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의심하는 청년들을 위한 변증적 교리 설교의 필요 = The Necessity of the Apologetic Doctrinal Preaching for Doubting Young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0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회 안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의심 아래 있는 청년들에게 신앙적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 청년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신앙에 의해 어려서부터 교회생활에 익숙한 자들이다. 이들은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청년에 이르는 몸의 성장을 겪으면서 동시에 정신적으로도 부모로부터 독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의 신앙’을 의지하던 단계에서 ‘자신의 신앙’으로 넘어가는 과정, 즉 신앙적 독립 과정에서 의심의 시기를 보내게 된다. 어렸을 때는 의심 없이 받아들였던 성경 이야기가 의심이 되고, 성경에서 모순처럼 보이는 구절을 발견하거나 기독교의 교리가 비논리적이라 여겨질 때 의심하게 된다. 이 의심이 교회 생활을 통해 해결 받지 못했을 때 형식적인 신앙생활을 하게 되거나 신앙에 흥미를 잃게 되며, 심지어 신앙을 포기하고 교회를 떠나기까지 한다.
      이렇게 교회 안에서 있으면서도 의심의 구름 아래 있는 청년 세대들을 돕기 위해서는 ‘변증적 교리 설교’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논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네 가지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의심하는 청년들(청년세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들이 의심하는 이유와 의심의 내용을 알아야만 그들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의심하는 청년들을 위한 교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교회 안의 청년들이 갖는 의심의 성격이 ‘교리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른 교리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그들의 의심은 많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다. 셋째, ‘교리 설교’의 필요를 깨달아야 한다. 물론 청년들에게 교리를 가르침에 있어 ‘설교’보다는 ‘교육’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오늘날 주일오전예배만 출석하는 청년들이 대다수인 것을 고려할 때, 교리를 설교형식으로 전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넷째, 변증적 설교가 필요하다. 교리 설교를 하되, 그 설교가 변증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의심하는 청년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기독교신앙은 성령의 역사로만 발생한다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신앙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성령의 역사의 결과이지 인간의 변증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변증을 통해서 믿음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논문은 변증적 교리 설교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이 비논리적이거나 맹목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성경적인 것임을 설명하고, 또한 비이성적인 것이 아니라 초이성적 것임을 설명함으로써 의심하는 청년들을 신앙적으로 도울 수 있다고 말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교회 안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의심 아래 있는 청년들에게 신앙적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 청년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신앙에 의해 어려서부터 교회생활에 익숙한 자...

      본 논문은 교회 안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의심 아래 있는 청년들에게 신앙적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 청년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신앙에 의해 어려서부터 교회생활에 익숙한 자들이다. 이들은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청년에 이르는 몸의 성장을 겪으면서 동시에 정신적으로도 부모로부터 독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의 신앙’을 의지하던 단계에서 ‘자신의 신앙’으로 넘어가는 과정, 즉 신앙적 독립 과정에서 의심의 시기를 보내게 된다. 어렸을 때는 의심 없이 받아들였던 성경 이야기가 의심이 되고, 성경에서 모순처럼 보이는 구절을 발견하거나 기독교의 교리가 비논리적이라 여겨질 때 의심하게 된다. 이 의심이 교회 생활을 통해 해결 받지 못했을 때 형식적인 신앙생활을 하게 되거나 신앙에 흥미를 잃게 되며, 심지어 신앙을 포기하고 교회를 떠나기까지 한다.
      이렇게 교회 안에서 있으면서도 의심의 구름 아래 있는 청년 세대들을 돕기 위해서는 ‘변증적 교리 설교’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논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네 가지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의심하는 청년들(청년세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들이 의심하는 이유와 의심의 내용을 알아야만 그들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의심하는 청년들을 위한 교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교회 안의 청년들이 갖는 의심의 성격이 ‘교리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른 교리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그들의 의심은 많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다. 셋째, ‘교리 설교’의 필요를 깨달아야 한다. 물론 청년들에게 교리를 가르침에 있어 ‘설교’보다는 ‘교육’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오늘날 주일오전예배만 출석하는 청년들이 대다수인 것을 고려할 때, 교리를 설교형식으로 전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넷째, 변증적 설교가 필요하다. 교리 설교를 하되, 그 설교가 변증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의심하는 청년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기독교신앙은 성령의 역사로만 발생한다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신앙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성령의 역사의 결과이지 인간의 변증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변증을 통해서 믿음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논문은 변증적 교리 설교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이 비논리적이거나 맹목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성경적인 것임을 설명하고, 또한 비이성적인 것이 아니라 초이성적 것임을 설명함으로써 의심하는 청년들을 신앙적으로 도울 수 있다고 말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give religious help to young people who are in church but also under doubt. Most of these young people are those who are accustomed to church life from their youth by their parents’ faith. They are going through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growth of their bodies to the youth, and at the same time mentally seeking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And, from the stage of relying on ‘the faith of their parents’, They ar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passing onto the stage of ‘their own faith’, that is, the period of doubt in the process of religious independence. At an early age, when the Bible story that they accepted without doubt became doubtful, when they find doubtful verses in the Bible, or when the doctrine of Christianity is considered illogical, they get doubts. When this doubt is not resolved through the life of the church, they will live a formal religious life, or lose interest in the faith, even giving up their faith and even leaving the church.
      It is the point of this study that ‘apologetic doctrine preaching’ is needed to help young generation in the church, even under the clouds of doubts. To this end,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must be four ‘need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young generation in doubt. It is because we can help them if we know the reasons for their doubting and the contents of the doub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ed for a doctrine for doubting young people. It is because the nature of the doubts of young people in the church is ‘doctrinal’. Therefore, if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right doctrine, much of their doubts can be resolv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need for ‘doctrine preaching’. Of course,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preaching’ in teaching doctrine to young people. But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young people only attend Sunday morning worship these days, it is realistic to convey doctrine in a preaching form. Fourth, apologetic preaching is needed. Even at preaching a doctrine, the preaching must be conducted in an apologetic way to give real help to the doubting young people.
      It is the Bible’s teachings that Christian faith occurs only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aith is the gift of God, a result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not created by human apologetics. Therefore, it is not the belief that comes through apologetics. Through apologetic doctrine preaching, this study just attempts to explain that Christian faith is rational and biblical, not illogical or blind, and that it is not irrational but super-rational to convey that we can help in faith the doubting young people.
      번역하기

      This study suggests ways to give religious help to young people who are in church but also under doubt. Most of these young people are those who are accustomed to church life from their youth by their parents’ faith. They are going through childhood...

