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무몰입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 검증 = The Influence of Work Engagemen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Ty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6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ganizational change i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organization.
      To be proactiv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hange. Despite diverse efforts to change in organizations, success rate is less than 25%. Failure to organizational change leads negative outcomes such as sunk cost, de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reasing turnover rate, wasting resource, and diffusion of cynism. The reason of high failure rate is derived from the lack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which employees have. If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is low, organization can encounter employees' tremendous resistance. On the contrast, if employe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is high, employee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new adjustments.
      Given that context,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y testing the relationship, researchers tried to clarify generative mechanism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expecte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ange agents to influence employe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contribute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hange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researchers selected work engagement as an antecedent variable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 engagemen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wo types o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e participants include 306 employees of private organ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ork eng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ird,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engage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rategies to manage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번역하기

      Organizational change i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organization. To be proactiv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hange. Despite diverse efforts to change in organizations, success rate is less th...

      Organizational change i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organization.
      To be proactiv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hange. Despite diverse efforts to change in organizations, success rate is less than 25%. Failure to organizational change leads negative outcomes such as sunk cost, de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reasing turnover rate, wasting resource, and diffusion of cynism. The reason of high failure rate is derived from the lack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which employees have. If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is low, organization can encounter employees' tremendous resistance. On the contrast, if employe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is high, employee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new adjustments.
      Given that context,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y testing the relationship, researchers tried to clarify generative mechanism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expecte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ange agents to influence employe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contribute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hange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researchers selected work engagement as an antecedent variable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 engagemen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wo types o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e participants include 306 employees of private organ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ork eng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ird,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engage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rategies to manage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직변화는 조직 생존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직 현상이다. 환경변화에 대하여 조직이 변화 압력에적응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변화 노력은 조직의 핵심 의사결정 영역에 속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그러나 조직변화 성공을 위한 많은 노력과 자원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조직변화 성공률은 20-25%에 불과하며, 대부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조직변화의 실패는 매몰비용 발생, 조직효과성 하락, 이직률증가, 자원낭비, 냉소주의 확산 등 다양하고 심각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조직변화 실패의 주요 원인 중하나는 구성원들의 조직변화준비도 결핍에서 찾을 수 있다. 조직변화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 조직 변화 과정에있어 강력한 변화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조직변화 실패로 이어진다. 반대로 조직변화수준이 높은 경우효과적인 조직변화 성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조직변화의 성공적인 도입과 실행에관한 핵심요인으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조직변화준비도의 유관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 간 영향관계를 실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조직 상황에서 조직변화준비도 발현 맥락을 명확히 파악함으로써 성공적 조직변화 도입과실천에 관한 전략적 실천방안을 도출하고 논의를 활성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검토를 근거로 조직변화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요인으로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고,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간 영향관계를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리더십 맥락에 따른 조직변화준비도 발현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국내 사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 구성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306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수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은 조직변화준비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강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의 조직변화준비도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직무몰입촉진 방안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조직변화는 조직 생존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직 현상이다. 환경변화에 대하여 조직이 변화 압력에적응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변화 노력은 조직의 핵심 의사결정 영역에 ...

      조직변화는 조직 생존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직 현상이다. 환경변화에 대하여 조직이 변화 압력에적응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변화 노력은 조직의 핵심 의사결정 영역에 속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그러나 조직변화 성공을 위한 많은 노력과 자원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조직변화 성공률은 20-25%에 불과하며, 대부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조직변화의 실패는 매몰비용 발생, 조직효과성 하락, 이직률증가, 자원낭비, 냉소주의 확산 등 다양하고 심각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조직변화 실패의 주요 원인 중하나는 구성원들의 조직변화준비도 결핍에서 찾을 수 있다. 조직변화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 조직 변화 과정에있어 강력한 변화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조직변화 실패로 이어진다. 반대로 조직변화수준이 높은 경우효과적인 조직변화 성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조직변화의 성공적인 도입과 실행에관한 핵심요인으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조직변화준비도의 유관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 간 영향관계를 실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조직 상황에서 조직변화준비도 발현 맥락을 명확히 파악함으로써 성공적 조직변화 도입과실천에 관한 전략적 실천방안을 도출하고 논의를 활성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검토를 근거로 조직변화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요인으로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고,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간 영향관계를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리더십 맥락에 따른 조직변화준비도 발현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국내 사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 구성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306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수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은 조직변화준비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강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의 조직변화준비도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직무몰입촉진 방안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세희,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 이론과 절차"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24, 2014

