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매장벽이 프로농구 관중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Analyzing Effect of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on the Intention to Spectate at the Pro-Basketball Ga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8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관람스포츠 구매장벽이 프로농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인천, 대구, 부산에 위치하고 있는 6개 대학에서 편의표본추...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관람스포츠 구매장벽이 프로농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인천, 대구, 부산에 위치하고 있는 6개 대학에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811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data screening 과정을 통해 41부가 제외되었으며, 770명의 응답만이 본 연구의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구매장벽은 핵심상품, 시설, 확장상품, 대체상품 등의 4개 요인으로, 4개 요인에 포함된 18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관람의도는 단일요인 6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사용된 통계기법은 t-검증과 다중회귀분석 이였으며, 자료분석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프로농구 관람경험 유무별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구매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프로농구 관람경험 유무별 대학생들의 프로농구 관람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구매장벽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대학생들의 경우 핵심상품과 대체상품, 여자 대학생들의 경우 핵심상품, 시설, 확장상품이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농구 관람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경우 핵심상품과 대체상품, 프로농구 관람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의 경우 핵심상품이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that affect the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pectate at the pro-basketball games. For this research, responses from 770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In order to measu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that affect the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pectate at the pro-basketball games. For this research, responses from 770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purchasing barriers, 18 items divided into 4 factors, which were 7 items for core product (Cronbach``s α = .896), 4 items for facility related factor (Cronbach``s α = .802), 4 items for extended product (Cronbach``s α = .766), and 3 items for alternative product (Cronbach``s α = .704).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irst, a series of t-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with respect to gender and spectating experience. Secon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purchasing barriers that influence the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pectate at the pro-basketball ga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in spectating pro-basketball games and who have no experience.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spectat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well as the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in spectating pro-basketball games and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Fourth,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such as core product and alternative product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male students`` intention to spectate. Fifth,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such as core product, facility related factor, and extended product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female students`` intention to spectate. Sixth, for the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in spectating pro-basketball games, core product and alternative product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spectate. Last, for the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in spectating pro-basketball games, perceived purchasing barriers such as core product and facility related factor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균, "프로야구구단의 마케팅활동에 따른 관람동기요인과 관람제약요인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9 (9): 185-200, 2004

      2 전호문, "프로야구 경기의 여성 소비자 유입을 위한 마케팅 전략 II" 38 (38): 882-895, 1999

      3 윤영선, "프로스포츠 관중의 소비행동 결정요인" 고려대학교 2004

      4 윤영선, "프로스포츠 관중의 소비자 행동 결정요인"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9 (9): 107-122, 2004

      5 윤영선, "프로스포츠 관중의 관람유인요인과 관여도의 관계" 28 : 153-164, 2006

      6 이종호, "프로스포츠 관람동기가 팀 동일시, 관람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과학회 15 (15): 99-122, 2005

      7 백길현, "프로배구 박빙승부에도 관중은 오히려 줄었네"

      8 신승호, "프로배구 관람객의 관람의사결정요인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2 (12): 57-69, 2007

      9 방준현, "프로농구에서 대학생들의 관람행동과 관람요인에 대한 조사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999

      10 박세혁, "프로농구 팬의 관여도프로파일이 팀동일시, 기업동일시 및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2 (12): 57-70, 2007

      1 조성균, "프로야구구단의 마케팅활동에 따른 관람동기요인과 관람제약요인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9 (9): 185-200, 2004

      2 전호문, "프로야구 경기의 여성 소비자 유입을 위한 마케팅 전략 II" 38 (38): 882-895, 1999

      3 윤영선, "프로스포츠 관중의 소비행동 결정요인" 고려대학교 2004

      4 윤영선, "프로스포츠 관중의 소비자 행동 결정요인"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9 (9): 107-122, 2004

      5 윤영선, "프로스포츠 관중의 관람유인요인과 관여도의 관계" 28 : 153-164, 2006

      6 이종호, "프로스포츠 관람동기가 팀 동일시, 관람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과학회 15 (15): 99-122, 2005

      7 백길현, "프로배구 박빙승부에도 관중은 오히려 줄었네"

      8 신승호, "프로배구 관람객의 관람의사결정요인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2 (12): 57-69, 2007

      9 방준현, "프로농구에서 대학생들의 관람행동과 관람요인에 대한 조사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999

      10 박세혁, "프로농구 팬의 관여도프로파일이 팀동일시, 기업동일시 및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2 (12): 57-70, 2007

      11 이용식, "프로농구 소비자의 관전영향요인이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40 (40): 700-712, 2001

      12 김용만, "프로농구 관중의 팀동일시 수준에 따른 경기관람요인, 관람만족 및 관람의도의 인과관계 비교" 한국체육학회 44 (44): 401-412, 2005

      13 강현민, "프로농구 관중 유형 분류 및 성향 분석" 한국체육학회 45 (45): 379-390, 2006

      14 김흥렬, "프로농구 관람객들의 관람동기에 따른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원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81-97, 2007

      15 박상일, "프로농구 각 구단별 경기관람결정 요인이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5 (45): 365-378, 2006

      16 김영문, "온라인 게임 실태" 계명대학교 벤처창업보육사업단 2006

      17 심재영, "여고생들의 프로축구 경기 관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3 (43): 543-552, 2004

      18 이경택, "시청률과 관중수 반비례는 왜?"

      19 유용상, "스포츠관람 영향요인 및 지각도 분석" 39 (39): 893-902, 2000

      20 박병주, "스포츠 스폰서십이 제품판매와 스포츠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2001

      21 김애랑, "성별 프로축구 관중의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19 (19): 67-80, 2005

      22 홍의철, "대학생들의 프로농구 관람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관람 결정요인"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9 (9): 17-29, 2004

      23 한현숙, "공연이벤트 관람 장애요인과 태도 및 구매 의도의 영향관계" 2 (2): 53-72, 2006

      24 장경로, "경기장시설이 관중의 만족도와 향후 경기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 (4): 277-294, 1999

      25 신규리, "감각추구성이 스포츠 관여도와 스포츠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905-917, 2005

      26 서정근, "e-스포츠 팬 중심은 평균연령 20.5세 ‘누나부대’: 게임산업진흥원, e-스포츠협회 설문결과 나타나"

      27 Zhang, J. J, "Variables affecting the spectator decision to attend NBA games" 4 (4): 29-39, 1995

      28 Bateson, J, "The ecological validity of photographic slide and videotapes in simulation the service setting" 19 : 271-280, 1992

      29 Sutton,W.A, "Sport marketing. In The management of sport:I Its foundation and application" Mosby Year Book 149-172, 1991

      30 Mullin, B. J, "Sport marketing(2nd ed.)" Human Kinetics 2000

      31 Bitner,M.J,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56 : 57-71, 1992

      32 Schofield,J.A, "Performance and attendance at professional team sports" 6 (6): 196-207, 1983

      33 Chen,A, "Meaningfulness in physical education: A descri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 17 : 285-306, 1998

      34 Howard, D. R, "Financing sport (2nd ed.)"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2005

      35 Hansen, H, "Factors affecting attendance at professional sport events" 3 (3): 15-32, 1989

      36 Green,R.E, "An examination of factors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influencing attendance at professional sporting events"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7 1.73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