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4년 3월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된 8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을 분석한 글이다. 고려시대사는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르면 〈고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8840
2014
Korean
한국사 교과서 ; 고려시대사 ; 교육과정 ; 교안 ; 검정 제도 ; 검정교과서 ; 대외관계사 ; 사회경제사 ; 문화사 ; 교류 ; Korean History Textbook ;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 School Curriculum ; Teaching Plan ; Authorization System ; Textbook Authorization ; International Exchanges
KCI등재
학술저널
157-218(62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4년 3월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된 8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을 분석한 글이다. 고려시대사는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르면 〈고려 ...
이 글은 2014년 3월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된 8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을 분석한 글이다. 고려시대사는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르면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에 해당되는데, 이는 교과서 목차 상 두 번째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의 내용을 사회ㆍ경제사, 사상사 및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구성하도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 교과서의 목차 구성을 준용하여 대외관계사와 경제사, 사회사ㆍ사상사ㆍ문화사를 중심으로 각 교과서 상 고려시대사 서술과 구성의 장ㆍ단점을 분석하였다.
대외관계 부분에서는 세계사와의 연관 속에서 한국사를 이해하도록 설정한 교육과정 상의 교과 목표에 따라 다양한 학습 보조 자료가 제시되었으며 새로운 설명 방식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다만 송 중심의 외교 관계 서술이 여전히 두드러진다는 점과 전쟁사 위주의 거란관계사 서술, 금과의 사대 관계 평가 문제, ‘여원연합군’ 용어 문제, 10~12세기 동아시아외교 관계 개념도 등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었다.
경제사 분야에서는 8종 교과서의 목차 구성과 서술 방식이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그러면서도 서술형 소제목을 택한다던가, 대외 무역에 관한 내용을 경제사의 소단원으로 구성한다든지, 혹은 신분제도와 사회모순을 함께 구성하는 등 획일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교과서를 실제로 사용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편의를 배려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기도 했다.
문화사 영역과 관련하여서는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서 ‘교류’의 의미를 지나치게 제한적으로 규정한데서 연유한 구성 상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한국사 교과서에서 교류의 여러 측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와 서술 방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교과서 검정 제도의 긍정적인 기능이 확인되었다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w textbooks for Korean History from eight different publishers have been released to the first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as of March 2014. The new textbooks were technically re-written in conformity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
New textbooks for Korean History from eight different publishers have been released to the first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as of March 2014. The new textbooks were technically re-written in conformity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nnex 7 (Social Studies Curriculum) #2009-41 (Feb. 26, 2008) and have been authoriz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 2013 who has been delegated of pertinent author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article is an outcome of a project to analyze how the new schoo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new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as a result, how it affected the narrative of the textbooks mainly in the sections of the diplomatic relations, the economic affairs, and the socio-cultural domain of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Even though several mistakes and minor errors survived through the former revisions accompanied by the revisions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certain that the new textbooks generally proved many positive potentials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in several areas: diverse learner-centered learning materials, various approaches to different historical interpretations, high-quality visual materials, and user/ reader-oriented editing techniques.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is analysis useful also in the area of the study of teaching, the authors introduced better examples of presentation among the eight textbooks; in some cases, rough directions of supplementation were also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盧明鎬, "羅末麗初豪族勢力의 경제적 기반과 田柴科體制의 성립" 74 : 1992
2 윤선아, "중학교 『역사(상)』교과서의 역사지도 연구 :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손승철, "주제발표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2011
4 김지연, "제7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의 계열성 검토 및 대안" 서강대학교 2009
5 장동익,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내용과 개선 방안" 34 : 2005
6 천은수, "오개념을형성하는 ‘고려·거란관계’ 역사교과서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153-205, 2011
7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홈페이지"
8 이종서, "고려시대사의 연구 성과와 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2009년 개정교육과정 『역사』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50) : 169-203, 2013
9 이미지,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의 전개와 특징" 고려대학교 2012
10 최상훈,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내용분석" 82 : 2006
1 盧明鎬, "羅末麗初豪族勢力의 경제적 기반과 田柴科體制의 성립" 74 : 1992
2 윤선아, "중학교 『역사(상)』교과서의 역사지도 연구 :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손승철, "주제발표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2011
4 김지연, "제7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의 계열성 검토 및 대안" 서강대학교 2009
5 장동익,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내용과 개선 방안" 34 : 2005
6 천은수, "오개념을형성하는 ‘고려·거란관계’ 역사교과서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153-205, 2011
7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홈페이지"
8 이종서, "고려시대사의 연구 성과와 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2009년 개정교육과정 『역사』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50) : 169-203, 2013
9 이미지,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의 전개와 특징" 고려대학교 2012
10 최상훈,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내용분석" 82 : 2006
11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2002
12 朴菖熙, "高麗의 兩班功蔭田柴法의 해석에 대한 再檢討" 22 : 1973
13 金東洙, "高麗의 兩班功蔭田柴法의 解釋에 대한 再論" 26 : 1981
14 盧明鎬, "高麗時의 承蔭血族과 貴族層의 蔭敍機會" 지식산업사 1983
15 박종진, "高麗時期吏屬職의 構造와 胥吏의 地位" 신서원 2001
16 文喆永, "高麗時代의 閑人과 閑人田" 18 : 1988
17 金光洙, "高麗時代의 胥吏職" 4 : 1969
18 金光洙, "高麗時代의 同正職" 11 : 1969
19 邊太燮,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20 姜晋哲, "高麗土地制度史硏究" 高麗大出版部 1980
21 "高麗史"
22 金龍善, "高麗功蔭田柴의 지급 대상과 그 時期" 59 : 1985
23 李佑成, "韓國中世社會硏究" 一潮閣 1991
24 朴菖熙, "閑人田論에 대한 再檢討" 27 : 1976
25 Naomi STANDEN, "Unbounded Loyalty: Frontier Crossing in Liao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26 차미희,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교육의 내용분석" 6 : 2002
27 "2009년 개정 교육과정 8종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8 민유미, "2009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 대외관계 내용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2011
29 김건우,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 건국과 통치 체제 정비 과정의 서술내용 분석" 동아대학교 2012
30 박용운, "(수정․증보판)고려시대사" 일지사 2008
일제시기 식민사학자의 고려시대 동북면의 국경ㆍ영토 인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