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과학의 운영실태 및 교과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인식-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가정과학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Mor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I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1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70 teachers with the questionnaire by mail. The results were following;1. Home Economics have been learned at schools of class rooms more than 31, women's high schools and public schools. Teachers more than 70% have operated and lessoned with 4 or 5 among 5 sectors of subject matters, especially emphasized familyhuman development and foodnutrition sectors. The most difficulties were the shortages of student's interest and reference books.2. Teachers have cognized highly the conn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Home Economics, but evaluated lowly the job-course education among the HE's goals.3. Necessities of HE were evaluated highly, but student's interests by teacher's judgement lowly. Manual theses of clothingtextile and housing sectors have needs to alter partly. 4. Subject matters to add for the near future revision were related to dissatisfaction of H.E's matters. Teachers cognized problems about the excess, overlap, old-fashioned and irrelevant deepen levels of subject matters.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70 teachers with the questionnaire by mail. The results were following;1. Home Eco...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70 teachers with the questionnaire by mail. The results were following;1. Home Economics have been learned at schools of class rooms more than 31, women's high schools and public schools. Teachers more than 70% have operated and lessoned with 4 or 5 among 5 sectors of subject matters, especially emphasized familyhuman development and foodnutrition sectors. The most difficulties were the shortages of student's interest and reference books.2. Teachers have cognized highly the conn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Home Economics, but evaluated lowly the job-course education among the HE's goals.3. Necessities of HE were evaluated highly, but student's interests by teacher's judgement lowly. Manual theses of clothingtextile and housing sectors have needs to alter partly. 4. Subject matters to add for the near future revision were related to dissatisfaction of H.E's matters. Teachers cognized problems about the excess, overlap, old-fashioned and irrelevant deepen levels of subject mat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가정과학 담당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학의 운영실태와 교과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향후의 수시개정에 대비하고 보다 바람직한 가정과학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20일~11월 26일까지에 걸쳐 조사대상학교로 설문지를 우송하는 우편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면, 가정과학은 여고일수록 총학급 규모가 클수록 가정과학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근무교사 수도 많았다. 수업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70%의 교사들이 4~5개 대영역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가정과학의 수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학생들의 흥미부족과 참고서 부족으로 나타났다.가정과학 교과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기술가정과는 연계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으며, 교과목표면에서 진로와 직업탐색에서 취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학의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되었으나, 교사들이 본 학생들의 흥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에 관해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기능을 많이 다루는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에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낮게 나타났다. 미래 요구도 면에서는 교과내용의 전반에 걸쳐서 다소의 수정/개선과 강화가 요구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소비자역할과 보호’ 및 ‘가족의 영양과 건강’ 에 대해서는 강화, ‘편물과 자수’,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은 내용적 축소가 요구되고 있었다. 향후 추가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최근의 가정 및 사회의 변화 현상을 반영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지닌 문제점으로 교과내용의 과다, 중복, 진부성, 심화수준의 불충분함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가정과학 담당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학의 운영실태와 교과에 대한 인식을 ...

      본 연구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가정과학 담당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학의 운영실태와 교과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향후의 수시개정에 대비하고 보다 바람직한 가정과학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20일~11월 26일까지에 걸쳐 조사대상학교로 설문지를 우송하는 우편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면, 가정과학은 여고일수록 총학급 규모가 클수록 가정과학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근무교사 수도 많았다. 수업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70%의 교사들이 4~5개 대영역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가정과학의 수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학생들의 흥미부족과 참고서 부족으로 나타났다.가정과학 교과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기술가정과는 연계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으며, 교과목표면에서 진로와 직업탐색에서 취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학의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되었으나, 교사들이 본 학생들의 흥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에 관해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기능을 많이 다루는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에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낮게 나타났다. 미래 요구도 면에서는 교과내용의 전반에 걸쳐서 다소의 수정/개선과 강화가 요구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소비자역할과 보호’ 및 ‘가족의 영양과 건강’ 에 대해서는 강화, ‘편물과 자수’,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은 내용적 축소가 요구되고 있었다. 향후 추가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최근의 가정 및 사회의 변화 현상을 반영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지닌 문제점으로 교과내용의 과다, 중복, 진부성, 심화수준의 불충분함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학교 기술가정통합교과의 교육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993

      2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통합에 따른 남녀학생들의 학습결과 비교에 대한 연구" 1992

      3 "중학교 기술가정 통합교과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태도분석" 1993

      4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운영 형태와 관련 만족도" 2002

      5 "중고등학생의 제 7차 기술가정 교과내용에 대한 인식" 15 (15): 101-120, 2003

      6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교과 설정의 배경" 13 (13): 107-116, 2001

      7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교과 설정의 배경" 13 (13): 107-116, 2001

      8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과학’ 과목 선택 결정 요인" 12 (12): 157-170, 2000

      9 "제 7차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43 (43): 1-15, 2005

      10 "남녀 중학생의 기술가정 통합교과 내용에 관한 인식도 차이에 관한 연구" 1991

      1 "중학교 기술가정통합교과의 교육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993

      2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통합에 따른 남녀학생들의 학습결과 비교에 대한 연구" 1992

      3 "중학교 기술가정 통합교과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태도분석" 1993

      4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운영 형태와 관련 만족도" 2002

      5 "중고등학생의 제 7차 기술가정 교과내용에 대한 인식" 15 (15): 101-120, 2003

      6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교과 설정의 배경" 13 (13): 107-116, 2001

      7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교과 설정의 배경" 13 (13): 107-116, 2001

      8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과학’ 과목 선택 결정 요인" 12 (12): 157-170, 2000

      9 "제 7차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43 (43): 1-15, 2005

      10 "남녀 중학생의 기술가정 통합교과 내용에 관한 인식도 차이에 관한 연구" 1991

      11 "기술가정교과 운영실태와 평가- 경남지역 소재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15 (15): 29-44, 2003

      12 "기술가정 통합교과 내용구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서울시내 중학교 학생 과 교사를 중심으로" 1990

      13 "기술가정 교과운영에 대한 교사,학교장 교육전문직의 인식과 요구" 40 (40): 127-140, 2002

      14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가 정과교육학회지" 14 (14): 1-14, 2002

      15 "경남지역 중고등학교 학생에 의한 기술가정교과의 수업운영 및 교과내 용에 대한 인식" 15 (15): 87-103, 2003

      16 "가정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