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G 지역 소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52234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7-162(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G 지역 소재 ...
목적: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G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88건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아탄력성의 긍정적사고, 문제해결, 정서조절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스트레스 대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자아탄력성의 긍정적사고, 문제해결, 정서조절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가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스트레스 대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 역량은 예측불허의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 역량이다. 이에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스트레스 대처 및 자아탄력성에 주목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저변 확대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on ego-resiliency and stress coping. Methods: A survey was c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on ego-resiliency and stress copi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in middle schools in G city, and a total of 488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for data analysis used the SPSS window 26.0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physical self-concep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ll sub-factors of ego-resiliency, and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b-factors of stress coping. In additio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ll sub-factors of ego-resiliency, and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b-factors of stress coping.
Conclusio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focusing on stress coping and ego-resiliency should be planned and operated based on physic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efficacy.
중국 국가대표 출신 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중학생의 운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롤모델 및 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
중학생의 체육수업에서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2024년 파리 올림픽 세계 우수선수와 국가대표선수의 안마 종목 난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