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동산 유형에 따른 중개사무소 입지분석 연구 - 부동산 실거래가격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20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헤도닉모형을 활용하여 정부의 제1차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에 부 응하여 부동산중개업의 진흥과 더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부동산서비스업의 진흥을 위한 학 문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이다. 연구는 선행연구와 2019년 부동산실거래가격 정보와 2019년 12월 전국 중개사무소 주소 정보를 활용한 읍면동별 통계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작성하고 3가지 가설을 설정하며, 읍 면동별 중개사무소 헤도닉모형을 작성하여 시행하였다. 또한 작성된 모형을 근거로 가설 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에 검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검증 결과 중개사무소 숫자는 부동산거래량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제1가설은 채택되 었으며, 중개사무소 숫자는 거래 되는 부동산의 유형에 따라 달리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제2가설도 채택되었다. 다만, 중개사무소에 대한 부동산거래량의 영향력은 지역에 따라 달 라질 것이라는 제3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또한, 가설 검증과정에서의 분석 내용과 읍면동별 실거래가격 통계 내용을 종합하여 분 석한 결과 우리나라 부동산중개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가망보수가 1천만원 대에 불과한 단 독주택시장이나 연립다세대주택 시장에 분포된 중개사무소를 가망보수가 9천만원대로 큰 토지시장으로 유인하는 정부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헤도닉모형을 활용하여 정부의 제1차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에 부 응하여 부동산중개업의 진흥과 더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부동산서비스업의 진흥을 위한 학 문적 기반...

      본 연구는 헤도닉모형을 활용하여 정부의 제1차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에 부 응하여 부동산중개업의 진흥과 더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부동산서비스업의 진흥을 위한 학 문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이다. 연구는 선행연구와 2019년 부동산실거래가격 정보와 2019년 12월 전국 중개사무소 주소 정보를 활용한 읍면동별 통계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작성하고 3가지 가설을 설정하며, 읍 면동별 중개사무소 헤도닉모형을 작성하여 시행하였다. 또한 작성된 모형을 근거로 가설 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에 검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검증 결과 중개사무소 숫자는 부동산거래량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제1가설은 채택되 었으며, 중개사무소 숫자는 거래 되는 부동산의 유형에 따라 달리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제2가설도 채택되었다. 다만, 중개사무소에 대한 부동산거래량의 영향력은 지역에 따라 달 라질 것이라는 제3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또한, 가설 검증과정에서의 분석 내용과 읍면동별 실거래가격 통계 내용을 종합하여 분 석한 결과 우리나라 부동산중개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가망보수가 1천만원 대에 불과한 단 독주택시장이나 연립다세대주택 시장에 분포된 중개사무소를 가망보수가 9천만원대로 큰 토지시장으로 유인하는 정부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mot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first basic plan for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promotion. And it was implemented as part of an effort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in Korea.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prepared by using statistics by towns and villages using previous studies, real estate real estate transaction price information in 2019, and address information of brokerage offices nationwide in December 2019. And sets up three hypotheses, and hedonic model was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each eup, myeon and dong agency offi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number of brokerage offices will be affected by the real estate transaction volume was adopted. And the second hypothesis was also adopted that the number of brokerage offices would be aff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real estate traded. However,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influence of real estate transaction volume on brokerage offices will vary depending on region was partially adopted.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an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statistics for each town, town, and village. In order to foster th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Korea,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was suggested to induce brokerage offices distributed in the single-family housing market or the multi-family housing market with a potential fee of only 10 million won to a large land market with a potential fee of 90 million w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mot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first basic plan for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promotion. And it was implemented as part of an effort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

      This study aims to promot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first basic plan for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promotion. And it was implemented as part of an effort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in Korea.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prepared by using statistics by towns and villages using previous studies, real estate real estate transaction price information in 2019, and address information of brokerage offices nationwide in December 2019. And sets up three hypotheses, and hedonic model was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each eup, myeon and dong agency offi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number of brokerage offices will be affected by the real estate transaction volume was adopted. And the second hypothesis was also adopted that the number of brokerage offices would be aff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real estate traded. However,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influence of real estate transaction volume on brokerage offices will vary depending on region was partially adopted.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an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statistics for each town, town, and village. In order to foster th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Korea,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was suggested to induce brokerage offices distributed in the single-family housing market or the multi-family housing market with a potential fee of only 10 million won to a large land market with a potential fee of 90 million w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Abstract >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1. 이론적 배경
      • 2. 선행연구 분석
      • < Abstract >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1. 이론적 배경
      • 2. 선행연구 분석
      • Ⅲ. 분석모형
      • 1. 분석 모형과 연구 가설
      • 2. 변수 조작화
      • Ⅳ. 실증분석
      • 1. 기술통계
      • 2. 가설 검증
      • 3. 부동산시장별 중개사무소 분포에 대한 시사점
      • Ⅴ. 결론
      • < 국문요약 >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미령, "중개사무소 개설 의사결정 요인 분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6

      2 국토교통부, "제1차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2021-2025)" 2020

      3 김종수, "실거래가격을 활용한 개별주택가격의 적정성 분석" 한국부동산연구원 22 (22): 29-56, 2012

      4 장재일, "부동산중개업 매출 및 현황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85-693, 2017

      5 국토연구원, "부동산 중개제도 개선방안 연구" 2009

      6 김용일, "부동산 중개업소 입지선정 기준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부동산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 한국주택학회 18 (18): 97-115, 2010

      7 국토교통부, "부동산 거래제도 선진화방안 연구" 2009

      8 "국토교통 통계누리"

      9 서진형, "공인중개사의 실무교육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38 (38): 73-87, 2020

      10 서진형, "공인중개사의 고객 공감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8 (38): 115-134, 2020

      1 안미령, "중개사무소 개설 의사결정 요인 분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6

      2 국토교통부, "제1차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2021-2025)" 2020

      3 김종수, "실거래가격을 활용한 개별주택가격의 적정성 분석" 한국부동산연구원 22 (22): 29-56, 2012

      4 장재일, "부동산중개업 매출 및 현황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85-693, 2017

      5 국토연구원, "부동산 중개제도 개선방안 연구" 2009

      6 김용일, "부동산 중개업소 입지선정 기준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부동산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 한국주택학회 18 (18): 97-115, 2010

      7 국토교통부, "부동산 거래제도 선진화방안 연구" 2009

      8 "국토교통 통계누리"

      9 서진형, "공인중개사의 실무교육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38 (38): 73-87, 2020

      10 서진형, "공인중개사의 고객 공감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8 (38): 115-134, 2020

      11 채현길, "개업공인중개사의 직업존중감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8 (38): 143-159, 2020

      12 Sherwin Rosen, "Hedonic Price and Implicit Market :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80 (80): 34-55, 1974

      13 Lancaster, K. J., "A New Approach to Consumer Theory" 74 : 133-157, 19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