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0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세대연구의 현황을 검토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치·사회적으로 세대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경험연구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많은 연구에서 발견되는 오류로 인해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첫째, 세대가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지 혼란스럽고, 둘째, 특정 시점에 고정된 분석으로 인해 세대 정체성의 변화와 지속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셋째, 정치적 세대와 사회문화적 세대의 차이점이 간과되어 왔고, 마지막으로 엘리트 수준과 대중 수준을 구별하지 않음으로 인해 세대현상의 다이내미즘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주요 쟁점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해야만 생산적이고 누적적인 경험연구가 이뤄질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세대연구의 현황을 검토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치·사회적으로 세대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경험연구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세대연구의 현황을 검토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치·사회적으로 세대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경험연구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많은 연구에서 발견되는 오류로 인해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첫째, 세대가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지 혼란스럽고, 둘째, 특정 시점에 고정된 분석으로 인해 세대 정체성의 변화와 지속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셋째, 정치적 세대와 사회문화적 세대의 차이점이 간과되어 왔고, 마지막으로 엘리트 수준과 대중 수준을 구별하지 않음으로 인해 세대현상의 다이내미즘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주요 쟁점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해야만 생산적이고 누적적인 경험연구가 이뤄질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sheds some light on the pitfalls of existing studies on the political generation. While the subject of generation draws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most of extant works show bo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1) missspecified use of the concept of generation, 2) static approaches that hinder to distinguish between life-cycle and generational components, 3) failure to see the distinctive aspects of political and socio-cultural generation, 4) overlooking the role of elites in forming generational identity. Taking the issues seriously into consideration will facilitate more productive and cumulative research on the generation.
      번역하기

      The paper sheds some light on the pitfalls of existing studies on the political generation. While the subject of generation draws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most of extant works show bo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1) missspec...

      The paper sheds some light on the pitfalls of existing studies on the political generation. While the subject of generation draws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most of extant works show bo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1) missspecified use of the concept of generation, 2) static approaches that hinder to distinguish between life-cycle and generational components, 3) failure to see the distinctive aspects of political and socio-cultural generation, 4) overlooking the role of elites in forming generational identity. Taking the issues seriously into consideration will facilitate more productive and cumulative research on the gene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사회변동과 세대개념
      • Ⅲ. 연령-기간-세대 효과(APC)
      • Ⅳ. 정치적 세대 이해와 엘리트의 역할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사회변동과 세대개념
      • Ⅲ. 연령-기간-세대 효과(APC)
      • Ⅳ. 정치적 세대 이해와 엘리트의 역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재, "한국의 세대론과 세대문화코드" 145-151, 2004

      2 이갑윤, "한국선거에서의 연령과 투표참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4 (14): 93-115, 2008

      3 노환희, "한국 선거에서의 세대 효과: 1997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2 (12): 113-140, 2013

      4 박현채,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1945-1991: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도서출판 소나무 1992

      5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6 가라타니 고진, "역사와 반복" 도서출판b 2008

      7 박권일, "세대와 정당정치: 정치적 세대동맹의 역사와 의미" 54-72, 2012

      8 김지연, "데이터를 통한 대선 분석" 2013

      9 안토니오 그람씨, "그람씨의 옥중수고 I" 도서출판 거름 1986

      10 Jackson, (Rev.) Jesse, "What is Patriotism?"

      1 김희재, "한국의 세대론과 세대문화코드" 145-151, 2004

      2 이갑윤, "한국선거에서의 연령과 투표참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4 (14): 93-115, 2008

      3 노환희, "한국 선거에서의 세대 효과: 1997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2 (12): 113-140, 2013

      4 박현채,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1945-1991: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도서출판 소나무 1992

      5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6 가라타니 고진, "역사와 반복" 도서출판b 2008

      7 박권일, "세대와 정당정치: 정치적 세대동맹의 역사와 의미" 54-72, 2012

      8 김지연, "데이터를 통한 대선 분석" 2013

      9 안토니오 그람씨, "그람씨의 옥중수고 I" 도서출판 거름 1986

      10 Jackson, (Rev.) Jesse, "What is Patriotism?"

      11 Stimson, James A., "Tides of Consent: How Public Opinion Shapes American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2 Converse, Philip E., "The Dynamics of Party Support: Cohort-analyzing Party Identification" Sage Publications 1976

      13 Ryder, Norman B., "The Cohort As a Concept in the Study of Social Change" 30 (30): 843-861, 1965

      14 Martin, William P., "The Best Liberal Quotes Ever: Why The Left Is Right" Sourcebooks 2004

      15 Mason, K. O., "Some methodological issues in cohort analysis of archival data" 38 : 242-258, 1973

      16 Yang, Yang,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S. 1972-2004: An Age-Period-Cohort Analysis" 73 : 204-226, 2008

      17 Hyman, Herbert H., "Secondary Analysis of Sample Survey" Wesleyan University Press 1972

      18 Sartori, Giovanni, "Politics and Social Sci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65-100, 1969

      19 Marsh, David, "Political Socialization: The Implicit Assumptions Questioned" 1 (1): 453-465, 1971

      20 Hyman, Herbert H., "Political Socialization: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Political Behavior" The Free Press 1959

      21 Mason, William M.,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Elsevier 2002

      22 Przeworski, Adam, "Institutionalization of Voting Patterns, or is Mobilization the Source of Decay?" 69 (69): 49-67, 1975

      23 Fiorina, Morris, "If I Could Hold a Seminar for Political Journalists …" 10 (10): 2-10, 2013

      24 Fullerton, Andrew S., "Generational Conflict Or Methodological Artifact?: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olicy Attitudes in the U.S., 1984-2008" 74 (74): 643-673, 2010

      25 Kertzer, David I.,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9 : 125-149, 1983

      26 van den Broek, Andries, "Does Differential Cohort Socialization Matter? The Impact of Cohort Replacement and the Presence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Netherlands" 20 (20): 501-523, 1999

      27 Glenn, Norval D., "Cohort Analysts’ Futile Quest: Statistical Attempts to Separate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41 (41): 900-904, 1976

      28 Frenk, Steven M., "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Cohort and Period Effects in Hierarchical Age-Period-Cohort Models: Applications to Verbal Test Scores and Voter Turnout in U.S. Presidential Elections"

      29 Yang, Yang, "Age-period-cohort Analysis: New Models, Methods, And Empirical Applications" CRC Press 2013

      30 고성국, "4·19, 6·3 세대 변절·변신론" 24 : 59-7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