      2 김호석, "호텔 기업 총지배인의 변혁적 리더십이 외식종사원의 직무열의, 직무성과,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9 (9): 29-43, 2013

      3 양근애, "항공사 승무원의 조직몰입, 직업몰입, 팀만족이 직무 열의와서비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31 (31): 2169-2190, 2018

      4 이미현, "진성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2 (22): 23-44, 2015

      5 박성민, "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위험감수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6 조윤성, "조직변화준비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7 우형록, "조직 및 개인 수준의 변화준비성이 조직변화 실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6 (46): 141-168, 2014

      8 노정란, "조직 문화 변화의 성공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427-445, 2010

      9 박혜진, "상사의 리더십, 조직의 변화 준비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수행, 조직변화지지 행동에 대한 조직변화몰입의 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131-153, 2009

      10 Kotter, J. P., "변화관리" 21세기북스 2004

      1 홍세희,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 이론과 절차"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24, 2014

      2 김호석, "호텔 기업 총지배인의 변혁적 리더십이 외식종사원의 직무열의, 직무성과,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9 (9): 29-43, 2013

      3 양근애, "항공사 승무원의 조직몰입, 직업몰입, 팀만족이 직무 열의와서비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31 (31): 2169-2190, 2018

      4 이미현, "진성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2 (22): 23-44, 2015

      5 박성민, "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위험감수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6 조윤성, "조직변화준비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7 우형록, "조직 및 개인 수준의 변화준비성이 조직변화 실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6 (46): 141-168, 2014

      8 노정란, "조직 문화 변화의 성공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427-445, 2010

      9 박혜진, "상사의 리더십, 조직의 변화 준비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수행, 조직변화지지 행동에 대한 조직변화몰입의 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131-153, 2009

      10 Kotter, J. P., "변화관리" 21세기북스 2004

      11 이형우,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수자원공사를 중심으로" 11 (11): 53-70, 2015

      12 육현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와 혁신분위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3 이철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5 (25): 147-169, 2012

      14 이창원, "변혁적 리더십 이론의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에 대한 검토" 한국정부학회 17 (17): 1035-1061, 2005

      15 조윤형, "멘토링, 자기권능감과 직무열의와의 관계" 대한경영학회 31 (31): 2301-2322, 2018

      16 주영진, "마이크로 러닝을 동반한 기업교육에서중간관리자의 변화준비성, 변화실행역량 및변화실행의지간의 관계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0 (20): 103-132, 2018

      17 박원우,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89-133, 2007

      18 정진철, "기업체 종사자의 변화에 대한 준비성과 절차적 공정성, 참여 및 경영진에 대한 신뢰의 관계" 한국산업교육학회 (30) : 25-61, 2015

      19 정진철, "기업체 종사자의 변화에 대한 준비성과 관련 변인의 인과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37-162, 2011

      20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양한 모형" 에스앤엠 리서치 그룹 2015

      21 류태모, "감정노동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435-460, 2014

      22 Hackman, J. R., "Work redesign" Addison-Wesley 1980

      23 Schaufeli, W. B.,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10-24, 2010

      24 Spreitzer, G. M.,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132-146, 2010

      25 Atkinson, P., "Without leadership there is no change" 43 (43): 8-11, 1999

      26 Vakola, M., "What's in there for me? Individual readiness to change and the perceived impact of organizational change" 35 (35): 195-209, 2014

