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공청사시설을 통한 권력과 공공성의 구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76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 building i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latform for nation or even local government of all ages. It needs spatial securities because the government building is an office of national works and business. Nevertheless, the building is a public sphere with guaranteed autonomy of spatial experiences. It means government building has a dilemma about realization of power and publicness in spatial design and operation, and it also means the building makes coexistence of those opposed notions in a spatial environment.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dissertation purposes reveal an establishment of power and publicness in spatial structure of government buildings and deduct architectural design methods for open government buildings. For those purposes, it conducts an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government buildings built in last 100 years and tries chronological typology. In addition, reveal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changes and spatial structural changes through syntactic analysis and seek a spatial potential of public sphere in contemporary government buildings.
      In mid-process of researches, Korean government buildings are chronicle classed as three types. In first generation, from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to era of Japanese occupation, government buildings took on a ‘sovereignty’ structural aspect. It means spatial structure of those buildings presents directly a power and political authority. In second generation, from 1960’s to 1980’s, the buildings took on a ‘disciplinary’ spatial structure aspect. Because in this period government had to present social trust to citizen for adaption of democratic changes of Korean civil society. In third generation, from 1990’s to present, the buildings took on a ‘government’ spatial structure aspect. In this generation, government buildings become a civil center but keep setting up an indirect surveillance structure in large integrated hall. Keywords : Power, Publicness, Public Architecture, Government Buildings, Spatial Structure, Chronological Typology
      Through above chronological typology, it was verified that spatial structure of government buildings shares structural properties. First, Symmetry of spatial structure, government buildings move from symmetric structure to asymmetric structure. Second, accessibility of places for civilians, it move from nonautonomic structure to integrated autonomic structure. Third, spatial presentation of power, means authoritative spatial structure becomes relieved and concealed even becomes public open spaces. It is seen as a movement from presentational spatial structure to nonpresentational spatial structure. Fourth, surveillance spatial structure, it moves from one point linear surveillance to radial surveillance, it involves a limitation about secure of autonomy in citizen’s spatial experiences. Based on chronological typology and aspect of spatial changes, it was revealed that contemporary evolution of Korean government buildings have made a enhancement of publicness and autonomy of citizen’s experiences. Nevertheless, also there are some spatial limitations because of a gap of governmental authorities and establishment public sphere. As a consequence of researching of advanced government buildings’ design, it was deducted that open government buildings have to reflect floated office space, expanded urban tissues, and anonymous public sphere as an design methods.
      This dissertation contributed to make a theory of power and publicness in a spatial structure and database of Korean cases of government buildings. Based on above, it revealed that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have an interrelationship with changes of spirit of times and made meaningful seeking of design intention points for future government buildings with secure contemporary publicness.
      번역하기

      The government building i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latform for nation or even local government of all ages. It needs spatial securities because the government building is an office of national works and business. Nevertheless, the building is a ...

