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s originated in Choson’ chartered accommodation of wons which were destroyed in the confrontation with Japanese troops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hostelry served as a subset of pony station, catering to passengers’and travellers’nee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2253
2020
-
경기도 ; 역 ; 원 ; 주막 ; 주막명 ; Gyeonggi Province ; inn ; pony station ; toponym of inn ; won
980
KCI등재
학술저널
124-155(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ns originated in Choson’ chartered accommodation of wons which were destroyed in the confrontation with Japanese troops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hostelry served as a subset of pony station, catering to passengers’and travellers’need...
Inns originated in Choson’ chartered accommodation of wons which were destroyed in the confrontation with Japanese troops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hostelry served as a subset of pony station, catering to passengers’and travellers’needs. Inns of Gyeonggi Province were established along the highways heading toward terminal towns at the outskirt of Korean Peninsula, finding their places in town, marketplace, coaching center, pass, ford, bridge, etc. The booming economy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elped to spread inns further over the network of secondary lines of local period markets, while those at the crossroad of transportation gathered traveling population to boost local economy. Toponym associated with Gyeonggi inns hints at both phys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mountain pass, ravine, stream, rock, mountaintop, rapids, road, ford, market, bridge and pavilion. Innkeeper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affording lodge, selling spirits, entertaining travellers, policing local area, acting as plainclothesman, conveying taxes in kind, running posting service, and trading goods. Some Gyeonggi inn-villages emerged as central places hosting railway stations and county tow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other numerous ones were subject to be licensed and controlled as sources of tax for the colonial govern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坽,
2 丁若, "茶山詩文集"
3 송병기, "한말근대법령자료집 1․2․8" 국회도서관 1972
4 최호진, "한국화폐소사" 서문문고 1979
5 최선, "한국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6 박재덕, "한국전통 숙박시설의 변천에 관한 연구 : 朝鮮時代의 院을 中心으로" 경기대학 대학원 1984
7 김화진, "한국의 풍토와 인물" 을유문화사 1973
8 박원선, "한국의 장시" 46․47․48합 : 231-296, 1985
9 이상희, "한국의 술문화" 선 2009
10 조병로, "한국사 33: 조선후기의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1997
1 金坽,
2 丁若, "茶山詩文集"
3 송병기, "한말근대법령자료집 1․2․8" 국회도서관 1972
4 최호진, "한국화폐소사" 서문문고 1979
5 최선, "한국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6 박재덕, "한국전통 숙박시설의 변천에 관한 연구 : 朝鮮時代의 院을 中心으로" 경기대학 대학원 1984
7 김화진, "한국의 풍토와 인물" 을유문화사 1973
8 박원선, "한국의 장시" 46․47․48합 : 231-296, 1985
9 이상희, "한국의 술문화" 선 2009
10 조병로, "한국사 33: 조선후기의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1997
11 최완기, "한국사 33: 조선후기의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308-311, 1997
12 허흥식, "한국금석전문" 아세아문화사 1984
13 정수현, "한국, 중국, 일본의 숙박(宿泊)문화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33-248, 2015
14 허원영, "필사본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 연구" 경인문화사 71-114, 2010
15 성희제, "지명어의 구성" 한국지명학회 12 : 129-156, 2006
16 남동신, "중세 한국 사회와 불교" 인문과학연구소 (8) : 95-113, 2003
17 원유한, "조선후기 화폐사" 혜안 2008
18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 연구" 지식산업사 1998
19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3
20 유승원, "조선초기 신분제 연구" 을유문화사 1988
21 최효식, "조선전기의 원에 대한 소고" 1 : 303-351, 1980
22 최재경, "조선시대 「원」에 대하여" 4 : 35-72, 1975
23 김준혁, "조선시대 선비들의 탁주(濁酒) 이해와 음주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46) : 131-158, 2014
24 남도영, "조선시대 군사통신조직의 발달" 국사편찬위원회 9 : 73-143, 1983
25 유승주, "조선시대 광업사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26 샤를르 달레, "조선교회사서론" 탐구당 1983
27 김대길, "조선 후기 장시 발달과 사회ㆍ문화 생활 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87-113, 2012
28 나종우, "전통 숙박시설의 변천" 37 : 109-132, 1979
29 황성신문, "잡보 “葉白參半訓令”"
30 이채원,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한국역사민속학회 (33) : 327-357, 2010
