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특성 및 내구성 =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High-Strength High-Volume GGBFS Concre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14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을 65%까지 치환한 물-결합재비 23%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압축강도 발현 특성과 내구성을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을 65%까지 치환한 물-결합재비 23%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압축강도 발현 특성과 내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GGBFS를 65%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재령 3일까지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만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낮지만 재령 7일 이후부터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도의 증가와 함께 공극구조가 더 치밀해짐으로써 염소이온 투과 저항성이 커지고, 이로인해 별도의 공기연행 없이도 우수한 동결융해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산화칼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탄산화 저항성을 나타냈다. 반면 실리카퓸(SF)을 GGBFS와 함께 혼입하면 GGBFS만 혼입한 경우보다 강도는 낮아지고 염소이온 투과 저항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서의 SF의 반응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develop high-strength high-volume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concre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concrete with the water-to-binder ratio of 23% and the GGBFS replacement ...

      To develop high-strength high-volume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concre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concrete with the water-to-binder ratio of 23% and the GGBFS replacement ratio of up to 65%.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GBFS blended concrete is lower than that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concrete up to 3-day age, but the becomes higher after 7-day age. Together with strength increase, the pore structure becomes tighter, and thus the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increases. Therefore, the GGBFS blended concrete has high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without additional air-entraining, and high resistance to carbonation despite low amount of calcium hydroxide ($Ca(OH)_2$). On the other hand, if silica fume (SF) is blended with GGBFS, the strength becomes lower than that of the concrete blended with GGBFS only, and the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deceases. Therefore, it needs further studies on the reaction of SF in high-strength high-volume GGBFS concre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우, "무기질 자극제를 사용한 탄소배출 저감형 저발열형 혼합시멘트의 수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3 (13): 218-226, 2013

      2 조창근, "고인성 섬유보강 무시멘트 복합체의 기초 배합 및 역학 실험" 한국콘크리트학회 24 (24): 121-127, 2012

      3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15-322, 2012

      4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중성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93-400, 2012

      5 정지용,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혼합 시멘트 모르터의 수화 및 포졸란 반응에 미치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퓸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7 (27): 127-136, 2015

      6 정지용, "고강도 고로슬래그 혼합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 및 포졸란 반응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률과 분말도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7 (27): 115-125, 2015

      7 Madani, H., "The pozzolanic reactivity of monodispersed nanosilica hydrosols and their influence on the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Portland cement" 42 : 1563-1570, 2012

      8 Hester, D., "Study of influence of slag alkali level on the alkali-silica reactivity of slag concrete" 19 (19): 661-665, 2005

      9 Gengying, L., "Properties of concrete incorporating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25 : 293-299, 2003

      10 Chong, W., "Preparation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common technology and materials" 34 : 538-544, 2012

      1 최성우, "무기질 자극제를 사용한 탄소배출 저감형 저발열형 혼합시멘트의 수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3 (13): 218-226, 2013

      2 조창근, "고인성 섬유보강 무시멘트 복합체의 기초 배합 및 역학 실험" 한국콘크리트학회 24 (24): 121-127, 2012

      3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15-322, 2012

      4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중성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93-400, 2012

      5 정지용,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혼합 시멘트 모르터의 수화 및 포졸란 반응에 미치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퓸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7 (27): 127-136, 2015

      6 정지용, "고강도 고로슬래그 혼합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 및 포졸란 반응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률과 분말도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7 (27): 115-125, 2015

      7 Madani, H., "The pozzolanic reactivity of monodispersed nanosilica hydrosols and their influence on the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Portland cement" 42 : 1563-1570, 2012

      8 Hester, D., "Study of influence of slag alkali level on the alkali-silica reactivity of slag concrete" 19 (19): 661-665, 2005

      9 Gengying, L., "Properties of concrete incorporating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25 : 293-299, 2003

      10 Chong, W., "Preparation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common technology and materials" 34 : 538-544, 2012

      11 Halit, Y.,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containing high volum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32 : 639-648, 2010

      12 "KS L 5201, Portland cement"

      13 "KS F 2584, Standard test method for accelerated carbonation of concrete"

      14 "KS F 2567, Silica fume for use in concrete"

      15 "KS F 2563,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for use in concrete"

      16 "KS F 2456, Standard test method for concrete to rapid freezing and thawing"

      17 "KS F 2405,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18 Hogan, F. J., "Evaluation for durability and strength development of a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3 (3): 40-52, 1981

      19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20 Mehta, P. K., "Concrete,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McGraw-Hill 659-, 2004

      21 Mindess, S., "Concrete" Prentice Hall 644-, 2003

      22 Leng, F., "An experiment study on the properties of resistance to diffusion of chloride ions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concrete" 30 : 989-992,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559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