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슐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41755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1-199(39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슐만...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슐만의 이론을 활용하여 민족 정체성을 종족적, 문화적, 시민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다문화 수용성에 대해서는 다문화 지향성,다문화를 위협으로 인지하는 정도, 다문화 법⋅제도적 지원에 대한 태도 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초⋅중등학생들은 시민적, 문화적, 종족적 요인 순으로 한국인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 다문화 수용성과 관련하여, 그들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의 다문화 지향성과 다문화 법⋅제도적 지원에 대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다문화를 위협적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는 편이다.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는 슐만이 가정한대로 시민형, 문화형, 종족형 순으로 다문화 수용성이 높게 나온다. 다만, 기대와 달리 시민형 정체성은 다문화 수용성과 정적 상관 관계를 갖지 않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the Korean nationa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re related as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Korean nation-state rapidly progress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u...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the Korean nationa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re related as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Korean nation-state rapidly progress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utilizes Shulman`s model of national identity divided into ethnic, cultural and civic components. Regard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measures it in terms of multi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hreat and multicultural policy. The data analysis finds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end to define the Korean nationality less by ethnic components than by cultural ones. The civic elements are most emphasized as a necessary requirement for Korean nationality. By showing multicultural orientations, holding attitudes against multicultural threat, and supporting multicultural policies to some extent, students are found to have som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Shulman assumes, civic, cultural and ethnic identities in order ranked high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Yet, the finding shows unexpectedly that even civic identity is negatively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87-421, 2009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황정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politics of membership) 관점에서"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152-184, 2010
4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3-192, 2011
5 강 원택,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 In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동아시아연구원 2007
6 정 기선, "한국인의 국가정체성 국제비교: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국가정체성, 불평등지각, 노동지향, 가족가치: 국제사회조사(ISSP)와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이용한 국제비교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4
7 신 기욱,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창비 2009
8 최종렬, "탈영토화와 다문화주의: 연구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20) : 97-159, 2012
9 김경은,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함의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23-140, 2012
10 기 근도, "중학교사회 1" 새롬교육 2010
1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87-421, 2009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황정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politics of membership) 관점에서"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152-184, 2010
4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3-192, 2011
5 강 원택,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 In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동아시아연구원 2007
6 정 기선, "한국인의 국가정체성 국제비교: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국가정체성, 불평등지각, 노동지향, 가족가치: 국제사회조사(ISSP)와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이용한 국제비교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4
7 신 기욱,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창비 2009
8 최종렬, "탈영토화와 다문화주의: 연구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20) : 97-159, 2012
9 김경은,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함의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23-140, 2012
10 기 근도, "중학교사회 1" 새롬교육 2010
11 노현구, "자동차 건설기계" 두산동아(주) 2010
12 김미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69-88, 2010
13 김 상학,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5 (5): 169-206, 2002
14 설 동훈, "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민족정체성의 변화" 54 : 28-52, 2002
15 윤상우,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36 (36): 91-117, 2010
16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7 조홍식, "민족의 개념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한국정치학회 39 (39): 129-146, 2005
18 강진웅, "대한민국 민족 서사시: 종족적 민족주의의 전개와 그 다양한 얼굴" 한국사회학회 47 (47): 185-219, 2013
19 이명진, "다문화사회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63-85, 2010
20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21 설 동훈, "국민⋅민족⋅인종: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동북아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동북아시대위원회 2006
22 Hobsbawm, Eric, "and Nationalism since 1780: Programme, Myth,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3 교육인적자원부, "[단행본]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24 Brewer, Marilyn, "The Psychology of Prejudice: Ingroup Love or Outgroup Hate" 55 : 429-444, 1999
25 Parsons, Talcott, "Sociological Theory and Modern Society" Free Press 1967
26 Brown, Rupert, "Social Identity Theory: Past Achievements, Current Problems, and Future Challenges" 30 : 745-778, 2000
27 Reicher, Stephen, "Self and Nation" Sage 2001
28 Gellner, Ernest, "Nations and Nation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29 Mummendey, Andreas Klink, "Nationalism and Patriotism: National Identification and Out-group Rejection" 40 : 159-172, 2001
30 Greenfeld, Liah, "Nationalism : Five Roads to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31 Maddens, Bart, "National Identity and the Attitude towards Foreigners in Multi-national States: the Case of Belgium" 26 (26): 45-60, 2000
32 Smith, Anthony D., "National Identity" Penguin 1991
33 Hjerm, Mikael, "National Identites, National Pride and Xenophobia: a Comparison of Four Western Countries" 41 : 335-347, 1998
34 Pehrson, Samuel, "National Identification and Anti-Immigrant Prejudice: Individual and Contextual Effects of National Definitions" 72 (72): 24-38, 2009
35 Verkuyten, Maykel, "Multiculturalism and Group Status: The Role of Ethnic Identification, Group Essentialism and Protestant Ethic" 34 : 647-661, 2004
36 Kymlicka, Will, "Misunderstanding Nationalism, In Theorizing National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9
37 Alexander, Jeffrey, "Introduction: Durkheimian Sociology and Cultural Studies, In Durkheimian Sociology: Cultural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8 Jones, F. L., "Individual and Societal Bases of National Identity: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17 (17): 103-118, 2001
39 Joppke, Christian, "Immigration and the Nation-State: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Great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40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83
41 Brown, Rupert, "Explaining Intergroup Differentiation in an Industrial Organization" 59 (59): 273-286, 1986
42 Jackson, James S., "Contemporary Immigration Policy Orientations Among Dominant-Group Members in Western Europe" 57 : 431-456, 2001
43 Brubaker, Rogers,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France and German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44 Castles, Stephen, "Citizenship and Migration: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Belongin" Routledge 2000
45 Shulman, Stephan, "Challenging the Civic/ethnic Dichotomies in the Study of Nationalism" 35 : 554-585, 2002
46 Heath, Anthony F., "British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s Immigration" 7 (7): 119-132, 2005
47 Nieguth, Tim, "Beyond Dichotomy: Concepts of the N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Membership" 5 (5): 155-173, 1999
48 Billig, Michael, "Banal Nationalism" Sage 1995
49 Esses, Victoria,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and Immigration: The Rol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Identity,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clusion and Exclusion" Psychology Press 2005
50 Tajfel, Henry,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In The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Brookes Cole
51 Bourhis, Richard Y, "Accumulation Orientations towards Israeli Arabs and Jewish Immigrants in Israel" 39 : 118-131, 2004
52 Pettigrew, Thomas F., "A Two-level Approach to Anti-Immigran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Cultural Psychology of Immigrants" Lawrence Erlbaum 2006
53 Connor, Walker, "A Nation is a Nation, is a State, is an Ethnic Group is a" 1 (1): 379-388, 197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Social Theory ->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82 | 1.401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