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등속성 근기능이 G-tolerance(+6G/30s)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등속성 근기능 검사를 통하여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최대근력 및 체중 당 최대근력이 중력가속도 훈련(6G/30초)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비행 입문과정 입과 대상자 중 의학적 병력이 없는 남생도 16명을 대상 으로 G-내성(6G/30초) 검사를 실패한 남생도 8명, 성공한 남생도 8명으로 선정하였다.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은 근력 측정을 위하 여 각속도 60°/sec에서 신근과 굴근을 5회 측정하였고, 근지구력 측정을 위하여 각속도 240°/sec에서 25회 측정하여 다음과 같 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슬관절 신근력 60°/sec 각속도에서 체중 당 최대회전력과 체중 당 총 일양은 왼쪽과 오른쪽 모두 실패그 룹보다 성공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슬관절 신근력 240°/sec 각속도에서 체중 당 총 일양은 왼쪽과 오른쪽 모두 실 패그룹보다 성공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요부관절에서 신근력과 굴근력은 실패그룹과 성공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 었으나 성공그룹이 실패그룹보다 높은 경향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G-내성 검사의 성공을 위해서는 하지와 몸통 근력의 향상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등속성 근기능 검사를 통하여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최대근력 및 체중 당 최대근력이 중력가속도 훈련(6G/30초)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비행 ...

      본 연구는 등속성 근기능 검사를 통하여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최대근력 및 체중 당 최대근력이 중력가속도 훈련(6G/30초)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비행 입문과정 입과 대상자 중 의학적 병력이 없는 남생도 16명을 대상 으로 G-내성(6G/30초) 검사를 실패한 남생도 8명, 성공한 남생도 8명으로 선정하였다.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은 근력 측정을 위하 여 각속도 60°/sec에서 신근과 굴근을 5회 측정하였고, 근지구력 측정을 위하여 각속도 240°/sec에서 25회 측정하여 다음과 같 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슬관절 신근력 60°/sec 각속도에서 체중 당 최대회전력과 체중 당 총 일양은 왼쪽과 오른쪽 모두 실패그 룹보다 성공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슬관절 신근력 240°/sec 각속도에서 체중 당 총 일양은 왼쪽과 오른쪽 모두 실 패그룹보다 성공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요부관절에서 신근력과 굴근력은 실패그룹과 성공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 었으나 성공그룹이 실패그룹보다 높은 경향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G-내성 검사의 성공을 위해서는 하지와 몸통 근력의 향상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knee and lumbar joint can influence an acceleration of gravity training (6G/30sec) utilizing muscle function tes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ixteen male cadets without any medical history from subjects to attend flight introductory course, and eight cadets of the subjects failed in G-tolerance test (6G/30sec) while the other subjects succeeded in the test. In order to measure the muscle strength of subjects in this study, knee joint isokinetic muscle function was analyzed with five times measurement of extensor muscle and flexor muscle at 60°/sec angular spe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muscular endurance, twenty five times measurement at 240°/sec angular speed were conducted. The result was as follows: In measuring at 60°/sec angular speed, the total work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both left and right knee joint extensor muscle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group who had succeeded in G-tolerance test than in the group who had failed in G-tolerance test. In measuring at 240°/sec angular speed, the total work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both left and right knee joint muscle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succeeded group than the fail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of lumbar join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cceeded group and the failed group, However the succeeded group had higher tendency than the failed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lower and body muscle strength was essential to successful G-tolerance test.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knee and lumbar joint can influence an acceleration of gravity training (6G/30sec) utilizing muscle function test. Subjec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knee and lumbar joint can influence an acceleration of gravity training (6G/30sec) utilizing muscle function tes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ixteen male cadets without any medical history from subjects to attend flight introductory course, and eight cadets of the subjects failed in G-tolerance test (6G/30sec) while the other subjects succeeded in the test. In order to measure the muscle strength of subjects in this study, knee joint isokinetic muscle function was analyzed with five times measurement of extensor muscle and flexor muscle at 60°/sec angular spe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muscular endurance, twenty five times measurement at 240°/sec angular speed were conducted. The result was as follows: In measuring at 60°/sec angular speed, the total work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both left and right knee joint extensor muscle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group who had succeeded in G-tolerance test than in the group who had failed in G-tolerance test. In measuring at 240°/sec angular speed, the total work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per weight of both left and right knee joint muscle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succeeded group than the fail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of lumbar join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cceeded group and the failed group, However the succeeded group had higher tendency than the failed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lower and body muscle strength was essential to successful G-tolerance te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훈, "종목별 선수들의 다리길이차이와 고관절가동범위 및 등속성 근력 비교"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6

