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가 초기부터 부흥할 수 있었던 이유들 중의 하나는 강한 민족에 대한 관심과 독립적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가 형성될 당시, 한국은 비(非)기독교 국가이자 비(非)서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80118
박응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2019
Korean
교회와 국가 ; 독립운동 ; 민족운동 ; 105인사건 ; 일제강점기 ; 3·1운동 ; 한국교회 ; Church and State ; Independence Movement ; Japanese Occupation ; Korean Church ; March First Movement ; Nationalism ; 105 Conspiracy Cas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3-195(4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교회가 초기부터 부흥할 수 있었던 이유들 중의 하나는 강한 민족에 대한 관심과 독립적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가 형성될 당시, 한국은 비(非)기독교 국가이자 비(非)서구 ...
한국교회가 초기부터 부흥할 수 있었던 이유들 중의 하나는 강한 민족에 대한 관심과 독립적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가 형성될 당시, 한국은 비(非)기독교 국가이자 비(非)서구 기독교 국가인 일본제국에 의하여 약 반세기 동안 식민통치를 받았다.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아시아의 다른 여러 나라에서처럼 반(反)민족주의자들로 오인 받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교회야말로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헌신하는 동반자로 인식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특수한 역사적 상황이 보수적인 신앙을 지닌 한국교회로 하여금 일제강점기 동안 민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일제의 통치기간에 한국교회는 정치적 독립뿐만 아니라, 독립정신을 한국인들 사이에 널리 확산시키는 데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교회는 민족운동을 주도해 갈 수 있는 지도자들을 양성했고,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 그리고 한국교회는 네비우스 선교방법을 채택함으로 자립정신을 고양시킴으로 한국인의 민족주의 사상을 배양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네비우스 선교원칙들을 통하여, 한국 기독교인들은 자긍심과 함께 자존심이 무엇인지 터득하게 되었고, 이것은 일제의 통치에 의한 굴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독립정신으로 이어졌다.
이 기간에 한국교회에게 매우 중요한 또 하나의 중요한 사안은 교회와 국가의 문제였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사역하고 있었던 미국 선교사들은 정치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중립이라는 전통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한국인들에 대한 비(非)인륜적인 처사에 대해서는 강력한 비판적 자세를 견지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은 105인사건과 1919년의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일제로부터 나라를 독립시키기 위하여 가장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한국교회는 선교사들의 입장도 그랬거니와 보수적인 신학의 영향으로 교회와 국가의 분리개념을 견지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교회와 국가의 분리개념이 반드시 정치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관심에 무관심을 드러낸다고 동일시 할 수는 없다.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일제도 정교분리를 주장하면서, 종교적인 영역에도 많은 정치적 이슈들을 강요하는 모순을 자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라는 원칙을 고수하면서, 한국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일제의 만행에 대하여 저항하는 중요한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일제 강점기 기간 동안 한국교회는 강력한 민족에 대한 관심을 지니면서 적절한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정립하면서 한국의 독립운동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main reasons for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church was its strong nationalistic and independent spirit. It was non-Christian Japan and not the Christian West that colonized and ruled Korea almost for half a century, when the Korean church w...
