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 인지, 정서 요인이 청소년의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 = Individual, cognitive, affective factors influencing amount of cigarette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37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cigarette consumption among smoking adolescents.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affective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cigarette consumption among smoking adolescents.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affective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0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se students are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areas of Seoul, receiving special financial support from the city govern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level of cigarette consumption increased as the age at smoking initiation, an individual factor, decreased.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smoking-efficacy, self-control and cognitive factors increased the amount of cigarette consumption among smoking adolesc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more aggressiv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smoking teenagers, with a cautious approach that focuses on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들이 청소년의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서울시에 거주하며 교육복지투자사업 대상 중학교에 재학 중인 흡연 청소...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들이 청소년의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서울시에 거주하며 교육복지투자사업 대상 중학교에 재학 중인 흡연 청소년 1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개인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들이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인적 요인 중 처음 흡연시기가 빠를수록 흡연량이 많아졌으며, 인지적 요인 중 금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흡연량이 많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에 대한 흡연 예방 및 초기 개입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금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성옥, "흡연유혹의 영향요인 비교연구 - 청소년과 성인 -" 한국간호과학회 36 (36): 561-570, 2006

      2 김명식,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및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1-23, 2006

      3 석소현, "흡연 남성에게 적용한 이압요법이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흡연욕구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 18 (18): 781-789, 2006

      4 진정화, "허브요법이 대학생 흡연 집단의 흡연량과 뇨중 코티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 주식회사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 7 (7): 183-198, 2009

      5 백경신, "학령전기 흡연예방프로그램이 아동의 흡연 지식, 흡연 태도 및 흡연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 (19): 358-367, 2008

      6 김현옥, "청소년의 흡연관련 사회적 환경, 흡연거절기술 및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한국아동간호학회 9 (9): 237-249, 2003

      7 유병근, "청소년들의 흡연 및 음주 실태" 대한소아과학회 52 (52): 422-428, 2009

      8 신성례, "청소년들의 교육환경 특성이 금연 의지에 미치는 예측변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1) : 5-26, 2007

      9 신성례,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자기주장 훈련 비디오 개발과 효과검증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2 (32): 336-343, 2002

      10 배정이, "청소년 물질남용의 구조 모형"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46-457, 2009

      1 장성옥, "흡연유혹의 영향요인 비교연구 - 청소년과 성인 -" 한국간호과학회 36 (36): 561-570, 2006

      2 김명식,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및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1-23, 2006

      3 석소현, "흡연 남성에게 적용한 이압요법이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흡연욕구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 18 (18): 781-789, 2006

      4 진정화, "허브요법이 대학생 흡연 집단의 흡연량과 뇨중 코티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 주식회사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 7 (7): 183-198, 2009

      5 백경신, "학령전기 흡연예방프로그램이 아동의 흡연 지식, 흡연 태도 및 흡연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 (19): 358-367, 2008

      6 김현옥, "청소년의 흡연관련 사회적 환경, 흡연거절기술 및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한국아동간호학회 9 (9): 237-249, 2003

      7 유병근, "청소년들의 흡연 및 음주 실태" 대한소아과학회 52 (52): 422-428, 2009

      8 신성례, "청소년들의 교육환경 특성이 금연 의지에 미치는 예측변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1) : 5-26, 2007

      9 신성례,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자기주장 훈련 비디오 개발과 효과검증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2 (32): 336-343, 2002

      10 배정이, "청소년 물질남용의 구조 모형"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46-457, 2009

      11 윤숙희, "직장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 및 흡연 행태" 한국보건사회학회 19 : 25-42, 2006

      12 박선희, "중학생의 흡연시작 및 흡연빈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5-27, 2007

      13 최은영,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소변 내 코티닌 수치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학회 14 (14): 103-111, 2012

      14 김동석, "일부 지역 대학생의 흡연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841-1848, 2013

      15 장경오, "일개 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흡연에 관한 유해성지식, 태도가 흡연유혹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522-531, 2010

      16 이철우,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흡연여중생의 흡연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8 (8): 493-511, 2007

      17 김경희, "여자 중학생의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11 (11): 14-22, 2005

      18 석소현, "성인남성의 흡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 16 (16): 113-120, 2007

      19 이보은, "서울 시내 일부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의 흡연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167-185, 2004

      20 전종설, "보호관찰 청소년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61-89, 2010

