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초기 서구 경제학의 도입과 식산흥업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1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개항기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조선에 도입된 서구의 경제학에 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왜 당시의 지식인들은 서구 경제학을 필요로 했는지, 이 때 도입된 서구 경제학은 어떤...

      이 연구는 개항기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조선에 도입된 서구의 경제학에 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왜 당시의 지식인들은 서구 경제학을 필요로 했는지, 이 때 도입된 서구 경제학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었는지, 어떤 특징과 한계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분석하려 한다. 19세기 후반 국가적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가운데 하나가 서구의 지식을 도입하는 것이었고, 특히 당시 국가들사이의 경쟁을 상업을 둘러싼 것으로 인식하는 진화론이 성행하면서 서구 경제학이 국가를 강하게 만드는 비결로 받아들여졌다. 다수의 유학생이 일본에 파견되면서 일본에 퍼져있던 서구 경제학이 조선의 지식인에게 전달되었고, 동시에 국내의 지식인들도 일본과 중국을 통해 서구 경제학을 받아들였다.일본과 마찬가지로 조선에서도 서구 경제학은 고전파 자유주의와 신역사학파의 영향력 하에 있었으며 이들이 가진 서로 다른 이론적 지향에도 불구하고 둘은 절충된 모습으로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때로 이들이 충돌하게 될 때는 자유주의 경제학이보다 큰 영향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국가 부강의 수단으로서 서구 경제학에 기반한 다양한 식산흥업론이 제안되었는데,특히 국세에 관한 기초조사, 사회경제적 인프라의 구축, 주식회사의 설립, 무역의 진흥 등에 있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 방안들은 대체로 근대적인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수립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서구 경제학이 지닌 이러한 공헌과 함께 결정적인 한계도 역시 드러났는데, 당시 조선이 맞이한 위기의 근원은 개인을 넘어서는 국가적 차원의 것인데도 그 해결방안을 개인적 차원에서 찾으려는 것이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에 도입된 서구 경제학이 조선 사회를 근대로 이끌어가는 중요한 길을 열었던 것은 분명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some important problem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conomics to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y Korea needed it, how it was imported, which economic thoughts dominated, an...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some important problem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conomics to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y Korea needed it, how it was imported, which economic thoughts dominated, and what limitation it contained.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its national crises, originating from internal deterioration and external threat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competition among the states in this period was basically economic one, Korean intellectuals eagerly imported Western economic thoughts to make their country strong. Western economics in Korea mainly came from Japan with the med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and it was dominated by British liberalism and neo-historical school of Germany, as was the case in Japan. This foreign academic discipline contributed in various ways to the development of ideas of economic growth, especially by asking for national censuses, the construction of socio-economic infrastructures,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ions, and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s. Nevertheless, the application of Western economics to the plans for national strength bred a critical pitfall, in that it limited the role of the government to the minimum level while individuals were believed to be active agents of economic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成喜, "理財說" (10-12) : 1907

      2 申采浩, "歷史와 愛國心의 關係" (2) : 1908

      3 編輯人, "論壇: 株式會社를 論함(續)" (7) : 1909

      4 김동노, "한국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사회과학’ 도입의 조건" 이화사학연구소 (44) : 33-61, 2012

      5 박찬승, "한국근대 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2

      6 이승렬, "제국과 상인" 역사비평사 2007

      7 村上勝彦, "식민지: 일본 산업혁명과 식민지 조선" 한울 1984

      8 김효전, "서양 헌법이론의 초기수용" 철학과 현실사 1996

      9 "대한매일신보"

      10 마셜, 알프레드, "경제학의 원리" 한길사 2010

      1 金成喜, "理財說" (10-12) : 1907

      2 申采浩, "歷史와 愛國心의 關係" (2) : 1908

      3 編輯人, "論壇: 株式會社를 論함(續)" (7) : 1909

      4 김동노, "한국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사회과학’ 도입의 조건" 이화사학연구소 (44) : 33-61, 2012

      5 박찬승, "한국근대 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2

      6 이승렬, "제국과 상인" 역사비평사 2007

      7 村上勝彦, "식민지: 일본 산업혁명과 식민지 조선" 한울 1984

      8 김효전, "서양 헌법이론의 초기수용" 철학과 현실사 1996

      9 "대한매일신보"

      10 마셜, 알프레드, "경제학의 원리" 한길사 2010

      11 이기준, "韓末 西歐 經濟學 導入史 硏究" 일조각 1984

      12 이헌창, "韓國經濟通史(3판)" 법문사 2006

      13 崔錫夏, "韓國民族의 經濟方策" (4) : 1908

      14 김민환, "開化期民族紙의 社會思想" 나남 1988

      15 李漢卿, "銀行과 經濟發達의 關係" (1) : 1907

      16 尹榮鎭, "興學講究 勸告 國民急務" (3) : 1908

      17 薛泰喜, "經濟總論" (11) : 1907

      18 尹定夏, "經濟學要義(續)" (5) : 1908

      19 尹定夏, "經濟學要義(續)" (2) : 1908

      20 尹定夏, "經濟學要義" (1) : 1908

      21 薛泰喜, "經濟學總論" (12) : 1907

      22 魚瑢善, "經濟學槪論" (5) : 1897

      23 薛泰喜, "經濟學摠論(續)" (9) : 1907

      24 兪承兼, "經濟學(續)" (3) : 1907

      25 崔錫夏, "租稅論" (5) : 1906

      26 李人稙, "社會學(續)" (5) : 1907

      27 "皇城新聞"

      28 尹孝定, "生存의 競爭" (11) : 1907

      29 "漢城週報"

      30 "漢城旬報"

      31 法律讀書人, "會社의 種類 及 性質" (12) : 1909

      32 兪承兼, "最新經濟敎科書" 唯一書館 1910

      33 韓相愚, "敎育部: 經濟學의 必要라" (17) : 1909

      34 이기준, "敎育 韓國經濟學發達史" 일조각 1983

      35 金成喜, "政治部: 政府의 職分" (11) : 1907

      36 羅弘錫, "我同胞가 果是二千萬乎아" (9) : 1908

      37 金重煥, "愛國論" (1) : 1907

      38 尹成熙, "學海集成: 經濟學 一般豫算 及 特別豫算" (4) : 1908

      39 李承瑾, "學海 經濟學의 必要" (2) : 1909

      40 김도형, "大韓帝國期의 政治思想硏究" 지식산업사 1994

      41 盧庭鶴, "外國貿易論" (5) : 1908

      42 權 東鎭, "商業發達의 要素" (6) : 1908

      43 權 東鎭, "商務의 槪念" (10) : 1909

      44 兪承兼, "個人의 努力이 社會經濟의 根本" (1) : 1908

      45 Mann, Michael, "The Autonomous Power of the State: Its Origins, Mechanisms and Results, In States in History" Basil Blackwell 1986

      46 Mill, J. S.,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Longmans, Green, and Co 1900

      47 全遇容, "19세기말~20세기초 韓人 會社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al Theory ->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2 1.4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