터를 운영하는 병원에 근무하는 신생아분과 전문의(신생아)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 소아감염의 81.1% (30/37)와 신생아의 72.2% (52/72)가 설문에 응하였다. 적응증과 무관하게 정규 검사로 혈액배양을 실시하는 경우는 소아감염의 33.3%, 신생아의 59.6%였다. 소아감염의 40%와 신생아의 65.4%가 균혈증 의심 환자에서 혈액배양을 1회 시행한다고 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부 소독제는 포비돈-아이오딘이었고, 여러 피부 소독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순서는 기관마다 다양하였다. 배양 양성률 및 오염률을 모니터링하는 기관은 전체의 2/3 정도였으나 결과를 채혈자에게 피드백하는 곳은 적었다. 채혈 담당자에게 정기적인 교육을 하는 곳은 전체의 1/2 이하였다. 결론: 기관별로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이 다양하였으며 정도 관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병원은 적었다. 소아에서 실시되는 혈액배양의 질 향상을 위해 표준 지침의 정립이 필요하며 정도 관리를 위한 기관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chelonka RL, "Volume of blood required to detect common neonatal pathogens" 129 : 275-278, 1996

      2 Hall KK, "Updated review of blood culture contamination" 19 : 788-802, 2006

      3 Trautner BW, "Skin antisepsis kits containing alcohol and chlorhexidine gluconate or tincture of iodine are associated with low rates of blood culture contamination" 23 : 397-401, 2002

      4 Segal GS, "Resource utilization and contaminated blood cultures in children at risk for occult bacteremia" 154 : 469-473, 2000

      5 신정환, "Nationwide Survey of Blood Culture Performance Regarding Skin Disinfection, Blood Collection and Laboratory Procedure" 대한임상미생물학회 14 (14): 91-96, 2011

      6 Wilson ML, "M47A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blood cultures: approved guidelin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07

      7 Gander RM, "Impact of blood cultures drawn by phlebotomy on contamination rates and health care costs in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47 : 1021-1024, 2009

      8 Connell TG, "How reliable is a negative blood culture result? Volume of blood submitted for culture in routine practice in a children's hospital" 119 : 891-896, 2007

      9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GP41-A6 Procedures for the collection of diagnostic blood specimens by venipuncture; approved standard"

      10 Snyder SR, "Effectiveness of practices to reduce blood culture contamination: a Laboratory Medicine Best Practic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5 : 999-1011, 2012

      1 Schelonka RL, "Volume of blood required to detect common neonatal pathogens" 129 : 275-278, 1996

      2 Hall KK, "Updated review of blood culture contamination" 19 : 788-802, 2006

      3 Trautner BW, "Skin antisepsis kits containing alcohol and chlorhexidine gluconate or tincture of iodine are associated with low rates of blood culture contamination" 23 : 397-401, 2002

      4 Segal GS, "Resource utilization and contaminated blood cultures in children at risk for occult bacteremia" 154 : 469-473, 2000

      5 신정환, "Nationwide Survey of Blood Culture Performance Regarding Skin Disinfection, Blood Collection and Laboratory Procedure" 대한임상미생물학회 14 (14): 91-96, 2011

      6 Wilson ML, "M47A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blood cultures: approved guidelin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07

      7 Gander RM, "Impact of blood cultures drawn by phlebotomy on contamination rates and health care costs in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47 : 1021-1024, 2009

      8 Connell TG, "How reliable is a negative blood culture result? Volume of blood submitted for culture in routine practice in a children's hospital" 119 : 891-896, 2007

      9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GP41-A6 Procedures for the collection of diagnostic blood specimens by venipuncture; approved standard"

      10 Snyder SR, "Effectiveness of practices to reduce blood culture contamination: a Laboratory Medicine Best Practic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5 : 999-1011, 2012

      11 Kim NH, "Effect of routine sterile gloving on contamination rates in blood culture: a cluster randomized trial" 154 : 145-151, 2011

      12 Isaacman DJ, "Effect of number of blood cultures and volume of blood on detection of bacteremia in children" 128 : 190-195, 1996

      13 Park WB, "Educational intervention as an effective step for reducing blood culture contaminat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91 : 111-116, 2015

      14 Simonsen KA, "Early-onset neonatal sepsis" 27 : 21-47, 2014

      15 Weinbaum FI, "Doing it right the first time: quality improvement and the contaminant blood culture" 35 : 563-565, 1997

      16 Alahmadi YM, "Clinical and economic impact of contaminated blood cultures within the hospital setting" 77 : 233-236, 2011

      17 Buttery JP, "Blood cultures in newborns and children: optimising an everyday test" 87 : 25-28, 2002

      18 Baron EJ, "A guide to utilization of the microbiology laboratory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2013 recommendations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IDSA) and the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ASM)(a)" 57 : 22-12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3-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KCI등재
      2014-12-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소아감염병학회 -> 대한소아감염학회 KCI등재
      2013-10-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기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6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