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중립 추진 배경 및 현황 • 탄소중립이란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함으로 탄소 순배출량이 zero가 되게 하는 ‘넷-제로(Net-Zero)’ 달성하는 것을 의미함 • 국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94367
2021
Korean
320
학술저널
1-27(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탄소중립 추진 배경 및 현황 • 탄소중립이란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함으로 탄소 순배출량이 zero가 되게 하는 ‘넷-제로(Net-Zero)’ 달성하는 것을 의미함 • 국제...
□ 탄소중립 추진 배경 및 현황
• 탄소중립이란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함으로 탄소 순배출량이 zero가 되게 하는 ‘넷-제로(Net-Zero)’ 달성하는 것을 의미함
•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수립함
• 정부는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함(‘20.12.07)
• 충북을 포함한 타 시·도에서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음
- 강원도 ‘2040 탄소중립 추진전략 기본계획’ 발표(‘21.02.18)
- 전라남도 ‘2050 전라남도 탄소중립 비전’ 발표(‘21.03.03)
- 충청북도 ‘2050 탄소중립’ 선언(‘21.04.15)
□ 탄소중립에 따른 ESG 경영의 중요성 및 전망
• ESG 경영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 사회(S) 및 지배구조(G) 부문의 성과를 확대하기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을 의미함
•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공신력 있는 기관의 ESG 등급 평가 결과에 주목하고 있는 실정임
• 코로나19 이후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더욱 견고히 만들기 위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ESG가 기업 경영의 최대 화두로 떠오름
• 글로벌 탄소중립 선언,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및 EU의 탄소국경조정세 도입 논의 등이 본격화됨에 따라 ESG 경영의 중요성이 현실화 되고 있음
• ESG 기준을 적용한 글로벌 기업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모건스텐리(Morgan Stanley)에 따르면 ‘21년 하반기까지 ESG 기업 투자가 전체 투자 규모의 73%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5년에는 9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함
• 탄소중립에 따른 기후·환경변화의 중요성 대두로 ‘20년 기준, 84개국에서 ESG 정보 공시제도를 도입하고 있음
• ESG와 더불어 RE100 참여기업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 RE100은 ESG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기업 소비전력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글로벌 캠페인으로 ‘15년 50개의 글로벌 기업을 시작으로 ‘21년 현재, 3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음
□ 충북 ESG 경영 현황 분석
• ‘20년 ESG 등급 평가를 받은 국내 상장기업은 총 908개사로 코스피(KOSPI) 760개사 및 코스닥(KOSDAQ) 148개사
- 그러나 국내 상장기업의 68%는 ESG 경영 수준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20년 ESG 등급 평가를 받은 충북 소재(본사 기준) 기업은 총 16개사
- ‘20년 기준, 충북 소재(본사) 상장기업은 82개이며 그 중에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로부터 ESG 등급을 받은 기업은 16개로 전체 대비 약 19.5% 수준임
- (A+ 및 A 등급) 2개사, (B+ 및 B 등급) 6개사, (C 등급) 8개사
• 충북지역 내 ESG 관련 기업의 성과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ESG 등급 평가를 받은 기업(16개)이 등급평가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62개)보다 평균적으로 당기순이익의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충북 ESG 경영 지원정책 방향
• 충북 ESG 위원회 설립을 통한 ESG 경영 확산 전략 수립
- 충북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충북 산·학·관·민 ESG 위원회’ 설립 방안
• 기업의 ESG 관련 인식개선을 위한 네트워크 지원체계 마련
- ESG 관련 인식개선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지원 방안
• 충북 탄소중립 실천력 확보를 위한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
- 기업의 환경경영 및 친환경 생산체계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공 방안
• 기업의 ESG 관련 진단 및 비즈니스 혁신 지원
- 기업 맞춤형 ESG 비즈니스 모델 혁신 지원체계 구축 방안
• 기업의 ESG 등급평가 지원방안 마련
- ESG 등급평가에 필요한 컨설팅 및 인프라 구축 지원 방안
• ‘ESG 정보공개 통합 플랫폼’ 구축 필요
- 기업의 ESG 경영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구축 지원 방안
• 충북 ESG 경영 지원 조례 제정 방안 마련
- ESG 경영 지원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례 제정 방안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