31 박정식, "우리나라 도시 특급호텔의 공간구성 변화와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建國大學校 産業大學院 1992
32 허시명, "우리 전통 술의 순례" 2 (2): 114-118, 2009
33 배도식, "옛 주막의 민속적 고찰" 15 : 85-108, 1982
34 최영준, "영남대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35 이춘녕,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36 한희숙, "서암 조항래 교수 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아세아문화사 171-191, 1992
37 정치영, "사대부, 산수유람을 떠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38 다산연구회, "목민심서 V" 창작과비평사 1992
39 다산연구회, "목민심서 III" 창작과비평사 1992
40 한진호, "도담행정기" 일조각 1993
41 조혁연, "대한제국기 진천군의 주막 입지와 경영" 호서사학회 (72) : 79-128, 2014
42 최윤오, "대한제국기 진천군 양안의자작농과 경영지주" 한국사연구회 (132) : 221-254, 2006
43 박경안, "대한제국기 忠州郡金目面의 주막에 관하여 - 광무양안의 분석을 중심으로 -" 역사실학회 (42) : 93-123, 2010
4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구례 유씨가의 생활일기(상)" 1991
45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 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 조혁연, "광무양안과 대한제국기 충남 문의군의 酒幕" 한국지적정보학회 19 (19): 15-31, 2017
47 정용범, "고려시대 사원의 상업활동" 효원사학회 30 : 531-552, 2006
48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혜안 2013
49 정용범, "고려시대 酒店과 茶店의 운영" 부산경남사학회 (92) : 1-35, 2014
50 한기문, "고려시대 寺院의 정기 行事와 交易場" 대구사학회 100 : 133-162, 2010
51 구산우, "고려시기의 촌락과 사원-在家和尙ㆍ隨院僧徒의 실체와 관련하여-" 한국중세사학회 13 : 5-39, 2002
52 이병희, "고려시기 사원의 건립과 그 경제적 의미, In 고려시대 사원과 유럽 수도원을 통해 본 중세" 9-34, 2012
53 이병희, "고려시기 사원경제 연구" 경인문화사 2009
54 정요근, "고려 중.후기 '임진도로(臨津渡路)'의 부상(浮上)과 그 영향" 한국역사연구회 (59) : 197-227, 2006
55 이상훤, "고려 사원의 상행위 고" 9 : 5-27, 1991
56 서성호, "고려 무신집권기 상공업의 전개" 37 : 84-110, 1992
57 조성운, "개항기 근대여관의 형성과 확산" 부산경남사학회 (92) : 135-172, 2014
58 임종국, "강나루 건너서 밀밭길을 –주막·여관·호텔-" 95 : 358-366, 1971
59 "高麗史"
60 전영준, "高麗 睿宗代의 사찰 창건과 승도 동원 -惠陰寺新創記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97) : 29-54, 2004
61 중앙일보, "風紀問題로 酒幕을 嚴取締"
62 小林房次郞, "韓國土地農産調査報告(京畿道․江原道․忠淸道)"
63 度支部司稅局, "韓國各府郡市場狀況調査書I(京畿)" 1909
64 金鍾憲, "韓國交通建築의 變遷과 發達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65 李德懋, "靑莊館全書"
66 權近, "陽村集"
67 "重訂南漢志"
68 公州憲兵隊本部, "酒幕談叢3" 1914
69 申景濬, "道路考"
70 成俔, "虛白堂集"
71 "薊山紀程"
72 權馥, "繡衣紀行"
73 "經國大典"
74 "磻溪隨錄"
75 尹國馨, "甲辰漫錄"
76 黃梓, "甲寅燕行錄"
77 "牧民心書"
78 權相一, "淸臺日記"
79 자유민보, "松島에 파市海邊酒幕五十餘"
80 金正浩, "東輿圖志"
81 姜弘重, "東槎錄"
82 龜岡榮吉, "朝鮮鐵道沿線要覽" 朝鮮拓植資料調査會 1927
83 "朝鮮總督府官報"
84 "朝鮮王朝實錄"
85 이병희, "朝鮮前期 寺刹의 亡廢와 遺物의 消失" 불교문화연구원 (59) : 175-205, 2011
86 유옥경, "朝鮮 後期 風俗畵에 나타난 酒壚의 視覺的 再現" 한국미술연구소 (27) : 223-251, 2008
87 尹拯, "明齋遺稿"
88 "日省錄"
89 玄公廉, "新訂分道大韓帝國地圖"
90 "新增東國輿地勝覽"
91 "承政院日記"
92 韓鎭㦿, "島潭行程記"
93 손성필, "寺刹의 혁거, 철훼, 망폐: 조선 태종․세종대 승정체제 개혁에 대한 오해" 진단학회 (132) : 57-94, 2019
94 洪仁浩, "審理錄"
95 李健命, "寒圃齋集"
96 "大東地志"
97 今村鞆, "增補朝鮮風俗集"
98 김순배, "地名 變遷의 地域的 要因: 16세기 이후 大田 지방의 漢字 地名을 사례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65-85, 2004
99 "各司謄錄"
100 宋相琦, "南遷錄"
101 申晸, "南行日錄"
102 崔益鉉, "勉庵集"
103 "備邊司謄錄"
104 朴泳孝, "使和記略"
105 샹투生, "京城의 二十年間變遷" 48 : 66-70, 1924
106 주영하, "‘주막’의 근대적 지속과 분화 : 한국음식점의 근대성에 대한 일고(一考)" 실천민속학회 11 : 5-28, 2008
107 Wright, G. N., "Turnpike Roads" Shire Publications Ltd 1992
108 Eberlein, H. D., "The English Inn Past and Present" J. B. Lippincott Co 1926
109 Ellis, M., "The Coffee House : A Cultural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2004
110 Everitt, A., "Perspectives in English Urban History" 91-137, 1973
111 Gale, J. S., "Korean Sketches" Fleming H. Revell Co 1898
112 Bishop, I. B., "Korea and Her Neighbours" Yonsei University Press 1898
113 Ellis, M., "Eighteenth-Century Coffee-House Culture Vol.1 Restoration Satire" Pickering & Chatto xi-xlix, 2006
114 조혁연, "19세기 충주지역 주막의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5
115 최동원, "18~19세기 西郊지역 商業發達과 場市의 動向" 조선시대사학회 (43) : 167-211, 2007
116 한상권, "18세기말~19세기초의 장시발달에 대한 기초연구" 7 : 179-237, 1981
117 이세영, "18, 9세기 곡물시장의 형성과 유통구조의 변동" 9 : 185-254, 2003
118 이정민, "11․12세기 수도원의 재원과 운영, in 고려시대 사원과 유럽 수도원을 통해 본 중세" 35-48, 2012
동해안 지역의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인재상
17세기 후반 『동여비고(東輿備攷)』의 제작 배경과 내용적 특징 - 관련 저본(底本) 및 모사본(模寫本)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세계유산제도를 통한 ‘살아있는 유산’ 보존과 지역정체성 찾기 - 부산 피란민 생활 주거지를 사례로 -
동해 표기 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의 입장 및 논쟁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12-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0.935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