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4년 파리 올림픽 세계 우수선수와 국가대표선수의 안마 종목 난도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iculty Level in Male artistic gymnastics Pommel horse between the top male athletes of 2024 Paris Olympic and Korea national team athle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52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2024 파리올림픽 체조 종목의 안마 결승선수와 국내우수선수 안마 연기내용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 입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현장에 있는 선수 및 지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24파리올림픽 체조의 안마 종목 상위 8명, 국가대표 선발전 안마종목 상위 8명, 총 16명의 선수를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영상분석을 위해서 대한체조협회 및 FIG 공식 영상을비교, 대조를 위한 채점표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Ver)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test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첫째, 올림픽 그룹은 C난도 이상의 고난도 기술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E난도와 D난도의 기술 사용 빈도가 높았다. 반면, 국내 선발전 그룹은 A난도와 B난도 기술을 주로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난이도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시작점수 비교에서 올림픽 그룹이 국내 선발전 그룹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고난도 기술 구사 능력에 따른 결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기 내용 비교에서는 올림픽 그룹이 D, E, F난도와 같은 고난도 기술을 다수 수행한 반면, 국내 선발전 그룹은 B, C난도의 기술에 집중하였다.
      결론: 국내 선수들이 국제 대회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난도 기술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C난도 이상의 기술을 안정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시작점수 향상을 위해 고난도 기술 구성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2024 파리올림픽 체조 종목의 안마 결승선수와 국내우수선수 안마 연기내용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 입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현장에 있는 선수 및 지도자들에게 정보를 ...

      목적: 본 연구는 2024 파리올림픽 체조 종목의 안마 결승선수와 국내우수선수 안마 연기내용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 입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현장에 있는 선수 및 지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24파리올림픽 체조의 안마 종목 상위 8명, 국가대표 선발전 안마종목 상위 8명, 총 16명의 선수를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영상분석을 위해서 대한체조협회 및 FIG 공식 영상을비교, 대조를 위한 채점표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Ver)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test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첫째, 올림픽 그룹은 C난도 이상의 고난도 기술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E난도와 D난도의 기술 사용 빈도가 높았다. 반면, 국내 선발전 그룹은 A난도와 B난도 기술을 주로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난이도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시작점수 비교에서 올림픽 그룹이 국내 선발전 그룹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고난도 기술 구사 능력에 따른 결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기 내용 비교에서는 올림픽 그룹이 D, E, F난도와 같은 고난도 기술을 다수 수행한 반면, 국내 선발전 그룹은 B, C난도의 기술에 집중하였다.
      결론: 국내 선수들이 국제 대회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난도 기술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C난도 이상의 기술을 안정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시작점수 향상을 위해 고난도 기술 구성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to athletes and coaches in the field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finalists in the men’s artistic gymnastics event at the 2024 Paris Olympics and domestic top athletes specifically in pommel horse, serving as basic data for succeeding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Methods: The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argeting a total of 16 athletes: the top 8 from the 2024 Paris Olympics and the top 8 from the national selection trials in the pommel horse gymnastics event. For video analysis of the two groups, scoring sheets for comparison and contrast were used, based on official videos from the Korean Gymnastics Association and FIG.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using SPSS 26.0,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s,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α = .05.
      Results:First, the Olympic group predominantly used high-difficulty skills of level C and above, with a high frequency of techniques at levels E and D. In contrast, the domestic selection group mainly relied on skills at levels A and B, showing a tendency to depend on relatively lower difficulty. Second, in terms of starting scores, the Olympic group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domestic selection group, which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ir ability to perform high-difficulty skills. Third, in terms of performance content, the Olympic group performed numerous high-difficulty skills such as those at levels D, E, and F, while the domestic selection group focused on techniques at levels B and C.
      Conclusio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thlete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training to improve the ability to perform high-difficulty skills is necessary. Specifically, a strategic approach that allows for the stable execution of skills at level C and above is required. Additionally,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incorporating high-difficulty skills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starting scor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to athletes and coaches in the field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finalists in the men’s artistic gymnastics event at the 2024 Paris Olympics and domestic top athletes specifically in pommel horse,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to athletes and coaches in the field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finalists in the men’s artistic gymnastics event at the 2024 Paris Olympics and domestic top athletes specifically in pommel horse, serving as basic data for succeeding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Methods: The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argeting a total of 16 athletes: the top 8 from the 2024 Paris Olympics and the top 8 from the national selection trials in the pommel horse gymnastics event. For video analysis of the two groups, scoring sheets for comparison and contrast were used, based on official videos from the Korean Gymnastics Association and FIG.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using SPSS 26.0,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s,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α = .05.
      Results:First, the Olympic group predominantly used high-difficulty skills of level C and above, with a high frequency of techniques at levels E and D. In contrast, the domestic selection group mainly relied on skills at levels A and B, showing a tendency to depend on relatively lower difficulty. Second, in terms of starting scores, the Olympic group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domestic selection group, which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ir ability to perform high-difficulty skills. Third, in terms of performance content, the Olympic group performed numerous high-difficulty skills such as those at levels D, E, and F, while the domestic selection group focused on techniques at levels B and C.
      Conclusio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thlete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training to improve the ability to perform high-difficulty skills is necessary. Specifically, a strategic approach that allows for the stable execution of skills at level C and above is required. Additionally,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incorporating high-difficulty skills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starting scor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