      The government building i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latform for nation or even local government of all ages. It needs spatial securities because the government building is an office of national works and business. Nevertheless, the building is a public sphere with guaranteed autonomy of spatial experiences. It means government building has a dilemma about realization of power and publicness in spatial design and operation, and it also means the building makes coexistence of those opposed notions in a spatial environment.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dissertation purposes reveal an establishment of power and publicness in spatial structure of government buildings and deduct architectural design methods for open government buildings. For those purposes, it conducts an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government buildings built in last 100 years and tries chronological typology. In addition, reveal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changes and spatial structural changes through syntactic analysis and seek a spatial potential of public sphere in contemporary government buildings.
      In mid-process of researches, Korean government buildings are chronicle classed as three types. In first generation, from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to era of Japanese occupation, government buildings took on a ‘sovereignty’ structural aspect. It means spatial structure of those buildings presents directly a power and political authority. In second generation, from 1960’s to 1980’s, the buildings took on a ‘disciplinary’ spatial structure aspect. Because in this period government had to present social trust to citizen for adaption of democratic changes of Korean civil society. In third generation, from 1990’s to present, the buildings took on a ‘government’ spatial structure aspect. In this generation, government buildings become a civil center but keep setting up an indirect surveillance structure in large integrated hall. Keywords : Power, Publicness, Public Architecture, Government Buildings, Spatial Structure, Chronological Typology
      Through above chronological typology, it was verified that spatial structure of government buildings shares structural properties. First, Symmetry of spatial structure, government buildings move from symmetric structure to asymmetric structure. Second, accessibility of places for civilians, it move from nonautonomic structure to integrated autonomic structure. Third, spatial presentation of power, means authoritative spatial structure becomes relieved and concealed even becomes public open spaces. It is seen as a movement from presentational spatial structure to nonpresentational spatial structure. Fourth, surveillance spatial structure, it moves from one point linear surveillance to radial surveillance, it involves a limitation about secure of autonomy in citizen’s spatial experiences. Based on chronological typology and aspect of spatial changes, it was revealed that contemporary evolution of Korean government buildings have made a enhancement of publicness and autonomy of citizen’s experiences. Nevertheless, also there are some spatial limitations because of a gap of governmental authorities and establishment public sphere. As a consequence of researching of advanced government buildings’ design, it was deducted that open government buildings have to reflect floated office space, expanded urban tissues, and anonymous public sphere as an design methods.
