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 後半期 歲時風俗圖 硏究 = Study on the Painting of Sesipungsok of the Late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7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歲時風俗은 일 년 중 특정한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의례로서, 농촌에서의 밭갈이, 김매기, 수확 등의 농경 주기와 직접 관련되어 농경의례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갖는다. 세시풍속도는 음력의 월별, 24절기, 명절의 내용과 이에 따른 의식과 의례행사, 놀이를 포괄하는 세시풍속을 주제로 한 그림을 말한다. 병풍식의 연작 그림인 경우는, 한 해 동안 농가에서 해야 할 일과 행사를 월별, 혹은 계절의 리듬에 맞게 배열하여 묘사한다. 세시풍속도 병풍은 8폭 내지 12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화면 형식과 구성의 원리는 중국의 〈?風七月圖〉를 기원으로 한다. 〈빈풍칠월도〉는 ??詩經??의 ?風편 중의 ‘七月’ 詩를 전거로 하여 그린 그림이다.
      세시풍속도는 왕실의 감계화에서 시작하여 민간에도 성행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농업을 기반으로 한 유교사회에서 그 사회적 이념을 표방하는데 세시풍속도는 효과적인 주제였다. 사계절의 자연의 흐름에 일치되는 인간의 삶과 본업에 충실한 농민의 생활모습은 그 자체로 왕도정치의 이상이 실현된 태평성세를 의미하였기 때문이다. 세시풍속도가 조선화 과정을 거치고 정착되면서 19세기 후반에는 유교 이념을 향촌사회에서 유포하고 실현하고자 한 사대부층이 자신의 생활모습과 현실적인 욕망을 세시풍속도에 투영시키고 향유하였음을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풍속화 畵本은 이러한 주제의 그림이 궁중에서 민간으로 파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화본은 남아있지 않지만 현존하는 풍속화의 양상이 화본의 존재와 기능을 말해주고 있으며, 늦어도 1861년에는 조선의 풍속화 화본인 『圖說集』이 존재하였음을 김형수(金泂洙)가 저술한 『月餘農歌』의 「自敍」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歲時風俗은 일 년 중 특정한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의례로서, 농촌에서의 밭갈이, 김매기, 수확 등의 농경 주기와 직접 관련되어 농경의례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갖는다. 세시풍속도는 음...

      歲時風俗은 일 년 중 특정한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의례로서, 농촌에서의 밭갈이, 김매기, 수확 등의 농경 주기와 직접 관련되어 농경의례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갖는다. 세시풍속도는 음력의 월별, 24절기, 명절의 내용과 이에 따른 의식과 의례행사, 놀이를 포괄하는 세시풍속을 주제로 한 그림을 말한다. 병풍식의 연작 그림인 경우는, 한 해 동안 농가에서 해야 할 일과 행사를 월별, 혹은 계절의 리듬에 맞게 배열하여 묘사한다. 세시풍속도 병풍은 8폭 내지 12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화면 형식과 구성의 원리는 중국의 〈?風七月圖〉를 기원으로 한다. 〈빈풍칠월도〉는 ??詩經??의 ?風편 중의 ‘七月’ 詩를 전거로 하여 그린 그림이다.
      세시풍속도는 왕실의 감계화에서 시작하여 민간에도 성행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농업을 기반으로 한 유교사회에서 그 사회적 이념을 표방하는데 세시풍속도는 효과적인 주제였다. 사계절의 자연의 흐름에 일치되는 인간의 삶과 본업에 충실한 농민의 생활모습은 그 자체로 왕도정치의 이상이 실현된 태평성세를 의미하였기 때문이다. 세시풍속도가 조선화 과정을 거치고 정착되면서 19세기 후반에는 유교 이념을 향촌사회에서 유포하고 실현하고자 한 사대부층이 자신의 생활모습과 현실적인 욕망을 세시풍속도에 투영시키고 향유하였음을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풍속화 畵本은 이러한 주제의 그림이 궁중에서 민간으로 파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화본은 남아있지 않지만 현존하는 풍속화의 양상이 화본의 존재와 기능을 말해주고 있으며, 늦어도 1861년에는 조선의 풍속화 화본인 『圖說集』이 존재하였음을 김형수(金泂洙)가 저술한 『月餘農歌』의 「自敍」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sipungsok (歲時風俗) are annual cyclical rituals that are carried out regularly, repetitively and ritually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Directly related to the agricultural cycles such as plowing, weeding and harvesting in rural areas, sesipungsok fundamentally takes on the character of agricultural rituals. Painting of sesipungsok refer to illustrations under the theme of sesipungsok or annual cyclical rituals encompassing customs, rituals and games in accordance with the monthly events, 24 seasonal divisions and holidays of the lunar calendar. In the case of series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the illustrations are arranged and depicted according to the rituals and events a farming house must carry out monthly or seasonally over the course of the year. The folding screens with the paintings of sesipungsok are composed of 8 or 12 panels, and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illustrations date back to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風七月圖) of China.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re based on the poem “Seventh Month (Qieyue, 七月)” in the “Airs of Bin (Binfeng, ?風)” section of the Classic of Poetry (Shijing, 詩經).
      As painting of sesipungsok began with didactic paintings of the royal court and came to prevail amongst civilians, it acquired a variety of functions. In a Confucian society based on agriculture, painting of sesipungsok was an effective means to advocate the social ideology. The lifestyle of the farmers, who were both devoted to their jobs and lives, corresponding to the course of nature of the four seasons, was enough to signify a peaceful reign in which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was realize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ainting of sesipungsok that the nobility, who sought to spread and realize the Confucian values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sought to project and realize their realistic desires and livelihood actions through the painting of sesipungsok as it went through Joseonization and settled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oreover, the hwabon (畵本, album with a collection of illustrations used as a manual book for learning how to paint) on genre painting played a major role in spreading paintings of such subjects beyond the walls of the royal palaces and to the civilians outside the palaces. Currently, there are no hwabon left, but the existing genre paintings show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hwabon. Through the foreword of Wolyeonongga (月餘農歌) written by Hyeong-su Kim, it can be confirmed that a hwabon of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 of Illustrations (圖說集), existed in 1861 at the latest.
      번역하기

