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만아동을 위한 보건소 운동프로그램의 실효성: 파일럿 스터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2주간의 어린이 건강교실 프로그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자 하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비만인지도, 운동습관, 일상생활습관, 식사습관, 비만지식, 운동태도, 신체불만족, 자존감의 변화가 나 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주시 소재 C초등학교 3-6학년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의 비만초등학생으로 서 12주 동안 운동자각도 10-16의 운동강도에서 주 3회, 60분 동안의 규칙적인 운동과 주 1회의 영양 및 비만교육을 받았다. 12주 간의 건강교실 프로그램 참여 후 체중(p=0.020), 제지방량(p<0.001)은 통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지방량(p=0.005), 체지방율(p<0.001), 체질량지수(p=0.027), 가슴둘레(p=0.010), 엉덩이둘레(p=0.005)는 통계적으로 감소하였다. 악력좌(p<0.001), 악력우(p<0.001), 앉았다 일 어서기(p=0.043), 윗몸일으키기(p<0.001), 윗몸앞으로굽히기(p=0.003), 사이드스텝(p<0.001), 외발서기(p<0.001), 제자리멀리뛰기 (p=0.040)의 모든 체력 변인은 통계적으로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12주 동안 실시한 어린이 건강교실은 비만 초등학생들의 신체 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비만인지도, 운동습관, 일상생활습관, 식사습관, 비만지식, 운동태도, 신체불만족, 자존 감의 사회심리적 요인에는 긍정적연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2주간의 어린이 건강교실 프로그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자 하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비만인지도, 운동습관, 일상생활습...

      본 연구는 12주간의 어린이 건강교실 프로그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자 하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비만인지도, 운동습관, 일상생활습관, 식사습관, 비만지식, 운동태도, 신체불만족, 자존감의 변화가 나 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주시 소재 C초등학교 3-6학년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의 비만초등학생으로 서 12주 동안 운동자각도 10-16의 운동강도에서 주 3회, 60분 동안의 규칙적인 운동과 주 1회의 영양 및 비만교육을 받았다. 12주 간의 건강교실 프로그램 참여 후 체중(p=0.020), 제지방량(p<0.001)은 통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지방량(p=0.005), 체지방율(p<0.001), 체질량지수(p=0.027), 가슴둘레(p=0.010), 엉덩이둘레(p=0.005)는 통계적으로 감소하였다. 악력좌(p<0.001), 악력우(p<0.001), 앉았다 일 어서기(p=0.043), 윗몸일으키기(p<0.001), 윗몸앞으로굽히기(p=0.003), 사이드스텝(p<0.001), 외발서기(p<0.001), 제자리멀리뛰기 (p=0.040)의 모든 체력 변인은 통계적으로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12주 동안 실시한 어린이 건강교실은 비만 초등학생들의 신체 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비만인지도, 운동습관, 일상생활습관, 식사습관, 비만지식, 운동태도, 신체불만족, 자존 감의 사회심리적 요인에는 긍정적연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12-week child health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obesity awareness and knowledge, exercise habits and attitudes, daily living, diet,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Forty-eight (aged 10-13 yea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 body mass index over 25 kg/m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 health program consisted of combined exercise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three times a week and nutritional and health education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for 12 weeks. A paired t-test was used for analysis of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p=0.020), lean body mass (p<0.001), fat mass (p=0.005), body fat percentage (p<0.001), body mass index (p=0.027), chest circumference (p=0.010), and hip circumference (p=0.005) after 12 weeks of the program.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fitness tests for grip strength (p<0.001), squats (p=0.043), sit-ups (p<0.001), sit-and-reach (p=0.003), side steps (p<0.001), balance on one leg with eyes open (p<0.001), and standing broad jump (p=0.04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esity awareness and knowledge, exercise habits and attitudes, daily living,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12-week child health program improved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but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did not improve.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12-week child health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obesity awareness and knowledge, exercise habits and attitudes, daily living, diet,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12-week child health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obesity awareness and knowledge, exercise habits and attitudes, daily living, diet,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Forty-eight (aged 10-13 yea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 body mass index over 25 kg/m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 health program consisted of combined exercise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three times a week and nutritional and health education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for 12 weeks. A paired t-test was used for analysis of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p=0.020), lean body mass (p<0.001), fat mass (p=0.005), body fat percentage (p<0.001), body mass index (p=0.027), chest circumference (p=0.010), and hip circumference (p=0.005) after 12 weeks of the program.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fitness tests for grip strength (p<0.001), squats (p=0.043), sit-ups (p<0.001), sit-and-reach (p=0.003), side steps (p<0.001), balance on one leg with eyes open (p<0.001), and standing broad jump (p=0.04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esity awareness and knowledge, exercise habits and attitudes, daily living,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12-week child health program improved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but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did not impro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옥경, "전북지역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효과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86-1294, 2010

      2 송욱, "국내 비만연구에서 적용된 운동요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비만학회 16 (16): 177-185, 2007

      3 Thury, C.,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a review of the current guidelines and supporting evidence"

      4 Hassmén, P., "Physical exerci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opulation study in Finland" 30 (30): 17-25, 2000

      5 Vasconcellos, F. I.,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n physical fitness component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44 (44): 1139-1152, 2014

      6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World Health Organization"

      7 Thomas, A. W., "Handbook of obesity treatment" The Guilford Press 2002

      8 Lakka, T. A.,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170" 137-163, 2005

      9 Johansson, K., "Effects of anti-obesity drugs, diet, and exercise on weight-loss maintenance after a very-low-calorie diet or low-calorie diet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99 (99): 14-23, 2014

      10 Cai, L., "Effect of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mes on blood lipi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5 (15): 933-944, 2014

      1 유옥경, "전북지역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효과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86-1294, 2010

      2 송욱, "국내 비만연구에서 적용된 운동요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비만학회 16 (16): 177-185, 2007

      3 Thury, C.,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a review of the current guidelines and supporting evidence"

      4 Hassmén, P., "Physical exerci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opulation study in Finland" 30 (30): 17-25, 2000

      5 Vasconcellos, F. I.,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n physical fitness component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44 (44): 1139-1152, 2014

      6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World Health Organization"

      7 Thomas, A. W., "Handbook of obesity treatment" The Guilford Press 2002

      8 Lakka, T. A.,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170" 137-163, 2005

      9 Johansson, K., "Effects of anti-obesity drugs, diet, and exercise on weight-loss maintenance after a very-low-calorie diet or low-calorie diet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99 (99): 14-23, 2014

      10 Cai, L., "Effect of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mes on blood lipi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5 (15): 933-944, 2014

      11 Sabin, M. A., "Childhood obesity: Current and novel approaches. Best Practice & Research" 29 (29): 327-338, 2015

      12 Santarpia, L., "Body composition changes after weight-loss interventions for overweight and obesity" 32 (32): 157-161, 2013

      13 Heyward, V. H., "Applied body composition assessment" Human Kinetics 2004

      14 Heyward, V. V., "Advanced fitness assess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Human kinetics 2014

      15 Christie, D., "Adolescent development" 330 (330): 301-304, 2005

      16 보건복지부, "2013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2014

      17 강창훈, "1년간 운동참여가 비만아동들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0 (20): 59-65,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