      This dissertation contributed to make a theory of power and publicness in a spatial structure and database of Korean cases of government buildings. Based on above, it revealed that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have an interrelationship with changes of spirit of times and made meaningful seeking of design intention points for future government buildings with secure contemporary public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공청사시설은 시대를 막론하고 정치적, 행정적 플랫폼(platform)으로서 지역 혹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공공건축시설이다. 국가적 차원의 업무를 수행하는 특수시설이라는 점에서 보안이 요구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사회공간 속 시민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공론장으로서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공청사시설의 딜레마는 공공청사시설이 공간계획과 활용에 있어 권력과 공공성이라는 두 상반된 가치관을 공존시키며 공간적으로 대응해 왔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를 분석해 공간적 차원의 권력과 공공성의 구축 양상을 밝히고 그 연장선상에서 열린 공공청사의 건축적 조건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19~21세기에 걸친 공공청사시설의 사료를 수집하고 공간구조분석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연대기적으로 유형화 해 역사적 궤적을 살펴본다. 통사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에서의 권력과 공공성의 구축과 한국의 시대적, 정치체제적 변화과정을 비교해 규명함으로써 권력과 공공성의 공간 구조적 양립 방법론을 밝히고 현대사회의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주 내용을 이룬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공공청사시설의 기반이 되는 공공영역의 이론적 고찰, 즉 공공영역의 의미와 권력적 속성, 공공적 속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거쳐 인문학적 해석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또한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세 가지 측면, 즉 공공청사시설의 공간조직, 공간위상, 가시영역의 분석 방향을 정립해 각각의 분석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분석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간조직도분석, 공간구문론 기반의 가시장분석 및 가시영역분석의 공간구조 분석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객관화된 분석결과를 종합해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화를 시도해 공간구조 변화의 사회적 의미 해석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중간과정으로서 정량분석결과를 종합해 공간구조는 유형별 공통적 특질을 범주화하였다. 첫째 공간구조 대칭성은 대칭구조에서 비대칭 구조로 변화하며 자유분방한 구조로 나아가고 있었다. 둘째, 대민공간 접근성은 접근 자체가 통제된 비자율 접근구조에서 신체적 행위전개가 자유로운 통합 자율접근구조로 이동하고 있었다. 셋째, 권력공간 표상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완화됨으로서 표상구조에서 비표상구조로 이동하며 권력이 은폐되고 공공성을 표방한 열린구조로 변화하고 있었다. 넷째, 감시구조는 사실상 감시구조가 구현되지 않은 1시점 선형감시구조에서 행위전개 자율성은 확보되었으나 사실상 개인의 행위가 공권력의 시선에 노출되어 있는 다시점 방사형감시구조로 변화함으로서 진정한 자율성의 확보에 대한 건축적 의문를 남겨두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공공청사의 공간구조를 연대기적으로 유형화해 본 결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구한말~식민시대의 1세대는 권력 자체를 표상하는 주권적 공간구조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한국전쟁이후 60~80년대의 2세대는 확장된 대민업무 수요에 대민 신뢰와 단속적 개방의 특성을 가지는 규율적 공간구조의 특성을 보인다. 셋째, 지자체 시행 이후 현재까지의 3세대 공공청사시설들은 통합민원홀로 대표되는 시민센터화 경향을 보이나 병치된 공간 속 비노출 감시구조를 구축함으로서 관리적 공간구조로 정의된다.
      국내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발전과정에서는 다양한 한계점 역시 발견되었는데, 종합하면 이분화된 업무영역과 대민영역 간 소통이 불가한 공간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의 제시로서 해외 선진사례를 분석한 결과, 시각적, 동선적, 공간적 탈권력의 공간구조를 구축해 공공성을 건축적으로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구조에서 시민들의 열린 경험이 유도되고 민주주의의 성장이 은유되고 있음 역시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공건축물의 공간구조에서 드러난 권력과 공공성의 양상을 이론화하고 국내 공공청사시설의 폭넓은 사료수집 및 공간구조적 유형화 과정을 통해 객관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가 시대정신과 함께 변화해 나감을 이해하였고 그 연장선상에서 공공청사시설의 미래상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을 통해 공공건축의 현대적 공공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건축적 방법론을 이론화 하였음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공공청사시설은 시대를 막론하고 정치적, 행정적 플랫폼(platform)으로서 지역 혹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공공건축시설이다. 국가적 차원의 업무를 수행하는 특수시설이라는 점에서 보안이 요...

