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미경, "한국 내 이주노동자 현황과 과제" 2015
2 "출입국관리법 제39조 및 제40조"
3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53조의2 제2항 제2호 가목 관련 ‘다문화사회전문가 인정 요건 및 이수과목’"
4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53조의2 제2항 ‘다문화사회전문가 자격기준’"
5 김혜순, "이민자와 국민 대상 다문화사회 시민교육제도의 정책제안" 2008
6 법무부, "이민과 통합" (창간) : 2017
7 곽호완, "실험심리학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2008
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지침"
9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사회통합프로그램 다문화사회 전문가인정 기준 등에 관한 규정"
10 "사회통합정보망 Soci-Net"
1 양미경, "한국 내 이주노동자 현황과 과제" 2015
2 "출입국관리법 제39조 및 제40조"
3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53조의2 제2항 제2호 가목 관련 ‘다문화사회전문가 인정 요건 및 이수과목’"
4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53조의2 제2항 ‘다문화사회전문가 자격기준’"
5 김혜순, "이민자와 국민 대상 다문화사회 시민교육제도의 정책제안" 2008
6 법무부, "이민과 통합" (창간) : 2017
7 곽호완, "실험심리학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2008
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지침"
9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사회통합프로그램 다문화사회 전문가인정 기준 등에 관한 규정"
10 "사회통합정보망 Soci-Net"
11 민무숙,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Ⅲ): 다문화전문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제인문사회연구회 합동연구총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12 동아일보, "다문화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여성가족부, 국가브랜드 위원회
13 강정향,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전문직업성과 사회통합지향성에 관한 연구: 인적 사회적 심리적 자본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2016
14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다문화사회전문가 이수교육 위탁교육 실시가관 공문"
15 법무부, "다문화사회전문가 양성과정 안내 자료"
16 설동훈, "다문화사회전문가 양성과정 개편을 위한 연구" 법무부 2009
17 법무부, "다문화사회전문가 보수교육"
1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다문화사회 전문가(2급) 인정 대학(원) 및 요건 안내"
19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다문화사회 관련과목 개설대학"
20 James A. Banks,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21 법무부, "다문화가족 외국인 정착지원 서비스, 한 곳에서! - 정부3.0 협업을 통해 『다문화이주민+센터』설치 운영"
22 박복순, "다문화가족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23 정지윤, "다문화 전문가 직무와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24 이성순,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 현황과 과제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0) : 241-268, 2011
25 "다문화 사회통합 ABT대학으로 20개 대학 지정"
26 "귀화 민간면접관 위촉 및 처우에 관한 규정 , 2014년 4월 훈령(제939호) 개정"
27 여성가족부,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2015
2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2017년도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운영기관 지정 현황"
29 제주특별자치도, "2016 주민등록인구통계"
30 법무부, "2015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31 법무부 외국인정책위원회, "2013-2017 제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