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적인 것의 개념: 연결의 정치학을 위한 시론 = The Concept of Family: An Essay on the Politics of Conne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6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familial as a method concept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new family paradigm of our time. The familial refers to a number of relational practices that are not solely related by blood, such as friends, that are sometimes more familial than family. This concept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family practice or family display in that it emphasizes the performa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family. It differs in that it takes issue with the normative standards of family (Section 2). By way of Judith Butler's reinterpretation of Arendt's police/private oikos distinction, the author describes the common meaning from which various families are derived as ’sustainable interdependence in conditions of an unstable and vulnerable organic life' (Section 3). Then, through the cultural anthropologist Edward T.
      Hall's concept of territoriality, the actual phenomenon in which the family is derived fluidly and complexly is described as a spatial practice that adjusts close distance, person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Section 4).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would like to propose a poetic theory of the politics of connection that restructures family, friends, neighbors, villages, society, and ecological environments while imploding the family ideology of Korean society (Section 5).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familial as a method concept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new family paradigm of our time. The familial refers to a number of relational practices that are not solely related by blood, such as friends, that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familial as a method concept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new family paradigm of our time. The familial refers to a number of relational practices that are not solely related by blood, such as friends, that are sometimes more familial than family. This concept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family practice or family display in that it emphasizes the performa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family. It differs in that it takes issue with the normative standards of family (Section 2). By way of Judith Butler's reinterpretation of Arendt's police/private oikos distinction, the author describes the common meaning from which various families are derived as ’sustainable interdependence in conditions of an unstable and vulnerable organic life' (Section 3). Then, through the cultural anthropologist Edward T.
      Hall's concept of territoriality, the actual phenomenon in which the family is derived fluidly and complexly is described as a spatial practice that adjusts close distance, person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Section 4).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would like to propose a poetic theory of the politics of connection that restructures family, friends, neighbors, villages, society, and ecological environments while imploding the family ideology of Korean society (Section 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우리 시대 새로운 가족 패러다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적 개념으로 ‘가족적인 것The familial’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족적인 것은 혈연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은, 친구 같기도 하고 가족이기도 한, 때론 가족보다 더 가족적인 여러 관계적 실천들을 지시한다. 이 개념은 가족의 수행적ㆍ동사적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가족실천’ 또는 ‘가족시연’ 개념과 유사하지만, 우리가 수행하는 다양한 가족 행위의 가족‘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가족과 비가족의 규범적 기준을 문제삼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2절). 필자는 아렌트(Hannah Arendt)의 ‘공police/사oikos’ 구분에 대한 버틀러(Judith Butler)의 재해석을 경유해서, 다양한 가족들이 파생되는 공통의 의미 지반을 ‘불안정하고 상처받기 쉬운 유기체적 삶의 조건 속에서 지속가능한 상호의존성’으로 분석한다(3절). 그런 다음 문화인류학자 홀(Edward T. Hall)의 ‘영토권territoriality’ 개념을 통해 가족적인 것이 유동적ㆍ복합적으로 파생되는 실제 현상을 밀접한 거리,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를 조정하는 공간적 실천으로 서술한다(4절).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가족 이데올로기를 내파하면서 가족, 친구, 이웃, 마을, 사회, 생태환경을 재구조화하는 연결의 정치학을 시론적으로 제안한다(5절).
      번역하기

      이 글은 우리 시대 새로운 가족 패러다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적 개념으로 ‘가족적인 것The familial’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족적인 것은 혈연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은, 친구 ...

      이 글은 우리 시대 새로운 가족 패러다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적 개념으로 ‘가족적인 것The familial’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족적인 것은 혈연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은, 친구 같기도 하고 가족이기도 한, 때론 가족보다 더 가족적인 여러 관계적 실천들을 지시한다. 이 개념은 가족의 수행적ㆍ동사적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가족실천’ 또는 ‘가족시연’ 개념과 유사하지만, 우리가 수행하는 다양한 가족 행위의 가족‘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가족과 비가족의 규범적 기준을 문제삼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2절). 필자는 아렌트(Hannah Arendt)의 ‘공police/사oikos’ 구분에 대한 버틀러(Judith Butler)의 재해석을 경유해서, 다양한 가족들이 파생되는 공통의 의미 지반을 ‘불안정하고 상처받기 쉬운 유기체적 삶의 조건 속에서 지속가능한 상호의존성’으로 분석한다(3절). 그런 다음 문화인류학자 홀(Edward T. Hall)의 ‘영토권territoriality’ 개념을 통해 가족적인 것이 유동적ㆍ복합적으로 파생되는 실제 현상을 밀접한 거리,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를 조정하는 공간적 실천으로 서술한다(4절).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가족 이데올로기를 내파하면서 가족, 친구, 이웃, 마을, 사회, 생태환경을 재구조화하는 연결의 정치학을 시론적으로 제안한다(5절).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카마사 마사키, "한나아렌트 『인간의 조건』을 읽는 시간" arte 2018

      2 버틀러, 주디스, "젠더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2008

      3 터너, 빅터, "인간사회와 상징행위 : 사회적 드라마, 구조, 커뮤니타스" 황소걸음 2018

      4 버틀러, 주디스,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노트" 창비 2020

      5 홀, 에드워드, "숨겨진 차원" 한길사 2017

      6 뒤르켐, 에밀,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새물결 2019

      7 마페졸리, 미셸, "부족의 시대: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인주의의 쇠퇴" 문학동네 2017

      8 바렛, 미셸, "반사회적 가족" 나름북스 2019

      9 김청우, "관계 원리로서의 인접성 탐구 -최근 한국 시인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9) : 265-294, 2020

      10 류도향, "가족적인 것의 확장 : 유사성과 차이성"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1 (21): 467-492, 2020

      1 나카마사 마사키, "한나아렌트 『인간의 조건』을 읽는 시간" arte 2018

      2 버틀러, 주디스, "젠더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2008

      3 터너, 빅터, "인간사회와 상징행위 : 사회적 드라마, 구조, 커뮤니타스" 황소걸음 2018

      4 버틀러, 주디스,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노트" 창비 2020

      5 홀, 에드워드, "숨겨진 차원" 한길사 2017

      6 뒤르켐, 에밀,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새물결 2019

      7 마페졸리, 미셸, "부족의 시대: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인주의의 쇠퇴" 문학동네 2017

      8 바렛, 미셸, "반사회적 가족" 나름북스 2019

      9 김청우, "관계 원리로서의 인접성 탐구 -최근 한국 시인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9) : 265-294, 2020

      10 류도향, "가족적인 것의 확장 : 유사성과 차이성"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1 (21): 467-492, 2020

      11 모건, 데이비드, "가족의 탐구 : 가족실행의 새로운 접근" 이학사 2012

      12 변수정, "가족의 제도적 수용성 제고" 한국보건사회연구소 2016

      13 김혜경, "가족구조에서 가족실행으로: ‘가족실천’과 ‘가족시연’ 개념을 통한 가족연구의 대안 모색" 한국사회학회 53 (53): 217-253, 2019

      14 류도향, "가족과 커뮤니티에 대한 인문지표 제언" 동서사상연구소 (35) : 289-309, 2021

      15 Weeks, J., "Same Sex Intimacies: Families of Choice and Other Life Experiments" Routledge 2001

      16 Zerilli, L, "Feminist Interpretations of Hannah Arendt"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95

      17 Finch, J, "Displaying Families" 4 (4): 65-81, 2007

      18 여성가족부, "2020 가족다양성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보고서"

      19 주간조선, "2016 신가족 보고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