      공공청사시설은 시대를 막론하고 정치적, 행정적 플랫폼(platform)으로서 지역 혹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공공건축시설이다. 국가적 차원의 업무를 수행하는 특수시설이라는 점에서 보안이 요구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사회공간 속 시민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공론장으로서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공청사시설의 딜레마는 공공청사시설이 공간계획과 활용에 있어 권력과 공공성이라는 두 상반된 가치관을 공존시키며 공간적으로 대응해 왔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를 분석해 공간적 차원의 권력과 공공성의 구축 양상을 밝히고 그 연장선상에서 열린 공공청사의 건축적 조건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19~21세기에 걸친 공공청사시설의 사료를 수집하고 공간구조분석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연대기적으로 유형화 해 역사적 궤적을 살펴본다. 통사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에서의 권력과 공공성의 구축과 한국의 시대적, 정치체제적 변화과정을 비교해 규명함으로써 권력과 공공성의 공간 구조적 양립 방법론을 밝히고 현대사회의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주 내용을 이룬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공공청사시설의 기반이 되는 공공영역의 이론적 고찰, 즉 공공영역의 의미와 권력적 속성, 공공적 속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거쳐 인문학적 해석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또한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세 가지 측면, 즉 공공청사시설의 공간조직, 공간위상, 가시영역의 분석 방향을 정립해 각각의 분석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분석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간조직도분석, 공간구문론 기반의 가시장분석 및 가시영역분석의 공간구조 분석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객관화된 분석결과를 종합해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화를 시도해 공간구조 변화의 사회적 의미 해석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중간과정으로서 정량분석결과를 종합해 공간구조는 유형별 공통적 특질을 범주화하였다. 첫째 공간구조 대칭성은 대칭구조에서 비대칭 구조로 변화하며 자유분방한 구조로 나아가고 있었다. 둘째, 대민공간 접근성은 접근 자체가 통제된 비자율 접근구조에서 신체적 행위전개가 자유로운 통합 자율접근구조로 이동하고 있었다. 셋째, 권력공간 표상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완화됨으로서 표상구조에서 비표상구조로 이동하며 권력이 은폐되고 공공성을 표방한 열린구조로 변화하고 있었다. 넷째, 감시구조는 사실상 감시구조가 구현되지 않은 1시점 선형감시구조에서 행위전개 자율성은 확보되었으나 사실상 개인의 행위가 공권력의 시선에 노출되어 있는 다시점 방사형감시구조로 변화함으로서 진정한 자율성의 확보에 대한 건축적 의문를 남겨두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공공청사의 공간구조를 연대기적으로 유형화해 본 결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구한말~식민시대의 1세대는 권력 자체를 표상하는 주권적 공간구조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한국전쟁이후 60~80년대의 2세대는 확장된 대민업무 수요에 대민 신뢰와 단속적 개방의 특성을 가지는 규율적 공간구조의 특성을 보인다. 셋째, 지자체 시행 이후 현재까지의 3세대 공공청사시설들은 통합민원홀로 대표되는 시민센터화 경향을 보이나 병치된 공간 속 비노출 감시구조를 구축함으로서 관리적 공간구조로 정의된다.
      국내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발전과정에서는 다양한 한계점 역시 발견되었는데, 종합하면 이분화된 업무영역과 대민영역 간 소통이 불가한 공간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의 제시로서 해외 선진사례를 분석한 결과, 시각적, 동선적, 공간적 탈권력의 공간구조를 구축해 공공성을 건축적으로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구조에서 시민들의 열린 경험이 유도되고 민주주의의 성장이 은유되고 있음 역시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공건축물의 공간구조에서 드러난 권력과 공공성의 양상을 이론화하고 국내 공공청사시설의 폭넓은 사료수집 및 공간구조적 유형화 과정을 통해 객관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가 시대정신과 함께 변화해 나감을 이해하였고 그 연장선상에서 공공청사시설의 미래상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을 통해 공공건축의 현대적 공공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건축적 방법론을 이론화 하였음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2
      • 1.1 연구의 배경 2
      • 1.2 연구의 목적 4
      • 1.3 연구의 범위 및 대상 7
      • 1.4 연구의 방법 및 체계 8
      • 제1장 서론 2
      • 1.1 연구의 배경 2
      • 1.2 연구의 목적 4
      • 1.3 연구의 범위 및 대상 7
      • 1.4 연구의 방법 및 체계 8
      • 제2장 공공청사의 사회사 11
      • 2.1 공공영역의 공간구조 11
