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와 관련 요인 =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Behavior of Low-income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3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내 사회경제적 흡연 불평등 완화를 위하여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3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였...

      이 연구는 국내 사회경제적 흡연 불평등 완화를 위하여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3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설문조사를 완료한 대상자 중 비저소득층 7,745명과 저소득 층 3,994명, 총 11,739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소득수준을 층화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표준화 현재 흡연율은 저소득층의 경우 남자 53.9%, 여자 6.2%로 비저소득층 남자 48.0%, 여자 2.8%로 저소득층에서 뚜렷이 높았고,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저소득과 비저소득층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자의 경우 고령, 경제활동 하지 않음, 주택소유 여부, 좋지 않은 건강상태, 낮은 전반적 만족도였으며, 여자의 경우 이혼, 별거 및 사별과 주택 소유 여부였다(P<0.05). 그러나 비저소득층 남자에서는 낮은 교육수준, 미혼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저소득층에서는 이혼, 별거 및 사별과 낮은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또한 비저소득층 여자에서는 낮은 교육수준, 미혼, 경제활동 하지 않음, 낮은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저소득층에서는 고령, 가구형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결론적으로 소득 계층에 따라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금연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흡연율이 높은 저소득층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금연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보편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특성에 맞춘 전략이 필요하고, 특히 이 연구에서 저소득층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아존중감, 가구형태, 결혼상태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성별에 따라 흡연행태와 특성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in order to abate th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This research used the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in order to abate th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This research used the third wav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undertook the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for a total of 11,739 survey respondents constituting 7,745 high-income people and 3,994 low-income people who were stratified by gender and an income level. The analysis found that the age-standardized smoking rates of low-income is significantly higher(men 53.9%, women 6.2%) than the others(men 48.0%, women 2.8%)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ed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Common factors for men, regardless of an income level, included old age, economic inactivity, house ownership, poor health, and overall low satisfaction with life; common factors for women included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and house ownership (P<0.05). However, a low-level of education and unmarried status had significant impacts on high-income male smokers while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and low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w-income male smokers (P<0.05). Moreover, smoking of high-income wome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low level of education, unmarried status, economic inactivity, and low self-esteem while that of low-income wome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ld age and household type (P<0.05). Therefore, not only existing universal approaches to all of the smoking people but also targeted strategies for low-income people with a higher smoking rate are requir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particular, the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household type, & marital status need more atten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선하, "흡연의 현황과 그 역학적 특성"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 연구소 1999

      2 김소라, "한국 남성에서 흡연 시작과 금연에 관여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대한가정의학회 30 (30): 415-425, 2009

      3 한림대학교, "저소득층의 건강증진 활동 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4 김혜련, "우리나라에서 흡연율의 사회계층별 불평등과 변화추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27): 25-43, 2007

      5 김창엽, "사회계층과 전반적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92 : 18-25, 2004

      6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5 (35): 7-64, 2002

      7 김명희, "사회 역학" 한울 2003

      8 최수찬,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77-196, 2005

      9 김혜련, "건강형평성에서 건강행태의 함의와 정책과제" 149 : 36-47, 2009

      10 김혜련,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1 지선하, "흡연의 현황과 그 역학적 특성"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 연구소 1999

      2 김소라, "한국 남성에서 흡연 시작과 금연에 관여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대한가정의학회 30 (30): 415-425, 2009

      3 한림대학교, "저소득층의 건강증진 활동 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4 김혜련, "우리나라에서 흡연율의 사회계층별 불평등과 변화추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27): 25-43, 2007

      5 김창엽, "사회계층과 전반적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92 : 18-25, 2004

      6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5 (35): 7-64, 2002

      7 김명희, "사회 역학" 한울 2003

      8 최수찬,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77-196, 2005

      9 김혜련, "건강형평성에서 건강행태의 함의와 정책과제" 149 : 36-47, 2009

      10 김혜련,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11 Easterlow, D.,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까?" 도서출판 한울 540-, 2009

      12 Asthana, S.,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까?" 한울 2006

      13 Pollack, C. E.,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까?" 도서출판 한울 477-, 2009

      14 Copeland, L.,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까?" 도서출판 한울 460-, 2009

      15 Bund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16 Graham, H., "Women’s smoking and family health" 25 : 47-56, 1987

