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혼한 여성 한부모 어머니의 경험  :  삶의 위기에서 시작된 경험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63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 체험한 어머니 경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자녀가 있는 이혼여성이 결혼의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이혼 후에 자녀양육을 지속하면서 경험하는 어머니 체험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부계중심의 한국사회에서 결혼제도 밖으로 밀려난 여성 한부모가 경험하는 어머니의 본질적인 의미구조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혼한여성 한부모가 체험한 어머니경험의 의미구조는 ‘독립된 양육자로 살아가기’이며, 의미구조를 구성하는 6개의 구성요소는 ‘남편과 좋지 않은 관계가 지속됨’, ‘이혼사실을 확인함’, ‘자녀양육책임이 버겁게만 느껴짐’, ‘부정적인주위의 시선을 느낌’,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는 마음이 됨’, ‘여성한부모의 삶을 수용함’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혼을 통해 발생하는 여성의 삶의 변화라는 측면, 교육을 통한 사회적 편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측면, 이혼한 여성 한부모와 그의 가족에 공적인 사회복지지원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 체험한 어머니 경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자녀가 있는 이혼여성이 결혼의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이혼 후에 자녀양육을 지속하면서 경험하는 ...

      본 연구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 체험한 어머니 경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자녀가 있는 이혼여성이 결혼의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이혼 후에 자녀양육을 지속하면서 경험하는 어머니 체험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부계중심의 한국사회에서 결혼제도 밖으로 밀려난 여성 한부모가 경험하는 어머니의 본질적인 의미구조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혼한여성 한부모가 체험한 어머니경험의 의미구조는 ‘독립된 양육자로 살아가기’이며, 의미구조를 구성하는 6개의 구성요소는 ‘남편과 좋지 않은 관계가 지속됨’, ‘이혼사실을 확인함’, ‘자녀양육책임이 버겁게만 느껴짐’, ‘부정적인주위의 시선을 느낌’,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는 마음이 됨’, ‘여성한부모의 삶을 수용함’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혼을 통해 발생하는 여성의 삶의 변화라는 측면, 교육을 통한 사회적 편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측면, 이혼한 여성 한부모와 그의 가족에 공적인 사회복지지원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문헌 고찰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V. 논의 및 결론
      • I. 서론
      • II. 문헌 고찰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V.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아,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90년대 모성의 변화" 7 : 159-180, 1999

      2 김경애, "흔들리는 모성, 지속되는 모성역할: 저소득층 모자가정의 여성가장" 15 (15): 87-117, 1999

      3 신경림,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4 강기정, "한부모가족의 복지 지원체계로서의 가상공동체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웹사이트 활용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141-159, 2002

      5 송다영,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71-200, 2006

      6 조영희, "한부모가족 부,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39-151, 2004

      7 최경석,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3

      8 박민형, "한국 한부모 가족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이화여자대학교 2005

      9 김오남, "편모가족의 가족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16 (16): 107-124, 1998

      10 "통계청"

      1 신경아,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90년대 모성의 변화" 7 : 159-180, 1999

      2 김경애, "흔들리는 모성, 지속되는 모성역할: 저소득층 모자가정의 여성가장" 15 (15): 87-117, 1999

      3 신경림,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4 강기정, "한부모가족의 복지 지원체계로서의 가상공동체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웹사이트 활용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141-159, 2002

      5 송다영,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71-200, 2006

      6 조영희, "한부모가족 부,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39-151, 2004

      7 최경석,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3

      8 박민형, "한국 한부모 가족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이화여자대학교 2005

      9 김오남, "편모가족의 가족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16 (16): 107-124, 1998

      10 "통계청"

      11 김인지,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 이데올로기와 부모역할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25, 2005

      12 김은정,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아동양육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빈곤가족, 한부모가족, 장애인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 253-278, 2006

      13 노영주,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1998

      14 조혜정, "전통적 경험세계와 여성" 20 : 81-111, 1981

      15 김승연, "저속득층 '한부모가정'아동의 위기대응에 대한 문화지향적 상담"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595-613, 2003

      16 이재림,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39 (39): 49-64, 2001

      17 김미숙, "저소득 편부모 가족의 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8 권용은, "자녀가치와 출산율" 13 (13): 211-226, 2004

      19 옥선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사회관계망 지원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81-191, 2004

      20 한국여성개발원, "이혼가족을 위한 대책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6

      21 이영자, "이데올로기, 성평등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3

      22 장혜경, "여성한부모를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여성부 2001

      23 이숙현, "여성과 돌봄 : 모성과 부양의 여성화"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33-149, 2005

      24 조성연,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자녀양육방법" 한국생활과학회 12 (12): 579-593, 2003

      25 조성연,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53-167, 2004

      26 이용우, "여성 한부모 가구의 빈곤지위에 미치는 아동의 영향에 관한 국가간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05-132, 2006

      27 이은하, "억척 모성의 이중성과 자아 찾기- 박완서론"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4) : 269-291, 2004

      28 이재인, "소외계층 가족의 자녀양육지원 정책연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05

      29 박혜란, "성으로 본 여성의 실상-198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87

      30 송다영,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95-319, 2003

      31 옥선화, "빈곤 여성가장의 모-자녀 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7 (7): 55-78, 2002

      32 이연정, "모성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1994

      33 박명선, "독일의 여성 한부모 가족을 위한 지속가능한 가족정책 연구" 22 : 85-109, 2006

      34 조혜정, "도시가정의 주부가 경험하는 긍정적·부정적 가정생활 사건" 1 : 37-53, 1988

      35 Adrienne Rich,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 모성신화에 대한 반성" 평민사 2002

      36 김승권, "다양한 가족의 출현과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37 이재경, "노동자계급 여성의 어머니 노릇(mothering)의 구성과 갈등: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2 (12): 82-117, 2004

      38 서수경, "근대 모성담론을 통해 본 한국 가족정책의 방향" 대한가정학회 40 (40): 137-152, 2002

      39 변화순,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1

      40 김연옥, "가족복지론" 나남 2005

      41 최규련, "가족관계론" 공동체 2007

      42 정현숙, "가족관계" 학지사 2001

      43 Giorgi,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y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28 (28): 235-261, 1997

      44 Jung, M., "Meanings of Life of Mothers with Schizophrenic Child: an Interpretive Approach" 2 (2): 68-77, 1997

      45 Giorgi,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한국 질적 연구 센터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