      This study suggests ways to give religious help to young people who are in church but also under doubt. Most of these young people are those who are accustomed to church life from their youth by their parents’ faith. They are going through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growth of their bodies to the youth, and at the same time mentally seeking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And, from the stage of relying on ‘the faith of their parents’, They ar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passing onto the stage of ‘their own faith’, that is, the period of doubt in the process of religious independence. At an early age, when the Bible story that they accepted without doubt became doubtful, when they find doubtful verses in the Bible, or when the doctrine of Christianity is considered illogical, they get doubts. When this doubt is not resolved through the life of the church, they will live a formal religious life, or lose interest in the faith, even giving up their faith and even leaving the church.
      It is the point of this study that ‘apologetic doctrine preaching’ is needed to help young generation in the church, even under the clouds of doubts. To this end,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must be four ‘need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young generation in doubt. It is because we can help them if we know the reasons for their doubting and the contents of the doub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ed for a doctrine for doubting young people. It is because the nature of the doubts of young people in the church is ‘doctrinal’. Therefore, if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right doctrine, much of their doubts can be resolv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need for ‘doctrine preaching’. Of course,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preaching’ in teaching doctrine to young people. But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young people only attend Sunday morning worship these days, it is realistic to convey doctrine in a preaching form. Fourth, apologetic preaching is needed. Even at preaching a doctrine, the preaching must be conducted in an apologetic way to give real help to the doubting young people.
      It is the Bible’s teachings that Christian faith occurs only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aith is the gift of God, a result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not created by human apologetics. Therefore, it is not the belief that comes through apologetics. Through apologetic doctrine preaching, this study just attempts to explain that Christian faith is rational and biblical, not illogical or blind, and that it is not irrational but super-rational to convey that we can help in faith the doubting young peo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창균, "효과적인 교리 설교를 위한 제안" (297) : 72-77, 2014

      2 한미준, "한국교회 미래리포트" 두란노 2005

      3 Leech, Kenneth, "하나님 체험" 청림출판 2011

      4 Oliphint, Scott, "코넬리우스 밴틸의 개혁주의 변증학" 크리스챤출판사 2011

      5 Parrott Ⅲ, Les, "청소년이 고민하는 30가지 상담 가이드" 요단출 판사 2008

      6 이상화,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33가지 이유" 브니엘 2007

      7 Kinnaman, David, "청년들은 왜 교회를떠나는가" 국제제자훈련원 2011

      8 이길주, "졸업 후 교회를 떠나는 아이들 그리고‘5:1" 448 : 66-67, 2015

      9 Berkhof, Louis, "조직신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2

      10 Papalia, D. E, "인간발달 Ⅱ" 교육과학사 1998

      1 정창균, "효과적인 교리 설교를 위한 제안" (297) : 72-77, 2014

      2 한미준, "한국교회 미래리포트" 두란노 2005

      3 Leech, Kenneth, "하나님 체험" 청림출판 2011

      4 Oliphint, Scott, "코넬리우스 밴틸의 개혁주의 변증학" 크리스챤출판사 2011

      5 Parrott Ⅲ, Les, "청소년이 고민하는 30가지 상담 가이드" 요단출 판사 2008

      6 이상화,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33가지 이유" 브니엘 2007

      7 Kinnaman, David, "청년들은 왜 교회를떠나는가" 국제제자훈련원 2011

      8 이길주, "졸업 후 교회를 떠나는 아이들 그리고‘5:1" 448 : 66-67, 2015

      9 Berkhof, Louis, "조직신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2

      10 Papalia, D. E, "인간발달 Ⅱ" 교육과학사 1998

      11 크리스찬 투데이, "성경에 대한 의심 없다면, 제대로 읽지 않은 것"

      12 서철원, "서철원박사 교의신학Ⅰ(신학서론)" 쿰란출판사 2018

      13 Keller, Timothy, "살아있는 신" 베가북스 2010

      14 박아론, "기독교의 변증" CLC 1992

      15 Groothuis, Douglas, "기독교변증학" CLC 2015

      16 김홍진, "기독교 대학 채플에서 변증적 설교의 가능성" 6 : 39-64, 2004

      17 이승진, "교회에 복음의 생명을 선포하는 교리 설교" 2 : 165-196, 2010

      18 정재영, "교회 안 나가는 그리스도인 가나안 성도들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IVP 2015

      19 김창훈, "교리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7 : 75-98, 2013

      20 안덕원, "교리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730 (730): 32-36, 2014

      21 Reymond, Robert L, "개혁주의 변증학" CLC 1989

      22 Helm, David, "강해설교" 부흥과 개혁사 2015

      23 "「 교회와 신앙」주일 낮 예배 출석률 90% 상회… 열성은 20%;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신앙의식조사 1차 발표 PPT ④"

      24 Grudem, Wayne, "Systematic Theology" Zondervan 2000

      25 Guinness, Os, "God in the Dark" Crossway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