      17 Fernandez, E., "Widening social inequalities in smoking cessation in Spain, 1987-1997" 55 : 729-730, 2001

      18 WHO,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WHO 2008

      19 Galobardes, B., "Trends in risk fact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by socioeconomic position in Geneva, Switzerland, 1993-2000 : health inequalities persist" 93 : 1302-1309, 2003

      20 Reijneveld S.,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area characteristics on urban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health and smoking" 27 : 33-40, 1998

      21 Khang, Y. H., "The impact of governmental antismoking policy on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11 : 262-269, 2009

      22 Deuchler, M.,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Havard University Press 1992

      23 Judge, K., "The English smoking treatment services: short-term outcomes" 100 (100): 46-58, 2005

      24 Khang Y. H., "Socioeconomic inequality in cigarette smoking : Trends by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South Korea" 42 : 415-422, 2006

      25 Kunst, A. 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in the European Union: Applying an equity lens to tobacco control policies" Erasmus Medical Center 2004

      26 Graham, H., "Smoking prevalence among women in the European community 1950-1990" 43 : 243-254, 1996

      27 Broms, U., "Smoking cessation by socioeconomic status and marital status : the contribution of smoking behavior and family background" 6 : 447-455, 2004

      28 Haustein, K. O., "Smoking and poverty" 13 : 312-318, 2006

      29 Giskes, K., "Smokers living in deprived areas are less likely to quit : a longitudinal follow-up" 15 : 485-488, 2006

      30 Bobak, M., "Smoke intake among smokers is higher in lower socioeconomic groups" 9 : 310-312, 2000

      31 Ecob, R., "Small area variations in health related behaviours : do these depend on the behaviour itself, its measurement, or on personal characteristics?" 6 : 261-274, 2000

      32 Shohaimi S, "Residential area deprivation predicts smoking habit independently of individual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al social class-A cross sectional study in the Norfolk cohort of the European Investigation into Cancer (EPIC-Norfolk)" 57 : 270-276, 2003

      33 Graham, H., "Patterns and predictors of tobacco consumption among women" 14 : 611-618, 1999

      34 Danielsson, T., "Open randomised trial of intermittent very low energy diet together with nicotine gum for stopping smoking in women who gained weight in previous attempts to quit" 319 : 490-493, 1999

      35 Cho H. J., "Occupational differential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finding from the 2003 Social Statistics Survey" 39 (39): 365-370, 2006

      36 Cho H. J., "Marital status and smoking in Korea : the influence of gender and age" 66 (66): 609-619, 2008

      37 Schoenbom, C., "Marital status and health: United States, 1999-2002, advance data from vital and health statics" National Center for Health 2004

      38 Galobardes, B., "Indicators of socioeconomic position(part 1)" 60 : 7-12, 2006

      39 Stroebe, M., "Gender differences in adfustment to bereavement :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review" 5 (5): 62-83, 2001

      40 Graham, H., "Gender and class as dimensions of smoking-behaviour in Britain : insights from a survey of mothers" 38 : 691-698, 1994

      41 Chung, W., "Factors influencing gender differences in smoking and their separate contributions : evidence from South Korea" 70 : 1966-1973, 2010

      42 Chung, W., "Factors influencing cigarette smoking and quantified implications for anti-smoking policy : evidence from South Korea" 54 : 409-419, 2009

      43 Layte, L., "Explaining social class inequalities in smoking : The role of education, self-efficacy and Deprivation" 25 : 399-410, 2009

      44 Khang, Y. H., "Explaining age-specific inequalities in mortality from all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ischaemic heart disease among South Korean male public servants : relative and absolute perspectives" 94 : 75-82, 2008

      45 Cavelaars, A. E., "Educational differences in smoking : international comparison" 320 : 1102-1107, 2000

      46 Kang, H. Y., "Economic burden of smoking in Korea" 12 : 37-44, 2003

      47 Townsend, J., "Cigarette smoking by socioeconomic group, sex, and age: Effects of price, income, and health publicity" 309 : 923-927,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