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드라마 O.S.T의 시장성 발달로 본 한국 웹툰 O.S.T의 시장성 예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48832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81.6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Predicting the marketability of Korean Webtoon O.S.T based on the marketability development of Korean drama O.S.T

      • 형태사항

        v, 81장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주화준
        참고문헌 : 장 80-81

      •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8623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지난 30여 년에 걸쳐 한국 드라마와 함께 빠르게 바뀌어 가는 시대에
      맞춰 변화해온 O.S.T의 시장성 발달을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차세대 K-콘텐츠로 평가 받는 웹툰과 웹툰 O.S.T의 시장성에 대해 예측해 볼 것이
      다. 본론에서는 국내·외로 화제성이 높았던 드라마와 드라마 O.S.T의 시청률 및 앨
      범 판매 실적을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드라마 O.S.T의 앨범 마케팅 방법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대와 2000년대 그리고 2010년대로 시기를 구분해서 조사
      하였는데, 이는 해당 시기에 국내 음반 시장의 틀이 바뀌는 변화가 있었고 해당 시
      기마다 국내 드라마 O.S.T 마케팅 방법이 변화해 왔기 때문이다.
      웹툰은 국내 1990년대 전성기를 맞았던 출판만화 시장이 불법복제·만화 대여점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빠르게 불황기를 맞이하며 만화 시장이 어려워진 시기에 인터
      넷의 대중화가 맞물려 성장한 콘텐츠이다. 본론에서는 차세대 K-콘텐츠로 주목받는
      웹툰이 문화예술계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 최대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웹툰과 카카오
      웹툰의 웹툰 IP를 이용한 계획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웹툰의 미래 시장성을 예측
      해보고 또한 웹툰 O.S.T 앨범의 마케팅 방법과 드라마 O.S.T와의 마케팅 방법을 비
      교·분석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드라마 O.S.T 앨범의 마케팅 방법은 지금의 스트리밍 시장에 맞춰 발
      전하기까지 20년이 넘게 걸렸다면 웹툰 O.S.T 앨범시장은 이제 시작하는 시기이기
      에 최적의 마케팅 방법을 찾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드
      라마 O.S.T의 마케팅이 발전해 온 전례가 있기에 효율적인 웹툰 O.S.T 마케팅의 틀
      이 만들어지기까지 드라마 O.S.T 만큼의 시간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
      고 네이버와 카카오가 경쟁하며 웹툰의 고유 IP를 기반으로 빠르게 다양한 장르로
      트랜스미디어가 진행되어가고 있기에 웹툰 O.S.T 또한 다양한 분야로 시장이 확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지난 30여 년에 걸쳐 한국 드라마와 함께 빠르게 바뀌어 가는 시대에 맞춰 변화해온 O.S.T의 시장성 발달을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차세대 K-콘텐츠로 평가 받...

      이 논문은 지난 30여 년에 걸쳐 한국 드라마와 함께 빠르게 바뀌어 가는 시대에
      맞춰 변화해온 O.S.T의 시장성 발달을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차세대 K-콘텐츠로 평가 받는 웹툰과 웹툰 O.S.T의 시장성에 대해 예측해 볼 것이
      다. 본론에서는 국내·외로 화제성이 높았던 드라마와 드라마 O.S.T의 시청률 및 앨
      범 판매 실적을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드라마 O.S.T의 앨범 마케팅 방법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대와 2000년대 그리고 2010년대로 시기를 구분해서 조사
      하였는데, 이는 해당 시기에 국내 음반 시장의 틀이 바뀌는 변화가 있었고 해당 시
      기마다 국내 드라마 O.S.T 마케팅 방법이 변화해 왔기 때문이다.
      웹툰은 국내 1990년대 전성기를 맞았던 출판만화 시장이 불법복제·만화 대여점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빠르게 불황기를 맞이하며 만화 시장이 어려워진 시기에 인터
      넷의 대중화가 맞물려 성장한 콘텐츠이다. 본론에서는 차세대 K-콘텐츠로 주목받는
      웹툰이 문화예술계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 최대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웹툰과 카카오
      웹툰의 웹툰 IP를 이용한 계획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웹툰의 미래 시장성을 예측
      해보고 또한 웹툰 O.S.T 앨범의 마케팅 방법과 드라마 O.S.T와의 마케팅 방법을 비
      교·분석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드라마 O.S.T 앨범의 마케팅 방법은 지금의 스트리밍 시장에 맞춰 발
      전하기까지 20년이 넘게 걸렸다면 웹툰 O.S.T 앨범시장은 이제 시작하는 시기이기
      에 최적의 마케팅 방법을 찾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드
      라마 O.S.T의 마케팅이 발전해 온 전례가 있기에 효율적인 웹툰 O.S.T 마케팅의 틀
      이 만들어지기까지 드라마 O.S.T 만큼의 시간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
      고 네이버와 카카오가 경쟁하며 웹툰의 고유 IP를 기반으로 빠르게 다양한 장르로
      트랜스미디어가 진행되어가고 있기에 웹툰 O.S.T 또한 다양한 분야로 시장이 확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드라마 O.S.T의 시대별 시장성 5
      • 1. 1990년대의 드라마 O.S.T 7
      •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드라마 O.S.T의 시대별 시장성 5
      • 1. 1990년대의 드라마 O.S.T 7
      • 2. 2000년대의 드라마 O.S.T 12
      • 3. 2010년대의 드라마 O.S.T 24
      • 드라마 O.S.T 마케팅의 진화와 분류 40
      • 1. 1990년대 (CD와 TAPE 음반시장) 40
      • 2. 2000년대 (디지털로 가는 과도기) 41
      • 3. 2010년 (스마트폰 그 이 후) 44
      • 웹툰의 발달과 문화예술계에 미치는 영향 47
      • 1. 웹툰의 드라마 및 영화화 49
      • 2. 웹툰의 시장성 예측 53
      • 3. 웹툰 O.S.T의 시작과 드라마 O.S.T와의 유사성과 차이점 58
      • 결론 62
      • 부 록 64
      • 참고문헌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