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시각장애복지관이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지사와 직업학교 같은 장애인 직업재활기관 종사자들이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중재할 때 접근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05601
2003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25-14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시각장애복지관이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지사와 직업학교 같은 장애인 직업재활기관 종사자들이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중재할 때 접근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보...
연구는 시각장애복지관이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지사와 직업학교 같은 장애인 직업재활기관 종사자들이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중재할 때 접근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보를 제시하고자 외국 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에는 단순히 시각장애 외에도 개인 특성 관련 요인들, 재활전문가 관련요인들, 고용주 관련요인들, 직업적 배려 관련요인들, 국가와 유관기관 관련요인들 등이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시각장애인 개인의 직업 특성과 능력에 따라 입직가능한 직업의 범위도 실제로 다양하였다.
향후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중재는 시각장애인 개인별로 직업재활 영향 요인들을 정확히 분석․파악하여 개인 중심의 직업 선택과 직업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학생의 독서성향과 독서활성화에 미치는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