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학습에서, 학습방법, 학습스케줄, 과제난이도, 학습의 장기보유, 전이, 메타인지적 학습전략선택, 분산주의의 일곱 가지 변인이 학습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7341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프트웨어 학습에서, 학습방법, 학습스케줄, 과제난이도, 학습의 장기보유, 전이, 메타인지적 학습전략선택, 분산주의의 일곱 가지 변인이 학습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
소프트웨어 학습에서, 학습방법, 학습스케줄, 과제난이도, 학습의 장기보유, 전이, 메타인지적 학습전략선택, 분산주의의 일곱 가지 변인이 학습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학습방법과 학습스케줄은 학습관련연구에서 중요하게 여겨져온 두 가지 변인이다. 이들이, 다른 인지적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할 것이다.
실험 1에서는 학습방법 (언어적 vs. 경험적 학습)과 학습스케줄 (간격 vs. 덩이진학습)이 소프트웨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언어적/경험적 학습방법 모두에서 학습의 간격효과 (spacing effect)를 보고하고 있지만, 일반화에 뚜렸한 제한점이 있었다.
실험 2에서는 과제난이도에 따라 학습방법과 학습스케줄이 소프트웨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과제난이도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지만, 이 변인이 소프트웨어 학습에서 학습방법/스케줄과 함께 연구된 적은 없다.
실험 3에서는 학습방법/학습스케줄에 따른 학습의 장기보유 (long-term retention)을 검증할 것이다. 학습의 목표는 학습직후의 일시적인 과제수행능력이 아니라, 습득한 기술을 얼마나 오랫동안 기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가이기 때문에 장기보유를 검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험 4에서는 학습방법/학습스케줄에 따른 학습의 전이 (transfer of learning)을 검증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들의 기능이 복잡, 다양해 짐에 따라, 특정 기능의 사용기술이 다른 기능의 사용기술로 전이가능성은 더 중요해 졌다. 어떻게 학습하느냐에 따라 전이가 달라질 것이라는 가정하에, 학습방법/스케줄에 따른 전이효율성을 검증한다.
실험 5에서는 메타인지적인 학습전략의 선택에 따라 학습결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할 것이다. 많은 사용자들은, 스스로 판단하기에 효율적인 학습스케줄에 따라 학습한다. 실험참가자들에게 학습스케줄을 선택하게 한 다음, 그들의 학습결과가 다른 조건의 학습결과보다 우수한지 혹은 저조한지를 검증할 것이다.
실험6에서는 분산주의 (split attention)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인지부하이론 (cognitive load theory)에서 분산주의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실험에서는, (a) 사용설명서만 주어진 조건 [언어적 학습]과 (b) 사용설명서와 제품이 함께 주어진 조건[통합학습]을 비교하여, 사용설명서만 주어진 조건에서 학습이 더 효율적이었음을 비교하였다. 그러나, 제 3의 조건 즉, 제품만 주어진 조건 [경험적 학습]이 비교에서 누락되었다. 언어적 학습, 경험적 학습, 통합학습을 비교하여 분산주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 세 조건에서의 학습이 학습스케줄과 상호작용을 보이는지도 검증할 것이다.
제안한 여섯 개의 실험은 다양한 맥락에서 학습방법과 학습스케줄의 영향력을 검증한다. 그 결과는 이론적인 측면에서뿐만이 아니라, 현실적인 측면에서도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