One of main reasons for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church was its strong nationalistic and independent spirit. It was non-Christian Japan and not the Christian West that colonized and ruled Korea almost for half a century, when the Korean church was being formed and established. Christians have never been suspected as being anti-national in Korea, as in many other Asian nations, because the church was an ally of every movement that fought for national independence. This peculiar historical situation encouraged the conservative forces in the church to positively involve themselves in the nationalistic movement in Korea throughout the period of Japanese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chur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truggle for political liberation and in the spread of independent spirit among Koreans. The church provided the necessary leadership of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many Christians had to suffer persecution. And also, the spirit of self-support among the people, because of the Nevius mission method, fostered Korean nationalism. Through the Nevius mission principles, the Korean Christians learned self-confidence and gained a new sense of self-respect and independence of spirit which were so vital to their survival under the humiliation of foreign dominatio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the Korean church was the issue of church and stat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enerally speaking, American missionaries followed the traditional policy of neutrality in political affairs. However, the inhumane treatment of Koreans by the Japanese caused a strong protest among missionaries. From the early stage, the Korean church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due to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Through the Conspiracy Case in 1910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t Movement in 1919, members of Korean churches were active in securing their country’s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churches tried to maintain the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due to the influence of conservative Christian faith of missionaries and church leaders. However, stressing the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needs not to be equated with the indifference to political and social concerns. As we know,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stressed the separ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and was contradicted by imposing their political agenda upon religious area, while emphasizing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is situation, Korean Christians had a crucial justification to resi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appealing to the same principles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a strong national concern, Korean churches did a great role in independence movement by applying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그레이슨, 제임스 헌틀리, "한국종교사" 민족사 1995
2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사 1990
3 김용복, "한국기독교와 제3세계" 풀빛 1981
4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도서출판 보성 1986
5 민경배,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1885-1945)"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6 박응규, "한국교회의 정치참여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교회와 국가관계를 중심으로" 5 : 159-212, 2008
7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한국교회 100년 종합조사 연구 보고서"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2
8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8
9 간하배, "한국 장로교 신학사상" 실로암 1997
10 김용복, "한국 기독교 사회운동" 路출판 1986
1 그레이슨, 제임스 헌틀리, "한국종교사" 민족사 1995
2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사 1990
3 김용복, "한국기독교와 제3세계" 풀빛 1981
4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도서출판 보성 1986
5 민경배,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1885-1945)"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6 박응규, "한국교회의 정치참여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교회와 국가관계를 중심으로" 5 : 159-212, 2008
7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한국교회 100년 종합조사 연구 보고서"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2
8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8
9 간하배, "한국 장로교 신학사상" 실로암 1997
10 김용복, "한국 기독교 사회운동" 路출판 1986
11 전봉덕, "한국 근대법 사상사" 박영사 1981
12 이덕주, "초기 한국기독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13 노치준, "일제하 한국기독교 민족운동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3
14 강위조, "일본 통치하의 한국의 종교와 정치" 대한기독교서회 1977
15 길진경, "영계 길선주" 기독교문사 1968
16 유길준, "서유견문" 서해문집 2004
17 선우훈, "민족의 수난" 애국동지회 1954
18 이광수, "도산 안창호" 대성문화사 1947
19 안수강, "길선주의 신관과 인간관에 나타난 종말사상 분석: 그의 설교집과 『末世學』을 중심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2 : 11-53, 2018
20 최종고, "국가와 종교" 현대 사상사 1984
21 민경배, "교회와 민족"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22 한국기독교문화진흥원, "교회와 국가" 도서출판 엠마오 1988
23 서영일, "교회와 국가" 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24 양낙흥, "개혁주의 사회윤리와 한국 장로교회" 개혁주의신행협회 1994
26 Sanders, Thomas G, "Protestant Concepts of Church and State" Rinehart and Winston 1964
27 Wells, Kenneth M, "New God, New Nation: Protestants and Self- Reconstruction Nationalism in Korea 1896-1937"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28 Pak, Ung Kyu, "Millennialism 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Peter Lang Publishing Inc 2005
29 Pak, Ung Kyu, "From Fear To Hope: The Shaping of Premillennialism in Korea, 1884-1945"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 1998
30 Tracy, James, "Europe’s Reformations, 1450-1650"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9
31 Song, Gil Sop,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y Percep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and Its Effects upon the Churches of Korea" Boston University 1975
32 Gale, James S, "A Tale of Korea" Fleming H. Revell 1904
33 박응규, "3·1독립운동과 길선주 목사" 7 (7): 22-24, 2019
34 윤경로, "105인 사건과 신민회 연구" 일지사 1990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본 아프리카 독립교회에 관한 선교학적 제언
길선주의 “平和의 曙”(1922)에 나타난 ‘평화’와 ‘의’(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