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취기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설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74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덕과 성취기준은 도덕적인 인간 및 정의로운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도덕 기능과 도덕 교과를 통해 배워야 할 핵심적인 내용 요소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도덕 수업의 실질적인 기...

      도덕과 성취기준은 도덕적인 인간 및 정의로운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도덕 기능과 도덕 교과를 통해 배워야 할 핵심적인 내용 요소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도덕 수업의 실질적인 기준이다. 따라서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활동이 성취기준 분석을 토대로 설계될 때,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요소와 기능을 도덕 수업을 통하여 빠짐없이 다룰 수 있다. 나아가 도덕 교과에서 목표로 하는 핵심 가치의 내면화와 교과 역량의 함양은 물론 궁극적으로 도덕적인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을 길러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취기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을 고려하면서 도덕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절차와 단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 설계 모형을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활동이 어떻게 통합적으로 설계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hievement standard of moral education is the practical standard of moral class which combines moral skills to function as moral human and righteous citizen, and essential contents that should be learned through moral education. Thus, when learning &...

      Achievement standard of moral education is the practical standard of moral class which combines moral skills to function as moral human and righteous citizen, and essential contents that should be learned through moral education. Thus, when learning &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moral education is designed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the essential contents and moral skills suggested by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all dealt with the moral class. Furthermore, it could contribute to not only the cultivation of competency which the moral curriculum aims to accomplish, but also to cultivate moral human and righteous citizen ultimately. Thus, this study suggested a procedure and steps to design moral class by consideri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to learning &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moral education based on systematic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 Also, by using this model, it explained how the learning &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moral education is integrated desig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활동 설계를 위한 모형
      • Ⅲ.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활동 설계의 단계
      • Ⅳ.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활동 설계를 위한 모형
      • Ⅲ.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활동 설계의 단계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내용의 적정화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1) : 221-252, 2016

      2 Dick, W., "체제적 교수설계" 아카데미프레스 3-13, 2009

      3 이인태, "도덕과 수행평가로서 액션러닝의 활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157-181, 2016

      4 임상수, "도덕과 수업에서의 효율적인 예화제시방법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10) : 67-94, 2006

      5 임상수, "도덕과 수업모형별 특성을 반영한 발문 기법"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213-236, 2012

      6 교육부, "도덕 5,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46-47, 2018

      7 나일주, "교육공학 관련 이론" 교육과학사 121-123, 2010

      8 이인태, "TPACK 기반의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 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2015

      9 Tripp, S. D., "Rapid prototyping :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38 (38): 41-43, 1990

      10 교육부, "2017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예시(초등학교)" 108-, 2017

      1 이인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내용의 적정화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1) : 221-252, 2016

      2 Dick, W., "체제적 교수설계" 아카데미프레스 3-13, 2009

      3 이인태, "도덕과 수행평가로서 액션러닝의 활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157-181, 2016

      4 임상수, "도덕과 수업에서의 효율적인 예화제시방법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10) : 67-94, 2006

      5 임상수, "도덕과 수업모형별 특성을 반영한 발문 기법"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213-236, 2012

      6 교육부, "도덕 5,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46-47, 2018

      7 나일주, "교육공학 관련 이론" 교육과학사 121-123, 2010

      8 이인태, "TPACK 기반의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 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2015

      9 Tripp, S. D., "Rapid prototyping :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38 (38): 41-43, 1990

      10 교육부, "2017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예시(초등학교)" 108-, 2017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 중학교 도덕과 평가기준개발 연구" 14-15, 2016

      1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도덕-" 3-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