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근대 이후의 과학이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과 물리와 심리의 사이에서 심리의 세계, 그 중에서도 문학에 투신하기로 결정한 사람들이 바라본 과학의 세계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34880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7-324(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근대 이후의 과학이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과 물리와 심리의 사이에서 심리의 세계, 그 중에서도 문학에 투신하기로 결정한 사람들이 바라본 과학의 세계가 ...
이 논문에서는 근대 이후의 과학이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과 물리와 심리의 사이에서 심리의 세계, 그 중에서도 문학에 투신하기로 결정한 사람들이 바라본 과학의 세계가 어떠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재서, 김남천, 김기림 등의 논의를 살펴 볼 때, 과학이 문학 내부로 진입하는 유력한 방식으로 문학자들이 상정하였던 객관주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하나의 태도로서, 문학이 현실을 포착하는 방법론으로서 과학이 선취하여 갖고 있다고 상정되는 어떤 방법으로 객관성을 빌려오는 것이다. 이렇게 문학의 내부로 진입한 과학적인 것의 존재를 통해 문학자들은 자신들의 작업이 과학의 위상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문학과 과학이 관련을 맺는 가장 의미 있는 방식이 과학이 선취한 객관적 방법론을 문학에 도입하는 것이라는 가정은 문학의 묘사와 리얼리즘에 대한 이해에서만이 아니라 문학 속에 나타난 ‘과학’의 표상을 구축하는데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과학이라는 외부의 존재에 대한 낭만주의적 저항이 그런 것과 마찬가지로 문학에 들어온 과학의 객관성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도 여전히 저항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about which influence the science had influence upon literature following the modern times and about which image it has in the world of psychology between physics and psychology and in the world of science, which was seen by people...
This study examined about which influence the science had influence upon literature following the modern times and about which image it has in the world of psychology between physics and psychology and in the world of science, which was seen by people who decided to take part in literature even out of it.
Examining discussions by Choe Jae-seo, Kim Nam-cheon, and Kim Gi-rim, it seems to be likely able to understand about objectivism that literary men had presented as a strong method that the science enters the inside of literature. It is what borrows objectivity as any method of being presented as saying that the science takes first and has as the methodology that the literature captures reality as one attitude. Through the existence of what is scientific that entered the inside of literature in this way, the literary men believed that their works would be able to acquire the status of science.
The hypothesis as saying that the most significant method that literature has relationship with science is the introduction of objective methodology taken first by science to literature had great influence even upon implementing the representation of ‘science,’ which was shown in literature, as well as upon the depiction of literature and the understanding about realism.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still exists even in the attitude dubbed objectivism of science, which came in literature, same as being so in romantic resistance to the external existence called sci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병식, "한국시와 과학적 상상력의 전개" 서정시학 16 (겨울), 2006
2 조형래, "학회지의 사이언스 -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개화기 근대 학문체계의 정초에 관하여-" 한국문학연구 (42) : 45 ~ 93, 2012
3 이시와라 준, "학생과 교양" 소화, 2008
4 "조광"
5 황종연, "신 없는 자연-초기 이광수 문학에서의 과학-" 상허학보 36 : 143 ~ 182, 2012
6 "소년"
7 에르빈 슈뢰딩거, "생명이란 무엇인가, 정신과 물질" 궁리, 2007
8 차승기, "사실, 방법, 질서 - 근대문학에서 과학적 인식의 전회" 한국문학연구 (42) : 7 ~ 43, 2012
9 "별건곤"
10 나쓰메 소세키, "문학예술론" 소명, 2004
1 허병식, "한국시와 과학적 상상력의 전개" 서정시학 16 (겨울), 2006
2 조형래, "학회지의 사이언스 -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개화기 근대 학문체계의 정초에 관하여-" 한국문학연구 (42) : 45 ~ 93, 2012
3 이시와라 준, "학생과 교양" 소화, 2008
4 "조광"
5 황종연, "신 없는 자연-초기 이광수 문학에서의 과학-" 상허학보 36 : 143 ~ 182, 2012
6 "소년"
7 에르빈 슈뢰딩거, "생명이란 무엇인가, 정신과 물질" 궁리, 2007
8 차승기, "사실, 방법, 질서 - 근대문학에서 과학적 인식의 전회" 한국문학연구 (42) : 7 ~ 43, 2012
9 "별건곤"
10 나쓰메 소세키, "문학예술론" 소명, 2004
11 장성만,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12 "동아일보" 2011
13 "대한흥학보"
14 "대한학회월보"
15 "대한자강회월보"
16 김성근, "니시 아마네(西周)에 있어서 ‘理’ 관념의 전회와 그 인간학적 취약성" 대동문화연구 (73) : 203 ~ 229, 2011
17 魯迅, "노신문집 Ⅲ" 일월서각, 1987
18 윤대석, "김기림 시론에서의 ‘과학’" 한국근대문학연구 (13) : 225 ~ 250, 2006
19 김영식, "과학혁명" 아르케, 2001
20 배리 가우어, "과학의 방법" 이학사, 2013
21 화이트헤드, "과학과 근대세계" 삼성출판사, 1990
22 "개벽"
23 角谷昌則, "近代科學と敎育政策-敎育令を中心して" 國立敎育政策硏究所紀要 134,
24 辻哲夫, "日本の科學思想-その自立への摸索" 中央公論社, 1973
25 Robert Langbaum, "The Poetry of Experience" W.W.Norton & Company. inc, 1971
26 George Steiner, "Language and Silence" Penguin Books, 1967
27 손유경, "1920년대 문학과 同情(sympathy) -김동인의 단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16) : 163 ~ 184, 2004
28 노연숙, "1900년대 과학 담론과 과학 소설의 양상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37) : 33 ~ 67, 2012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구조의 건축과 식민지 도시의 이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