      21 홍지영, "범이론적 모형에 근거한 고등학생의 흡연시작 관련요인" 대한예방의학회 39 (39): 67-73, 2006

      22 강이주, "남자고등학생들의 흡연 영향 요인 분석"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121-142, 2005

      23 박미경, "금연프로그램이 흡연근로자의 흡연량과 니코틴의존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 (37): 1073-1079, 2007

      24 김영숙, "국내 청소년 흡연과 금연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53-62, 2010

      25 Ahn, J. 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of depression and smoking of high-school girls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2001

      26 Simons-Morton, B. G., "The protective effect of parental expectations against early adolescent smoking initiation" 19 (19): 561-569, 2004

      27 Son, Y. J.,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modal non-smoking program for adolescent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2

      28 Kim, I. H.,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 on chang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boy's" 14 (14): 242-252, 2003

      29 Lee, J. H.,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12 (12): 716-731, 2001

      30 Lim, K. Y., "The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to adolescents smoking motivation, smoking behavior, nicotine depend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2012

      31 Derogatis, L. R., "The SCL-90 : An psychiatric rating scale preliminary report" 9 : 13-27, 1977

      3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uthor 2013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8th Online-Survey on Adolescent Heal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34 Kristjansson, A. L., "Social correlates of cigarette smoking among Icelandic adolescents :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8 (8): 8-, 2008

      35 Piko, B., "Smoking in adolescence: Do attitudes matter?" 26 (26): 201-217, 2001

      36 Jeong, T. H., "Smoking behavior and its related factors in male students of one senior high school in Taegu" 19 (19): 58-67, 1998

      37 Oh, H. S., "Smoking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rural area" 13 : 31-39, 2007

      38 Kam, S., "Smoking and alcohol abuse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aegu city" 4 (4): 233-253, 2000

      39 Shin, S. R., "Self efficacy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11 (11): 663-672, 1999

      40 Kim, S. W., "Risk factors for the smoking initi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2 (2): 58-69, 2002

      41 Velicer, W. F., "Relapse situations and self-efficacy : An integrative model" 15 (15): 271-283, 1990

      42 Lee, S. Y.,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moking" 8 (8): 197-217, 2001

      43 Sohn, J. N., "Predictors of cigarette smoking behavior among gir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6 (6): 316-329, 2000

      44 Park, S. W., "National policy for adolescent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7 : 22-34, 2007

      45 Kim, H. S.,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46 Fagerstrom, K. O., "Measuring nicotine dependence : A review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12 (12): 159-182, 1989

      47 Kim, K. I.,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Chung-Ang Aptitude Publishing 1984

      48 Engels, R. C., "Influence and selection processes in friendships and adolescent smoking behaviour : The role of parental smoking" 27 (27): 531-544, 2004

      49 Paek, K. S.,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according to their smoking status" 15 (15): 277-288, 2002

      50 Kim, H. K., "Factors influencing the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13 (13): 376-386, 2002

      51 Noh, J. L., "Effectivenes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male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social factors" Yonsei University 1996

      52 Kim, S. Y. J., "Development of school-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Korean smoking adolescents" 11 (11): 462-473, 2002

      53 Lee, S. G., "Determinants of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6 (6): 77-94, 2001

      54 Seo, H. J., "Comparisons of smoking and non-smok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characteristics, stress level, and self-concept" Keimyung University 2002

      55 Han, K. S., "Attitude type about smoking of smoking middle school students" 13 (13): 481-492, 2002

      56 Jeon, Y. C.,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adolescents'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1 (1): 89-109, 2010

      57 Kim, S. N., "A study on the reality of non-smoking education of school nurses and health teachers holding additional job and a demand for non-smoking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n Busan" 21 (21): 25-36, 2007

      58 Baek, K. O.,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mok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13 (13): 471-480, 2002

      59 Jeong, M. Y, "A study on the factors of effecting on smoking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ity area" 27 (27): 39-52, 2001

      60 Lee, C. Y., "A study of adolescent smoking related factors in the Seoul area" 15 (15): 95-101, 2004

      61 Cho, H. H., "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e adolescent's smok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4

      62 Chung, H. K.,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igh school student's smoking experiencing" 31 (31): 610-618, 2001

      63 Kim, J. H., "A Study on Strain and Juvenile Delinquenc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