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청자 문양의 詩 · 畵적 요소와 도상의 독창성 = The Lyric and Pictorial Elements and Unique Icon of Designs on Goryeo Celad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3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12세기 이후에 청자의 문양 소재가 다양해지고 독창적인 도상이 나타나는 배경을 당시 고려 문인 사회의 성격과 관련하여 보았다. 고려 12세기 전반은 예종(1105~1122)과 인종연간(11...

      본고에서는 12세기 이후에 청자의 문양 소재가 다양해지고 독창적인 도상이 나타나는 배경을 당시 고려 문인 사회의 성격과 관련하여 보았다. 고려 12세기 전반은 예종(1105~1122)과 인종연간(1122~1146)에 이르러 문학적 역량이 성숙되고, 북송 휘종제와의 긴밀한 관계로 인한 송대 서화의 대량 유입 등이 이루어졌다. 12세기 시부(詩賦)의 유행과 도교적 성향, 북송대 그림이라는 이 세 가지 요인이 고려 왕실과 문인 사회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고 영향력이 지속되면서 그들이 향유하던 청자의 문양 소재나 도상 등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문양 소재에서 요황(姚黃), 일념홍(一捻紅), 황촉규(黃蜀葵), 현학(玄鶴) 등이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왕의 덕과 위용을 상징하는 ‘상서(祥瑞)’의 시제(詩題)로 이용되었고, 동시에 청자의 문양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은 당시 고려내에서 청자의 위상이 높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12세기 이후에 『시경』이 널리 교육되고 읽히면서 훤초문, 물가의 대나무, 부예(鳧?), 버드나무, 갈대와 같은 시경시의 제재나 내용이 청자 문양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청자 매병에 표현된 ‘운학문’이나 ‘송하탄금문(松下彈琴文)’은 고려 왕실과 문인들의 도교적 성향이 그대로 반영된 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양들은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표징(表徵)’으로서 기능을 하였기 때문에 당시 상황에 맞게 변형되거나 창조되면서 독창적인 도상으로 재창조되었다.
      청자 문양은 여러 경우를 볼 때 그림과 관련성이 많으며, 이러한 경향은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회화적인 문양이 주로 보이는 시기는 12세기경에 집중되며, 이는 당시 북송 황실 서화의 대량 유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1116년에 송에 사신으로 갔던 김부식이 실견한 휘종의 친필(親筆) 그림인 <균장종학도(筠莊縱鶴圖)>와 <당십팔학사도(唐十八學士圖)>에서 고려청자의 문양과 많은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고려청자는 단순히 기능적인 그릇이 아니라 고려 문인(文人)들의 성향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문인 문화의 일부였다. 청자 문양이 그림을 모본으로 하였다고 하더라도 고려 문인들의 성향이 반영되어 도상의 의미를 강조하는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소재가 단독 문양으로 독립하는 등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of Goryeo celadon beginning in the late 12<SUP>th</SUP> century, and the character of the literati circles in Goryeo. In the first part of the 12<SUP>th...

      This thesis aim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of Goryeo celadon beginning in the late 12<SUP>th</SUP> century, and the character of the literati circles in Goryeo. In the first part of the 12<SUP>th</SUP> century, the cultural level was ripening during the years from King Yejong to King Injong, and there was a huge inflow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during the Song Dynasty, thanks to a close association with Emperor Huizong of Northern Song. The three factors of interest in poetry, taoism and the paintings from Northern Song seem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Goryeo Dynasty and the literati circles, which affected the motifs and icons of Goryeo celadon designs.
      In those days, the peonies, hibiscus, and black cranes used as the motifs for Goryeo celadon were not simple images but good omens that stand for the king’s virtue and dignity. The fact that they were used as the motifs for Goryeo celadon implies that the status of Goryeo celadon was so high. Meanwhile, as the Book of Odes became popular in the latter part of the 12<SUP>th</SUP> century, the motifs and contents such as daylilies, bamboos near waterside, natatorial birds, willows and reeds also influenced the designs of Goryeo celadon. Designs of clouds and cranes and an old man playing a Korean harp under pine trees inscribed in the Maebyeoung of Goryeo celadon show the Taoist character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literati circles. These designs were not simple images but were symbols, and when modified to harmoniz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time, which resulted in new, creative icons.
      We can conclude that the designs of the Goryeo celadon have a deep relation with paintings, which lasted from the 12<SUP>t</SUP>h to the 14<SUP>th</SUP> century. However, this tendency reached its peak in the 12<SUP>th</SUP> century, which seem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huge inflow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rom Northern Song. For example, the 〈Gyunjangjonghakdo〉 and 〈Danghaksippalsado〉 drawn by Huizong, which Kim Bu-sik, an envoy dispatched to the Song Dynasty in 1116, show that there are a lot of connections between paintings and Goryeo celadon.
      In conclusion, Goryeo celadon is not simply functional containers, but a culture itself reflecting the disposition of the Goryeo literati. Though the designs of Goryeo celadon originated from paintings, they were developed to be new ones on the potteries by putting an emphasis on some icons or transforming some icons into different o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청자 문양의 시 · 화적 요소의 성행 배경
      • Ⅲ. 청자 문양의 시 · 화적 요소와 의미
      • Ⅳ. 청자 문양의 화본 문제와 도상의 독창성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청자 문양의 시 · 화적 요소의 성행 배경
      • Ⅲ. 청자 문양의 시 · 화적 요소와 의미
      • Ⅳ. 청자 문양의 화본 문제와 도상의 독창성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하,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민족문화연구원 (53) : 477-516, 2010

