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Manuscripts of Old Novels in Translation that Han Changgi Collec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71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고소설 중에서,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을 살펴보려 한다. 그의 컬렉션에는 『개벽연역』, 『분장루기』, 『삼국지』3종, 『서유기』2종까지 총 7종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이 있다. 언급했던 이 작품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몇 가지 미진한 부분들이 있다.
      『개벽연역』은 선본(善本)으로 평가받는 낙선재본이 검토되었으나 원전(原典)을 모두 번역한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있었고, 『분장루기』의 경우에는 한 종의 번역본만이 알려져 있어 자료의 발굴과 작품의 수용 양상이 좀 더 확인되어야 했다. 그리고 『삼국지』와 『서유기』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번역본의 계통을 밝히는 식의 총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7종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개벽연역』를 통해서 낙선재본은 원래 〈6권6책〉이었고 원전의 전권(全卷)을 번역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분장루기』는 이 소설의 번역본이 유일본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수 독자를 확보하였다는 점, 원전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남녀의 결연 과정에 주목하여 원전을 충실히 번역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삼국지』의 경우에는 39책본, 8책본, 20책본을 통해서 번역본의 계통, 번역본의 양상을 재조명할 수 있다. 그리고 『서유기』는 권1만 존재하는 낙질본과 20책본이 존재하는데, 전자는 자료 자체가 낙선재본이나 규장각본이었을 가능성, 후자는 1930년대 중국소설 번역본의 유통 문제, 수요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고소설 중에서,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을 살펴보려 한다. 그의 컬렉션에는 『개벽연역』, 『분장루기』, 『삼국지』3종, 『서유기』2종까지 총 7종의 한글 ...

      이 글은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고소설 중에서,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을 살펴보려 한다. 그의 컬렉션에는 『개벽연역』, 『분장루기』, 『삼국지』3종, 『서유기』2종까지 총 7종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이 있다. 언급했던 이 작품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몇 가지 미진한 부분들이 있다.
      『개벽연역』은 선본(善本)으로 평가받는 낙선재본이 검토되었으나 원전(原典)을 모두 번역한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있었고, 『분장루기』의 경우에는 한 종의 번역본만이 알려져 있어 자료의 발굴과 작품의 수용 양상이 좀 더 확인되어야 했다. 그리고 『삼국지』와 『서유기』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번역본의 계통을 밝히는 식의 총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7종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개벽연역』를 통해서 낙선재본은 원래 〈6권6책〉이었고 원전의 전권(全卷)을 번역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분장루기』는 이 소설의 번역본이 유일본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수 독자를 확보하였다는 점, 원전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남녀의 결연 과정에 주목하여 원전을 충실히 번역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삼국지』의 경우에는 39책본, 8책본, 20책본을 통해서 번역본의 계통, 번역본의 양상을 재조명할 수 있다. 그리고 『서유기』는 권1만 존재하는 낙질본과 20책본이 존재하는데, 전자는 자료 자체가 낙선재본이나 규장각본이었을 가능성, 후자는 1930년대 중국소설 번역본의 유통 문제, 수요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Korean manuscripts of Old novels in translation among old novels that Mr. Han Changgi collected. His collection includes 7 kinds of Korean manuscripts: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Boonjangroogi(粉墻樓記), 3 types of Samgukji(三國誌), and 2 types of Seoyugi(西遊記). Although these artworks were examined by several researchers, there are some parts that need to be improved.
      Although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was considered to be Naksunjaebon, which is evaluated as the best example,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did not fully translate the original text. In the case of Boonjangroogi (粉墻樓記), only one type of translation copy was unveiled, so it is required to further develop the material and to confirm the acceptance phase of the artwork. In addition, there were a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Samgukji(三國誌) and Seoyugi(西遊記), but a collective discussion to seek the system of translation is needed. Seven kinds of Korean manuscripts of old novels in translation that Mr. Changgi Han collected provide diverse implications about these issues.
      First, it is confirmed by looking at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that Naksunjaebon was originally “6 volumes, 6 books” and translated all the original texts. Boonjangroogi(粉墻樓記) shows that the translation copy of this novel existed more than one and had the significant number of reader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it was faithfully translated with the special focus on the joint proces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case of Samgukji, (三國誌) the system and trends of translation copies could be explored again with 39 volumes, 8 volumes, and 20 volumes.
      In addition, only the incomplete copy with one volume and 20 volumes exist for Seoyugi(西遊記). The former allows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material itself was Naksunjaebon or Gyujanggakbon. The latter enables to study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and supply of Chinese old novel translation copies in the 1930’s.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Korean manuscripts of Old novels in translation among old novels that Mr. Han Changgi collected. His collection includes 7 kinds of Korean manuscripts: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Boonjangroogi(粉墻樓記), 3 typ...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Korean manuscripts of Old novels in translation among old novels that Mr. Han Changgi collected. His collection includes 7 kinds of Korean manuscripts: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Boonjangroogi(粉墻樓記), 3 types of Samgukji(三國誌), and 2 types of Seoyugi(西遊記). Although these artworks were examined by several researchers, there are some parts that need to be improved.
      Although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was considered to be Naksunjaebon, which is evaluated as the best example,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did not fully translate the original text. In the case of Boonjangroogi (粉墻樓記), only one type of translation copy was unveiled, so it is required to further develop the material and to confirm the acceptance phase of the artwork. In addition, there were a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Samgukji(三國誌) and Seoyugi(西遊記), but a collective discussion to seek the system of translation is needed. Seven kinds of Korean manuscripts of old novels in translation that Mr. Changgi Han collected provide diverse implications about these issues.
      First, it is confirmed by looking at Gaebyeokyeonyeok(開闢演譯) that Naksunjaebon was originally “6 volumes, 6 books” and translated all the original texts. Boonjangroogi(粉墻樓記) shows that the translation copy of this novel existed more than one and had the significant number of reader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it was faithfully translated with the special focus on the joint proces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case of Samgukji, (三國誌) the system and trends of translation copies could be explored again with 39 volumes, 8 volumes, and 20 volumes.
      In addition, only the incomplete copy with one volume and 20 volumes exist for Seoyugi(西遊記). The former allows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material itself was Naksunjaebon or Gyujanggakbon. The latter enables to study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and supply of Chinese old novel translation copies in the 1930’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창기의 고소설 수집 과정
      • Ⅲ. 한창기가 수집했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의 성격과 가치
      • Ⅳ. 마무리와 과제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창기의 고소설 수집 과정
      • Ⅲ. 한창기가 수집했던 한글 필사본 번역고소설의 성격과 가치
      • Ⅳ. 마무리와 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겸로, "통문관 책방비화" 민학회 1987