      • 2.1.1 공공영역의 의미 11
      • (1) 사회적 공간의 탄생 12
      • (2) 공공영역으로의 발전과 공공성 14
      • (3) 공공영역의 재봉건화 15
      • 2.1.2 공공영역의 공간구조 16
      • (1) 건축공간의 사회적 요구 16
      • (2) 공공영역 공간구조의 해석 가능성 17
      • 2.2 공공청사의 변용: 통치성과 공공성 18
      • 2.2.1 공공건축의 딜레마(dilemma) 18
      • 2.2.2 권력건축과 통치성의 구축 22
      • (1) 권력건축으로서의 공공청사 23
      • (2) 통치성의 계보학 25
      • (3) 권력의 공간구조 29
      • 2.2.3 열린건축과 공공성의 구축 31
      • (1) 열린공간으로서의 공공청사 32
      • (2) 열린공간의 사회학 36
      • (3) 열림의 공간구조 39
      • 2.3 공공청사의 패러다임 전환과 의미 40
      • 2.3.1 공공청사시설의 패러다임 변화 40
      • 2.3.2 공공청사시설의 역할론적 한계 44
      • 2.3.3 공공청사시설의 사회적 역할의 재배열 47
      • 2.4 소결: 공공청사시설의 현대적 공공성 51
      • 2.4.1 공공청사시설의 역할론 변화 51
      • 2.4.2 문제의식: 공공청사시설의 공공성 구축 방향 53
      • 제3장 연구범위 및 방법의 검증 57
      • 3.1 공공청사시설의 기본고찰 57
      • 3.1.1 공공청사의 일반론 57
      • 3.1.2 국내 공공청사의 통사적 고찰 62
      • (1) 국내 정치체제 변화의 이해 63
      • (2) 국내 공공청사의 시대적 변화 68
      • 3.2 분석의 기준과 대상 70
      • 3.2.1 분석대상 시설의 범주 70
      • (1) 공공청사의 법적 정의 및 범위 70
      • (2) 분석대상 공공청사의 범주 72
      • 3.2.2 분석대상 시설의 선정 73
      • (1) Group A: 왕조, 식민시대의 공공청사 73
      • (2) Group B: 해방, 반공, 권위주의시대의 공공청사 80
      • (3) Group C: 문민정부, 지자체시대의 공공청사 86
      • 3.3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분석방법론 98
      • 3.3.1 공간구조 분석의 의미 98
      • 3.3.2 분석도구의 설정 99
      • (1) 공간조직도 분석 (Justified Graph) 99
      • (2) 가시장분석 및 가시영역 분석 (Visual Graph and Isovist Area) 102
      • 3.3.3 분석지표의 설정 106
      • 3.4 소결: 공공청사 공간구조 분석의 틀 115
      • 제4장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분석 117
      • 4.1 공공청사시설의 공간조직 분석 117
      • 4.1.1 공간조직 분석의 결과 117
      • 4.1.2 공간조직도에 의한 공간구조 분석 137
      • (1) 공간조직변수 1: 상대적 비대칭성(RV-SYM) 138
      • (2) 공간조직변수 2: 상대적 대민공간비율(RV-PS) 139
      • (3) 공간조직변수 3: 상대적 대민공간깊이(RD-PS) 141
      • (4) 공간조직변수 4: 상대적 지도자공간깊이(RD-PL) 142
      • 4.1.3 공간조직분석의 종합 144
      • 4.2 공공청사시설의 공간위상 분석 147
      • 4.2.1 공간위상 분석의 결과 148
      • 4.2.2 가시장분석 및 가시영역분석에 의한 공간구조 분석 178
      • (1) 공간위상변수 1: 시각적 통합도(V-INTG) 178
      • (2) 공간위상변수 2: 가시영역면적(V-ISO) 181
      • 4.2.3 공간위상분석의 종합 183
      • 4.3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학 185
      • 4.3.1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 변화의 특성 187
      • (1) 공간구조 대칭성 188
      • (2) 대민공간 접근성 190
      • (3) 권력공간 표상성 192
      • (4) 감시구조 방향성 194
      • 4.3.2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학 196
      • (1) 1세대: 권력표상과 통제 / 주권적 공간구조 197
      • (2) 2세대: 대민신뢰와 단속적 개방 / 규율적 공간구조 198
      • (3) 3세대: 자율성 수용과 익명적 감시 / 관리적 공간구조 198
      • 4.4 소결: 유형학적 발전과 한계 201
      • 4.4.1 현대 공공청사시설의 유형적 확장성 202
      • (1) 다양한 시도: 현대 공공청사시설의 재유형화 203
      • (2) 유형적 확장성과 공간구조적 특성 207
      • 4.4.2 열린 청사로서의 한계 210
      • 제5장 공공청사시설을 통한 공공성의 구축 213
      • 5.1 현대 공공청사시설의 구조적 한계 213
      • 5.1.1 현대 공공청사 공간구조의 고착화 214
      • 5.1.2 열린 공간구조의 의미 221
      • 5.2 열린 공공청사의 공간구조 224
      • 5.2.1 열린 공간구조의 건축적 방법론 224
      • (1) 역감시의 공간구조: 시각적 탈권력 225
      • (2) 역전된 위계의 공간구조: 움직임의 탈권력 231
      • (3) 분산된 위상의 공간구조: 공간적 탈권력 237
      • 5.2.2 공공청사시설의 탈권력과 공공성의 구축 241
      • (1) 탈권력적 공간의 구조적 특성 241
      • (2) 공공청사시설의 공간구조와 공공성의 구축 246
      • 제6장 결론 250
      • 6.1 연구의 결과 250
      • 6.2 연구의 의의 253
      • 6.3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과제 254
      • 참고문헌 256
      • 부 록 261
      • 국문초록 283
      • ABSTRACT 28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윤원, "행정학원론", 형설, 법문사, 1999