      2 歐陽脩, "洛陽牡丹記" 藝文印書館 1965

      3 周師厚, "洛陽牡丹記"

      4 전관수, "한시어사전" 국학자료원 2002

      5 국립중앙박물관, "천하제일 비색청자" 2012

      6 구일회, "자연의 노래 유천리 고려청자" 국립중앙박물관 2011

      7 박성규, "역주 파한집" 보고사 2012

      8 박성규, "역주 보한집" 보고사 2012

      9 이기동, "시경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10 박은화,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55-92, 2008

      1 이은하,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민족문화연구원 (53) : 477-516, 2010

      2 歐陽脩, "洛陽牡丹記" 藝文印書館 1965

      3 周師厚, "洛陽牡丹記"

      4 전관수, "한시어사전" 국학자료원 2002

      5 국립중앙박물관, "천하제일 비색청자" 2012

      6 구일회, "자연의 노래 유천리 고려청자" 국립중앙박물관 2011

      7 박성규, "역주 파한집" 보고사 2012

      8 박성규, "역주 보한집" 보고사 2012

      9 이기동, "시경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10 박은화,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55-92, 2008

      11 정재철, "목은시에 있어서 시경시의 수용과 그 의의" 한국한문학회 24 : 43-69, 1999

      12 조인수, "도교 신선화의 도상적 기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5 : 57-79, 2001

      13 임주탁, "고려후기 궁중문화와 고려가요" 한국학중앙연구원 49-85, 1998

      14 허흥식, "고려의 과거 제도" 일지사 2005

      15 김성언, "고려사 세가 수록 시가(詩歌)의 문학론적 검토" 석당학술원 (54) : 179-209, 2012

      16 김윤정, "고려말 道敎 관련 銘文靑磁의 성격과 제작 배경"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 (창간) : 107-126, 2010

      17 백은경, "고려 상형청자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8 淺川伯敎, "高麗靑磁私考-歷史的に見た大口面窯蹟と十二世紀に於ける其背景" 13 : 261-270, 1955

      19 高裕燮, "高麗靑瓷" 乙酉文化社 1950

      20 片山まび, "高麗象嵌靑磁にあらわされた六鶴圖について" 桂書房 29-40, 2006

      21 李喜寬, "高麗睿宗與北宋徽宗-十二世紀初期的高麗靑瓷與汝窯·北宋官窯" 國立故宮博物院 31 (31): 65-115, 2013

      22 "高麗史"

      23 김병인, "高麗 睿宗代 道敎 振興의 배경과 추진세력" 호남사학회 20 : 1-21, 2003

      24 최윤정, "高麗 前期 文學의 詩經詩 수용 양상 고찰" 이화어문학회 19 : 107-134, 2001

      25 강경숙, "韓國陶磁史" 일지사 1989

      26 고연희, "韓·中 翎毛花草畵의 政治的 性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7 崔 滋, "補閑集"

      28 李仁老, "破閑集"

      29 李齊賢, "益齊亂藁"

      30 방병선, "皇帝․文人․景德鎭 - 淸朝 康․雍․乾期 靑花白瓷 硏究"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2 : 295-326, 2008

      31 鄧椿, "畫繼" 中國畵硏究資料社 1983

      32 李 穡, "牧隱集"

      33 "東文選"

      34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35 홍선표, "朝鮮時代繪畫史論" 文藝出版社 1999

      36 深澤一幸, "徽宗 瑞鶴圖の風景" 大阪大學大學院言語文化硏究科 39 : 95-116, 2013

      37 大同市文物陳列館, "山西省大同市元代馮道眞,王靑墓淸理簡報" 文物出版社 (10) : 34-43, 1962

      38 東京國立博物館, "宮廷の榮華 唐の女帝·則天武后とその時代展"

      39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40 이시찬, "宋元時期 高麗의 서적 수입과 그 역사적 의미" 동방한문학회 (39) : 309-336, 2009

      41 金廷姬, "宋代 詠花詩 硏究-四君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2 陳韻如, "奪造化, 興人意-宋代花鳥畵的畵史意義" 91-109, 2013

      43 林栢亭, "大觀 北宋書畵特展" : 國立故宮博物院 2006

      44 大同市博物館, "大同金代閻德源墓發掘簡報" 文物出版社 (4) : 1-13, 1978

      45 崔 豹, "古今注" 藝文印書館 1966

      46 "列仙傳"

      47 김윤정, "元代 瓷器에 보이는 故事人物紋의 도상과 畵本"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 (2) : 27-53, 2011

      48 蘇 軾, "仇池筆記" 藝文印書館 1965

      49 楊伯達, "中國金銀玻璃珐琅器全集3 金銀器" 河北美術出版社 2004

      50 Stephen Little, "TAOISM AND THE ART OF CHINA"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00

      51 Peter C. Sturman, "Cranes above KaiFeng: The Auspicious Image at the Court of HuiZong" 20 : 33-68,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 0.83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