      2 정원기, "최근 삼국지연의의 연구 동향" 중문 2000

      3 김영, "조선후기 명청소설 번역필사본 연구" 學古房 2013

      4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조선시대번역소설희곡자료총서 174" 1995

      5 김명신, "조선시대 중국고전소설의 출판본과 번역본 연구" 학고방 2013

      6 정명기,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소장 고소설의 현황과 가치" 열상고전연구회 (35) : 9-31, 2012

      7 이윤석, "세책 고소설 연구" 혜안 2003

      8 한창기, "뿌리깊은나무의 생각" 휴머니스트 2007

      9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뿌리깊은나무: 한글고소설 우리말이야기"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2013

      10 유춘동,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 소장 『삼국지연의』의 연구" 동양학연구원 49 (49): 151-170, 2011

      1 이겸로, "통문관 책방비화" 민학회 1987

      2 정원기, "최근 삼국지연의의 연구 동향" 중문 2000

      3 김영, "조선후기 명청소설 번역필사본 연구" 學古房 2013

      4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조선시대번역소설희곡자료총서 174" 1995

      5 김명신, "조선시대 중국고전소설의 출판본과 번역본 연구" 학고방 2013

      6 정명기,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소장 고소설의 현황과 가치" 열상고전연구회 (35) : 9-31, 2012

      7 이윤석, "세책 고소설 연구" 혜안 2003

      8 한창기, "뿌리깊은나무의 생각" 휴머니스트 2007

      9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뿌리깊은나무: 한글고소설 우리말이야기"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2013

      10 유춘동,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 소장 『삼국지연의』의 연구" 동양학연구원 49 (49): 151-170, 2011

      11 박재연, "벽연역/분장누" 이회 2002

      12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 박이정 2006

      13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개벽연역, 분장루기, 삼국지, 서유기"

      14 劉世德, "古本小說叢刊 23" 中華書局 1991

      15 江蘇省社科院文學研究所, "中國通俗小說總目提要" 中國文聯出版公司 1990

      16 魏安, "三國演義版本考" 上海古籍出版社 1996

      17 中川諭, "三國演義版本の硏究" 汲古書院 1998

      18 박재연, "三國志通俗演義" 學古房 2010

      19 이은봉, "<삼국지연의>의 수용 양상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