      2 윤대석,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09

      3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Spacetime, 2003

      4 장기인, "조선총독부 청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지 제35권 제2호, 통권159호, 1991

      5 전종한, "인문지리학의 시선", 사회평론, 2015

      6 조재모, "궁궐, 조선을 말하다", 아트북스, 2012

      7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기파랑, 2008

      8 임기택, "통제담론과 건축이론", spacetime, Spacetime, 2014

      9 이승종, "지자체 청사 건설사례", 중앙공무원교육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2008

      10 이한구, 포퍼, "역, 열린사회와 그 적들", 민음사, 1997

      1 황윤원, "행정학원론", 형설, 법문사, 1999

      2 윤대석,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09

      3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Spacetime, 2003

      4 장기인, "조선총독부 청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지 제35권 제2호, 통권159호, 1991

      5 전종한, "인문지리학의 시선", 사회평론, 2015

      6 조재모, "궁궐, 조선을 말하다", 아트북스, 2012

      7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기파랑, 2008

      8 임기택, "통제담론과 건축이론", spacetime, Spacetime, 2014

      9 이승종, "지자체 청사 건설사례", 중앙공무원교육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2008

      10 이한구, 포퍼, "역, 열린사회와 그 적들", 민음사, 1997

      11 최병두, "건축의 공간성과 지리학",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건축지 제54권 3호, 2010

      12 김광현,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공간서가, 2015

      13 우동선, "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 효형출판, 2009

      14 류미영, "서울시청 리노베이션 계획", 홍익대학교 석론, 2000

      15 조성룡, "시민의 장소로서의 시청사", 월간 건축문화, 1986

      16 최창규, "시청사건축의 새로운 방향", 월간 건축문화, 1985

      17 서윤영, "건축: 권력과 욕망을 말하다", 궁리, 2009

      18 박덕기, "지역중심으로서의 공공청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심포지엄, 2008

      19 정인하, "건축, 도시, 조경의 지식지형", 나무도시, 2011

      20 임창복, "서울시청사 증개축 타당성조사", 대한건축학회, 2005

      21 장재혁, 한동수, "경복궁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0권 제4호, 통권 제186호, 2004

      22 조항만, 최재필, "시민을 위한 열림, 정부 세종청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건축지, 제59권 호 3, 2015

      23 김세훈, "공공성: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미메시스, 미메시스, 2008

      24 이한구, "칼 포퍼의 열린사회와 그 적들 읽기", 세창미디어, 세창미디어, 2014

      25 김재영, "공공청사 문화공간의 공간계획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석론, 2014

      26 박수연, "루이스칸 주택의 공간구조변화 분석",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 대회논문집, 제33권 제2호, 통권 제60집, 2013

      27 최윤경, "미술관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학",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제6호, 통권 제92호, 1996

      28 김연주, "공공청사의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론, 2011

      29 손정목, "일제하 서울의 도시계획과 건축적 입장", 대한건축학회지 제35권 제2호, 통권 제159호, 1991

      30 염철호, 임현성,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보고서, 2010

      31 신예진, "시청건축의 변화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석론, 2001

      32 김우영, "유동화시대의 열린조직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 획계 제16권 제12호, 2000