      Sesipungsok (歲時風俗) are annual cyclical rituals that are carried out regularly, repetitively and ritually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Directly related to the agricultural cycles such as plowing, weeding and harvesting in rural areas, sesipung...

      Sesipungsok (歲時風俗) are annual cyclical rituals that are carried out regularly, repetitively and ritually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Directly related to the agricultural cycles such as plowing, weeding and harvesting in rural areas, sesipungsok fundamentally takes on the character of agricultural rituals. Painting of sesipungsok refer to illustrations under the theme of sesipungsok or annual cyclical rituals encompassing customs, rituals and games in accordance with the monthly events, 24 seasonal divisions and holidays of the lunar calendar. In the case of series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the illustrations are arranged and depicted according to the rituals and events a farming house must carry out monthly or seasonally over the course of the year. The folding screens with the paintings of sesipungsok are composed of 8 or 12 panels, and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illustrations date back to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風七月圖) of China.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re based on the poem “Seventh Month (Qieyue, 七月)” in the “Airs of Bin (Binfeng, ?風)” section of the Classic of Poetry (Shijing, 詩經).
      As painting of sesipungsok began with didactic paintings of the royal court and came to prevail amongst civilians, it acquired a variety of functions. In a Confucian society based on agriculture, painting of sesipungsok was an effective means to advocate the social ideology. The lifestyle of the farmers, who were both devoted to their jobs and lives, corresponding to the course of nature of the four seasons, was enough to signify a peaceful reign in which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was realize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ainting of sesipungsok that the nobility, who sought to spread and realize the Confucian values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sought to project and realize their realistic desires and livelihood actions through the painting of sesipungsok as it went through Joseonization and settled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oreover, the hwabon (畵本, album with a collection of illustrations used as a manual book for learning how to paint) on genre painting played a major role in spreading paintings of such subjects beyond the walls of the royal palaces and to the civilians outside the palaces. Currently, there are no hwabon left, but the existing genre paintings show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hwabon. Through the foreword of Wolyeonongga (月餘農歌) written by Hyeong-su Kim, it can be confirmed that a hwabon of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 of Illustrations (圖說集), existed in 1861 at the lat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세시풍속도의 정의
      • 3. 세시풍속도의 기록상의 작례
      • 4. 조선 후반기 세시풍속도의 유형과 제작 양상 구애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세시풍속도의 정의
      • 3. 세시풍속도의 기록상의 작례
      • 4. 조선 후반기 세시풍속도의 유형과 제작 양상 구애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