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회선진화법과 입법교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0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2년 통과된 국회선진화법은 여야 간의 합의로 통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당은 야당이 국회운영에 대해 너무 큰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선진화법은 실제로 국회를 마비상태에 빠뜨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으나, 실제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아직까지는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입법교착 현상이 심화되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 이 논문은 국회선진화법의 내용들을 일별하여 그 구체적인 제도들이 입법교착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국회선진화법이 입법교착을 불러오리라는 예측은 논리적 근거가 결여되어 있고, 현실과도 부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한국 국회의 입법교착의 근본원인은 한국 정당들의 이념적 양극화에 더 큰 원인이 있다고 보인다.
      번역하기

      2012년 통과된 국회선진화법은 여야 간의 합의로 통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당은 야당이 국회운영에 대해 너무 큰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선진화...

      2012년 통과된 국회선진화법은 여야 간의 합의로 통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당은 야당이 국회운영에 대해 너무 큰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선진화법은 실제로 국회를 마비상태에 빠뜨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으나, 실제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아직까지는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입법교착 현상이 심화되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 이 논문은 국회선진화법의 내용들을 일별하여 그 구체적인 제도들이 입법교착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국회선진화법이 입법교착을 불러오리라는 예측은 논리적 근거가 결여되어 있고, 현실과도 부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한국 국회의 입법교착의 근본원인은 한국 정당들의 이념적 양극화에 더 큰 원인이 있다고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2, South Korean assembly passed important revis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Though both ruling and oppositional parties agreed on these revisions, the Saenuri party, the current majority party of South Korea, keeps complaining that these revisions gives the oppositional party so much power that now they are capable of freezing the legislation process at their will. Despite the grim forecast that the new National Assembly Act will end up bringing severe gridlock, so far there is no formidable evidence that the gridlock has actually been intensifi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visions, and to see if they will cause gridlock. It concludes that the negative claims about the revisions lack any logical grounds, and that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is far more important cause of the gridlock than the revisions
      번역하기

      In 2012, South Korean assembly passed important revis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Though both ruling and oppositional parties agreed on these revisions, the Saenuri party, the current majority party of South Korea, keeps complaining that these...

      In 2012, South Korean assembly passed important revis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Though both ruling and oppositional parties agreed on these revisions, the Saenuri party, the current majority party of South Korea, keeps complaining that these revisions gives the oppositional party so much power that now they are capable of freezing the legislation process at their will. Despite the grim forecast that the new National Assembly Act will end up bringing severe gridlock, so far there is no formidable evidence that the gridlock has actually been intensifi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visions, and to see if they will cause gridlock. It concludes that the negative claims about the revisions lack any logical grounds, and that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is far more important cause of the gridlock than the revis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국회선진화법의 내용
      • Ⅲ. 국회선진화법은 입법교착의 원인인가?
      • Ⅳ. 결론 및 전망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국회선진화법의 내용
      • Ⅲ. 국회선진화법은 입법교착의 원인인가?
      • Ⅳ. 결론 및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진영, "필리버스터 제도의 국회 도입: 논의 및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2012

      2 이상렬, "최경환 ‘법안 통과 막는 국회선진화법은 국회마비법’"

      3 장관순, "주호영 “ ‘국회선진화법’ 권한쟁의심판 쪽으로 가닥”"

      4 박찬표, "제18대 국회의 국회법 개정과정에 대한 분석: ‘다수결 원리’와 ‘소수권리’간의 타협은 어떻게 가능했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39-71, 2012

      5 전진영, "제18대 국회 원내정당의 정당응집성 분석" 한국정당학회 9 (9): 119-139, 2010

      6 박대로, "재차 주목받는 안건조정委… 여야 희비 엇갈려"

      7 임성호, "원내정당화와 정치개혁 : 의회민주주의 적실성의 회복을 위한 소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9 (9): 133-166, 2003

      8 정진민, "생산적 국회운영을 위한 대통령: 국회 관계와 정당" 한국정당학회 7 (7): 77-102, 2008

      9 임재금, "본회의 무제한 토론제 도입에 따른 예상 및 과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205-213, 2012

      10 정진민, "민주화 이후의 정치제도: 원내정당화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3 (13): 115-142, 2007

      1 전진영, "필리버스터 제도의 국회 도입: 논의 및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2012

      2 이상렬, "최경환 ‘법안 통과 막는 국회선진화법은 국회마비법’"

      3 장관순, "주호영 “ ‘국회선진화법’ 권한쟁의심판 쪽으로 가닥”"

      4 박찬표, "제18대 국회의 국회법 개정과정에 대한 분석: ‘다수결 원리’와 ‘소수권리’간의 타협은 어떻게 가능했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39-71, 2012

      5 전진영, "제18대 국회 원내정당의 정당응집성 분석" 한국정당학회 9 (9): 119-139, 2010

      6 박대로, "재차 주목받는 안건조정委… 여야 희비 엇갈려"

      7 임성호, "원내정당화와 정치개혁 : 의회민주주의 적실성의 회복을 위한 소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9 (9): 133-166, 2003

      8 정진민, "생산적 국회운영을 위한 대통령: 국회 관계와 정당" 한국정당학회 7 (7): 77-102, 2008

      9 임재금, "본회의 무제한 토론제 도입에 따른 예상 및 과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205-213, 2012

      10 정진민, "민주화 이후의 정치제도: 원내정당화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3 (13): 115-142, 2007

      11 문우진, "다당제에서의 당파표결과 정당충성도: 17대 및 18대 전반국회 분석"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5-40, 2011

      12 유세환, "국회선진화법에 대한 인식론적 민주주의의 관점" 2 (2): 112-137, 2012

      13 정진민, "국회선진화법과 19대 국회의 과제: 국회 운영방식과 대통령-국회 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6 (6): 5-29, 2013

      14 전진영, "국회 입법교착의 양상과 원인에 대한 분석"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171-196, 2011

      15 최인수, "감사원장 임명동의안 표결, 野 무제한 토론 불허"

      16 전진영, "“국회법” 개정안 중 의안자동상정제와 안건신속처리제의 입법영향분석" 국회입법조사처 2013

      17 이혜영, "‘국회선진화법=국회마비법’ 변호사들 헌법소원 제기"

      18 Mann, Thomas E, "The Broken Branch: How Congress is Failing America and How to Get it Back on Trac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9 Sinclair, Barbara, "Question: What’s Wrong with Congress-Answer: It’s a Democratic Legislature" 89 : 387-397, 2009

      20 Weber, Max, "Politics as a Vocation"

      21 Lijphart, Arend, "Patterns of Democracy: Government Forms and Performance in Thirty-Six Countries" Yale University Press 1999

      22 Mayhew, David R., "Is Congress the Broken Branch?" 89 : 357-369, 2009

      23 Mayhew, David R., "Congress: The Electoral Connection" Yale University Press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