      27 Byrne, Z. S., "Understanding employee engag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2015

      28 Howell, J. 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locus of control, and support for innovation: Key predictors of consolidated-business-unit performance" 78 (78): 891-902, 1993

      29 Abbasi, B.,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hange readiness and a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bureaucratic structure: An empirical investigation" 15 (15): 35-44, 2017

      30 Judge, T. A.,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 meta-analytic test of their relative validity" 89 (89): 755-768, 2004

      31 Bass, B. M., "Transformational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 Free Press 1985

      32 Kuhnert, K. W.,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constructive/ developmental analysis" 12 (12): 648-657, 1987

      33 Holt, D. H., "Towar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adiness for change: The case for an expanding conceptualization" 13 (13): 9-18, 2013

      34 Holt, D. T., "Toward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readiness for change: A review of research and instrumentation" 16 : 289-336, 2007

      35 Hirschhorn, L., "The workplace within: Psychodynamics of organizational life" MIT Press 1988

      36 Maslach, C.,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Jossey-Bass 1997

      37 Bouckenooghe, D., "The role of process, contex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explaining readiness to change: A multilevel analysis" Vlerick Leuven Gent Management School 2007

      38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56): 218-226, 2001

      39 Gigliotti, R., "The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individual change readiness" 1-15, 2018

      40 Park, M. J., "The relationship of change readiness and work engagement in manufacturing organizations in south-central Pennsylvania" 2015

      41 Matthysen, M.,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ess to change and work engagement: A case study in an accounting firm undergoing change" 16 (16): 1-11, 2018

      42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 study" 66 (66): 701-716, 2006

      43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3): 71-92, 2002

      44 Norshidah Nordin, "The influence of leader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change in a higher learning institution" 교육연구소 13 (13): 239-249, 2012

      45 Keller, S., "The inconvenient truth about change management"

      46 Bass, B. M., "The implications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4 (4): 231-272, 1990

      47 Lyons, J. B., "The impact of leadership on change readiness in the US military" 9 (9): 459-475, 2009

      48 Klein, K. J., "The challenge of innovation implementation" 21 (21): 1055-1080, 1996

      49 Tepper, B. J., "Structural validity of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54 (54): 734-744, 1994

      50 Marsh, H. W.,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latent interaction: Evaluation of alternative estimation strategies and indicator construction" 9 (9): 275-300, 2004

      51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52 진헌, "SERI형 조직문화 변화관리 모델" 삼성경제연구소 2011

      53 Armenakis, A. A., "Research in organization change and development (Vol.7)" JAI Press 97-128, 1999

      54 By, R. T., "Ready or not" 7 (7): 3-11, 2007

      55 Cunningham, C. 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A longitudinal study of workplace, psychological and behavioural correlates" 75 (75): 377-392, 2002

      56 Holt, D. T., "Readiness for change: The development of a scale" 2003

      57 Neves, P., "Readiness for change: Contributions for employee's level of individual change and turnover intentions" 9 (9): 215-231, 2009

      58 Murphy, K. R.,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entice-Hall 1988

      59 Colarelli, S. M., "Psychological interventions in organizations: An evolutionary perspective" 53 (53): 1044-1056, 1998

      60 Kahn, W. 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33 (33): 692-724, 1990

      61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62 Wanberg, C. R., "Predictors and outcomes of openness to changes in a reorganizing workplace" 85 (85): 132-142, 2000

      63 Bass, B. M., "Predicting unit performance by assessing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88 (88): 207-218, 2003

      64 Bakker, A. B.,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Engaged employees in flourishing organizations" 29 (29): 147-154, 2008

      65 Gersick, C. J., "Pacing strategic change: The case of a new venture" 37 (37): 9-45, 1994

      66 Weeks, W. A.,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change, individual fear of change, and sales manager performa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24 (24): 7-17, 2004

      67 Argyris, C., "Organizational learning: A theory of action perspectiv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78