      2 백용주, "전투기 조종사의 G-LOC 사례분석" 51 (51): 41-59, 2004

      3 김동원, "일부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의 항공생리신체검사 및 가속도 내성훈련에 대한 보고 “G-LOC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연구를중심으로”" 14 (14): 1-11, 2004

      4 전용균, "우수 장거리 스피드스케이트 선수의 경기력 수준별 허리관절,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특성"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349-1360, 2011

      5 김재호, "우수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주요부위 관절 등속성 근기능 특성"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065-1075, 2009

      6 제갈성렬, "엘리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의 경기기록과 등속성근력 및 무산소성 파워의 관련성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동원, "대한민국 공군조종사의 건강관련 생활습관 조사" 15 (15): 11-17, 2005

      8 고영정,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411-420, 2007

      9 구명수, "공중근무자의 G내성 강화를 위한 체력단련 프로그램"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211-219, 2002

      10 김근수, "‘비행입문과정’ 입과 전 공군사관생도의 신체구성, 기초체력, VO₂max,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64 (64): 165-179, 2013

      1 조용훈, "종목별 선수들의 다리길이차이와 고관절가동범위 및 등속성 근력 비교"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6

      2 백용주, "전투기 조종사의 G-LOC 사례분석" 51 (51): 41-59, 2004

      3 김동원, "일부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의 항공생리신체검사 및 가속도 내성훈련에 대한 보고 “G-LOC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연구를중심으로”" 14 (14): 1-11, 2004

      4 전용균, "우수 장거리 스피드스케이트 선수의 경기력 수준별 허리관절,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특성"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349-1360, 2011

      5 김재호, "우수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주요부위 관절 등속성 근기능 특성"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065-1075, 2009

      6 제갈성렬, "엘리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의 경기기록과 등속성근력 및 무산소성 파워의 관련성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동원, "대한민국 공군조종사의 건강관련 생활습관 조사" 15 (15): 11-17, 2005

      8 고영정,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411-420, 2007

      9 구명수, "공중근무자의 G내성 강화를 위한 체력단련 프로그램"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211-219, 2002

      10 김근수, "‘비행입문과정’ 입과 전 공군사관생도의 신체구성, 기초체력, VO₂max,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64 (64): 165-179, 2013

      11 Epperson, W. L.,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weight training on simulated aerial combat maneuvering G-tolerance" 56 : 534-539, 1985

      12 Lisher, B. J., "The Effect of Acceleration and Seat Back Angle on Performance of a Reaction Time Task" 1978

      13 김종섭, "T-50 정밀추적 성능 향상을 위한 세로축 제어법칙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33 (33): 50-55, 2005

      14 Stupakov, G. P., "Selection and Special Physiological Training of Flying Personnel to High +Gz-Maneuverable Flight-Main Concept" 1-15, 1995

      15 Otsuki, T., "Relationship between arterial stifness and athletic training programs in young adult men" 20 : 967-973, 2007

      16 Tesch, P. A., "Physical performance and +Gz tolerance" 31 : 105-, 1988

      17 Rosene, J. M., "Isokinetic Hamstrings : Quadriceos Ratios in Intercollegiate Athletes" 36 (36): 378-383, 2001

      18 Burns, J. W., "G-Protection Basis/Acceleration Physiology" 1995

      19 Eiken, O., "G tolerance vis-à-vis pressure-distension and pressure-flow relationships of leg arteries" 112 : 3619-3627, 2012

      20 Tesch, P. A.,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G-tolerance" 54 : 691-695, 1983

      21 Shubrooks, S. J., "Effect of the Valsalva Maneuver on Tolerance to +Gz Acceleration" 34 (34): 460-466, 1973

      22 Lambert, E. H., "Effect of positive acceleration on pilots in flight" 21 : 195-220, 1950

      23 양진백, "40세 이하 공군 전투조종사들의 체질량 및 체성분 분석" 11 : 25-26, 2010

      24 안병걸, "21세기 조종사 양성 훈련체계" 60 : 21-39, 2002

      25 윤재량, "2004아테네 올림픽대회출전 한국레슬링 대표선수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력" 한국운동생리학회 14 (14): 215-22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