      33 김한배, "도시경관속의 세 그림자: 권력, 자본, 환영", 대한건축학회 건축지 제48권 호 2, 2004

      34 문정묵, "국내 국,공립 뮤지엄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제2호, 통권 제85호, 2011

      35 김백영,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 2009

      36 최병두, "지식정보시대와 공간환경의 패러다임 전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37 미셸, "푸코,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나남, 2009

      38 강인호, "우리모두의 공공청사, 무엇을 위해 추진되는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제3 차 공공건축 설계포럼,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39 제프, "말파스, 김지혜 역, 장소와 경험: 철학적 지형학", 에코리브르, 2014

      40 염철호,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연구", 건축도시공간연 구소 연구보고서, 2008

      41 박성우, 심우갑, "1950~1980년대 시청사 건축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 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통권 제50집, 2006

      42 임호균, "공공도서관 공간체계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론, 2007

      43 오인욱, 이근혜, "근대 관청건물의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 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5호, 통권 제64호, 2007

      44 박남규, "닫혀진 공공청사,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장소 만들기",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심포지엄, 2008

      45 이정희, "미셸 푸코의 통치성의 계보학: 국가이성을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제22 권 제1호, 2011

      46 정태용, "헤이그 시청사에 나타난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9권 제6호, 통권 83호, 2010

      47 박종구, 이성훈, "뮤지엄건축 공간배치의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 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8권 제4호, 통권 제75호, 2009

      48 김은희, 차주영, "여건변화에 따른 공공청사 계획기준 합리화 방안 연구", 건축도시 공간연구소 연구보고서, 2014

      49 김용욱, "한국정치론: 조선왕조에서 대한민국까지 체제변동과정", 오름, 오름, 2004

      50 현창용, 최윤경, "국내 지자체 공공청사의 공간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 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제6호, 통권 제89호, 2011

      51 박무호,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객 움직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론, 2005

      52 김동근, "개항이후 공공청사의 변화과정 및 특성에 관한 건축사적 연구", 한양대학 교 석론, 1999

      53 김석태, 송승언, "공공도서관의 복합화에 따른 공간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제6호, 통권 제89호, 2011

      54 신승수, "수퍼 라이브러리: 공공도서관을 통해 본 공공성에 대한 이야기", 사 람의 무늬, 2011

      55 김영준, "대형복합상업시설 보행빈도 예측모형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학교 박론, 2015

      56 유우상, 이승희, "사무소건물에서 업무특성과 조직특성이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9권 제4호, 통권 제32호, 2007

      57 오지영, "신고전주의 뮤지엄의 공간구조분석과 전시영역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제3호, 통권 제86호, 2011

      58 이선우, 장순용, "경복궁 변천사: 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 역", 문화재청, 2008

      59 박진영, "표준면적 적용을 기점으로 한 구청사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8호, 통권 제 238호, 2008

      60 염철호, 임현성, "공공청사 소통과 공공성의 회복을 위하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심포지엄", 건축도시공간연구서, 2010

      61 이규철, "공공건축의 정의와 유형 연구: 현행 공공건축 관련 규정의 검토를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보고서, 2016

      62 박철수, 설정임,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에서 나타난 반공 이데올로기의 실현으로서 수도 서울의 요새화",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4호, 통권 294호, 2013

      63 최혁열, "공공청사 아트리움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청사 아트리움의 공공성 평가 와 디자인요소 도출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론, 2014

      64 박무호, "박물관 증개축에 따른 연대기적 공간구조와 변화과정: 브리티쉬뮤 지엄과 테이트브리튼의 공간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 계, 제21권 제5호, 통권 제199호, 2005

      65 이상헌, "2차대전 이후 근현대건축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역사적 관점에 대한 연구: 사라 골드하겐과 솔라 모랄레스의 관점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 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6호, 통권 제284호,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