      68 Von Treuer, K., "Organiz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readiness for change in residential aged care settings" 18 (18): 77-83, 2018

      69 Armenakis, A. A., "Organizational chang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in the 1990s" 25 (25): 293-315, 1999

      70 Beer, M., "Organization change and development" 38 (38): 339-367, 1987

      71 Bagozzi, R. P.,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6 (16): 74-94, 1988

      72 Bass, B. M.,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Technical report, leader form, raterform, and scoring key for MLQ form 5x-short" Mind Garden 2000

      73 Harman, H. H., "Modern factor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74 Cinite, I., "Measuremen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change in the public sector" 20 (20): 265-277, 2009

      75 Judge, T. A., "Managerial coping with organizational change: A dispositional perspective" 84 (84): 107-122, 1999

      76 Holten, A. L., "Leadership style and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36 (36): 2-16, 2015

      77 Yukl, G., "Leadership in organizations" Prentice Hall 2002

      78 Ganta, V. C., "Leadership during change and uncertainty in organizations" 3 (3): 1183-1190, 2014

      79 Baesu, C., "Leadership approaches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hange" 13 (13): 146-152, 2014

      80 Burns, J. M., "Leadership" Harper & Row 1978

      81 Choi, M., "Individual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its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10 (10): 46-73, 2011

      82 Callan, V. J.,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coping with organizational change" 7 (7): 63-75, 1993

      83 Lewin, K., "Frontiers in group dynamics: Concept, method and reality in social science; social equilibria and social change" 1 (1): 5-41, 1947

      84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85 Jackman, M. G. A., "Estimating latent variable interactions with the unconstrained approach: A comparison of methods to form product indicators for large, unequal numbers of items" 18 (18): 274-288, 2011

      86 Robbins, S. P., "Essential of organisational behaviour" Prentice Hall 2012

      87 Santhidran, S., "Enabling organizational change–leadership, commitment to change and the mediating role of change readiness" 14 (14): 348-363, 2013

      88 Choi, M., "Employees' attitudes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A literature review" 50 (50): 479-500, 2011

      89 Schaufeli, W. B., "Employee engagement in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15-35, 2014

      90 Lee, J., "Effects of leadership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innovativeness" 23 (23): 670-687, 2008

      91 Podsakoff, P. M., "Effects of leader contingent and noncontingent reward and punishment behaviors on subordinat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25 (25): 810-821, 1982

      92 Armenakis, A. A., "Creating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46 (46): 681-703, 1993

      93 Armenakis, A. A., "Crafting a change message to create transformational readiness" 15 (15): 169-183, 2002

      94 Devos, G., "Contribution of content, context, and process to understanding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Two experimental simulation studies" 147 (147): 607-630, 2007

      95 Van den Heuvel, M., "Contemporary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Global perspectives on research and practice (Vol. 1)" Wiley-Blackwell 124-150, 2010

      96 Weiner, B. J.,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chang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other fields" 65 (65): 379-436, 2008

      97 Conger, J. A.,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s" Sage 1998

      98 Caldwell, R., "Change leaders and change managers: different or complementary?" 24 (24): 285-293, 2003

      99 Dent, E. B., "Challenging resistance to change" 35 (35): 25-41, 1999

      100 Higgs, M., "Building change leadership capability: The quest for change competence" 1 (1): 116-130, 2000

      101 Mangundjaya, W. L., "A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loyee engagement important in achieving individual readiness for change?" 9 (9): 195-192, 2012

      102 Hanpachern, C.,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margin: A framework for assessing readiness for change" 9 (9): 339-350, 1998

      103 Rafferty, A. E., "An examination of the antecedents of readiness for fine-tuning and corporate transformation changes" 20 (20): 325-350, 2006

      104 Taylor, S. E.,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38 (38): 1161-1173, 1983

      105 Jippes, M., "A medical school’s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curriculum change (MORC):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88 (88): 1346-135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Daba) ->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DAB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53 2.10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