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하이데거의 그리스어의 어원학적 분석에 따라 가면서 그리스적 존재이해를 살펴본 것이고, 다른 하나는 ‘und’라는 단어에 입각해서 어떻게 이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8560
서동은 (경희대학교)
2010
Korean
형이상학 ; 있음 ; 그리스철학 ; 공속성 ; 존재이해 ; und의 논리 ; Metaphysik ; ist ; Griechische Philosophie ; Zusammengehoerigkeit ; Seinsverstaendnis ; Und
KCI등재
학술저널
185-212(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하이데거의 그리스어의 어원학적 분석에 따라 가면서 그리스적 존재이해를 살펴본 것이고, 다른 하나는 ‘und’라는 단어에 입각해서 어떻게 이러...
이 글은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하이데거의 그리스어의 어원학적 분석에 따라 가면서 그리스적 존재이해를 살펴본 것이고, 다른 하나는 ‘und’라는 단어에 입각해서 어떻게 이러한 그리스적 존재 이해가 서양 철학사에서 변형 되었는가 혹은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하이데거는 자신의 여러 저서에서 ‘und’라는 단어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형이상학입문』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 ‘und’의 강조의미를 살려 하이데거 나름의 사유구조를 읽고, ‘und’의 논리에 입각해서 형이상학 입문』에서 전개되고 있는 존재에 대한 논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이데거가 주제화 하려는 존재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하이데거는 ‘und’로 나누어진 두 개념들의 공속성을 말함으로써 서구 형이상학의 극복을 시도하고 동시에 고대 그리스적 존재 이해를 드러내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시도에서 우리는 없음 혹은 없음의 가능성을 자체 안에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본래적이고 미래적인 시간성에 입각한 하이데거의 독특한 있음(존재)이해와 마주하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idegger stellt zwar in den verschiedenen Aufsaetzen die Frage nach dem Sinn des Seins, aber geht er nicht so konkret auf das Thema ein. Auch in Sein und Zeit stellt er schon die Frage nach dem Sinn des Seins. Trotzdem geht es dabei nicht um das Sein...
Heidegger stellt zwar in den verschiedenen Aufsaetzen die Frage nach dem Sinn des Seins, aber geht er nicht so konkret auf das Thema ein. Auch in Sein und Zeit stellt er schon die Frage nach dem Sinn des Seins. Trotzdem geht es dabei nicht um das Sein als solches, sondern mehr um das Dasein, das schon immer das Sein vorher versteht. Erst in Einfuehrung in die Metaphysik macht er systematisch das urspruengliche Seinsverstandnis zum Thema, dessen Ursprung auf das griechische Seinverstaendnis zurueckgeht. Heidgger zufolge wird das urpruengliche Sein durch die lateinische Uebersetzung und durch das infinitiv im Laufe der abendlaendischen philsosophiegeschichte abstrahiert. Das Sein und das Werden, das Sein und Schein, das Sein und das Denken, das Sein und Sollen, die eigentlcih nicht getrennt behandelt werden sollen, werden demgemaess in dieser abendlaendischen Tradition getrennt betrachtet. Das Sein und das Werden, das Sein und Schein, das Sein und das Denken, das Sein und das Sollen gehoeren vom griechischen Ursprung her gesehen zusammen. Heidegger versucht, auf die urspruengliche Beziehung zwischen dem Sein und Werden usw. zuruechzugehen. Das Word 'und' spielt hier eine wichtige Rolle. Das 'und in 'Sein und Werden', 'Sein und Schein', 'Sein und Denken' und 'Sein und Sollen' koennen einerseits hier konjunktivisch verstanden, anderseits aber als 'ist (west)' oder 'als' umgesetzt werden. Dises Seinsverstaendness kann nur im Horizont(blickbahn) der urpruenglichen Zeitlichkeit recht verstanden werde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토를라이프 보만,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 분도출판사 1985
2 거드리, W.K.C, "희랍철학입문 ― 탈레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종로서적 1992
3 마틴 하이데거, "형이상학 입문" 문예출판사 1995
4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5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존재진리의 발생사건과 인간의 응답" 서광사 2003
6 윤병렬, "레비나스의 하이데거 윤리학 비판과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 드러난 윤리학" 한국현상학회 (22) : 55-82, 2004
7 이기상, "다석과 함께 여는 우리말 철학" 지식산업사 2003
8 신선경, "‘있다’ 구문의 의미와 유형" 국어학회 2002
9 Heidegger, M, "Wegmarken" 1996
10 Heidegger, M, "Vortraege und Aufsaetze" Stuttgart 2000
1 토를라이프 보만,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 분도출판사 1985
2 거드리, W.K.C, "희랍철학입문 ― 탈레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종로서적 1992
3 마틴 하이데거, "형이상학 입문" 문예출판사 1995
4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5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존재진리의 발생사건과 인간의 응답" 서광사 2003
6 윤병렬, "레비나스의 하이데거 윤리학 비판과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 드러난 윤리학" 한국현상학회 (22) : 55-82, 2004
7 이기상, "다석과 함께 여는 우리말 철학" 지식산업사 2003
8 신선경, "‘있다’ 구문의 의미와 유형" 국어학회 2002
9 Heidegger, M, "Wegmarken" 1996
10 Heidegger, M, "Vortraege und Aufsaetze" Stuttgart 2000
11 Gethmann, Carl Friedrich, "Verstehen und Auslegung ― Das Methodenproblem in der Philosophie Martin Heideggers" 1974
12 Heidegger, M, "Sein und Zeit" Tuebingen 1993
13 Graeser, Andreas, "Philosophie in Sein und Zeit ― Kritische Erwaegungen zu Heidegger" Sankt Augustin 1994
14 Nestle-Aland, "Novum Testamentum Graece"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88
15 Figal, Guenter, "Matin Heidegger zur Einfuehrung" 1999
16 최성도, "M. Heidegger의 존재론 사상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하이데거학회 (14) : 131-169, 2006
17 Stegmueller, "Hauptstroemungen der Gegenwartsphilosophie" 1989
18 Heidegger, M, "Einfuehrung in die Metaphysik" Tuebingen 1953
19 Gethmann-Siefert, "Annemarie und Poeggeler, Otto (Hg.), Heidegger und die praktische Philosophie" 1989
20 Copleston, Frederick S.J, "A History of Philosophy: Volume I Greece and Rome Part I" 1962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