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이 호프(Humulus lupulus L.)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Hop(Humulus lupus 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51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hop (Hallertau variety) emphasis given to ${\alpha}$-acid content. Nitrogen was applied by the rates of 0, 12, 18, 24, 30 and 36kg per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hop (Hallertau variety) emphasis given to ${\alpha}$-acid content. Nitrogen was applied by the rates of 0, 12, 18, 24, 30 and 36kg per 10a.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tages of cone-hair developing and coneripening were delayed with increment of nitrogen applied. Number of nodes and length of vine increased with nitrogen applid by up to 24kg N/10a. 2.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24kg N/10a plot and cone weight had hi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yield without regard to the years of growth. No.of flower per side blanch and weight of 100 con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yield in the four-year old and five-year old Hop plants. 3. Nutrient content in Hop plants was in the order of CaO, total nitrogen, $K_2O$, MgO and $P_2O_5$. Content of total nitrogen, CaO and MgO was high in leaves while that of $P_2O_5$ and $K_2O$ was high in cone. Nitrogen, phosphorus and magnesium increased with increment of nitrogen fetilized while potassium and calcium decreased. 4. As for the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cone developing stage $SiO_2$ content was higher in lower part than in the upper part while $P_2O_5$ contetn was higher in upper part than in lower part of the plant. And content of nitrogen and potassium was higher in middle height than in upper and lower part. 5. The optimum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were 19.3kg for 2 years, 24.3kg for 3-year, 27.9kg for 4 years and 31.8kg/10a for 5-year old Hop, respectively. 6. Nitrogen uptake in con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of ${\alpha}$-acid and ${\beta}$-acid in c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호프에 대한 재배년수별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밝히고 품질(品質)을 구명(究明)하고자, Hallertau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질소(窒素)를 성분량(成分量)으로 각각(各各) 0, 12, 18, 24, 30, 3...

      호프에 대한 재배년수별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밝히고 품질(品質)을 구명(究明)하고자, Hallertau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질소(窒素)를 성분량(成分量)으로 각각(各各) 0, 12, 18, 24, 30, 36kg/10a을 처리(處理)하여 재배(栽培)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호프의 모화기(毛花期), 구화형성기(毬花形成期), 구화성숙기(逑花成熟期)는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많을수록 다소 지연(遲延)되는 양상(樣相)을 보였고, 마디수와 만장(蔓長)은 질소(窒素) 24㎏/10a 까지는 길어지고 그 이상(以上)의 수준(水準)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였다. 2. 수량(收量)은 질소(窒素) 24kg/10a에서 가장 증수(增收) (1,023kg/10a)되었으며, 주당구화수(株當毬花數) 및 구화중(毬花重)은 년생(年生)에 관계없이 수량(收量)과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착화측지당(着花側枝當) 구화수(毬花數)및 100구화중(毬花重)은 4년생(年生)과 5년생(年生)에서 수량(收量)과 유의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3. 식물체(植物體)의 양분함유율(養分含有率)은 CaO, T-N, $K_2O$, MgO, $P_2O_5$ 순(順)으로 많이 흡수(吸收)되였고, T-N, CaO, MgO는 경엽(莖葉)에, $P_2O_5$, $K_2O$는 구화(毬花)에 많이 함유(含有)되였고,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T-N, $P_2O_5$, MgO는 증가(增加)하나 $K_2O$, CaO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구화형성기(毬花形成期)에 부위별(部位別) 양분함량(養分含量)을 보면, $SiO_2$는 상위부(上位部)보다는 하위부(下位部)에, $P_2O_5$는 하위부(下位部)보다는 상위부(上位部)에, T-N과 $K_2O$는 상(上), 하위부(下位部)보다는 중위부(中位部)에 무기성분(無期成分) 함량(含量)이 많이 분포(分布)하는 경향(傾向)이었다. 5. 회귀곡선식(回歸曲線式)에 의한 질소(窒素)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은 2년생(年生) 19.3, 3년생(年生) 24.3, 4년생(年生) 27.9, 5년생(年生) 31.8kg/10a이였다. 6. 구화중(毬花重)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 ${\alpha}$-acid 및 ${\beta}$-acid 함량과는 정(正)의 상관(相關)관계를 보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