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이 어떻게 소개되고 다루어졌는지 과학문화의 맥락에서 논의한다. 1920년대의 상대성이론 관련 강연들을 개괄하고, 이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이 어떻게 소개되고 다루어졌는지 과학문화의 맥락에서 논의한다. 1920년대의 상대성이론 관련 강연들을 개괄하고, 이런 ...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이 어떻게 소개되고 다루어졌는지 과학문화의 맥락에서 논의한다. 1920년대의 상대성이론 관련 강연들을 개괄하고, 이런 강연들이 나오게 된 내력을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1922년 조선교육협회의 아인슈타인 초청 시도의 의미를 살펴본 뒤, 최윤식, 황진남, 이광수, 한치진 등 일제강점기 조선의 지식인들이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살핀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의 강연이 지녔던 의미를 논의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송, "현대성의 형성 :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현실문화연구 2020
2 김영식, "한국의 과학문화, 그 현재와 미래" 생각의 나무 2003
3 김근배,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문학과지성사 2005
4 송민호, "일제강점기 미디어로서의 강연회의 형성과 불온한 지식의 탄생" 한국학연구소 (32) : 125-154, 2014
5 박찬승, "아시아의 근대화와 대학의역할"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0
6 홍대길,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 조선교육협회, 민립대학 설립 추진" 2005
7 임정혁, "식민지시기 물리학자 도상록의 연구활동에 대하여" 한국과학사학회 27 (27): 109-126, 2005
8 김용섭, "남북 학술원과 과학원의 발달" 지식산업사 2005
9 임종태, "근현대 한국사회의과학" 창작과 비평사 1998
10 김영식, "근현대 한국사회의 과학" 창작과 비평사 1998
1 김진송, "현대성의 형성 :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현실문화연구 2020
2 김영식, "한국의 과학문화, 그 현재와 미래" 생각의 나무 2003
3 김근배,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문학과지성사 2005
4 송민호, "일제강점기 미디어로서의 강연회의 형성과 불온한 지식의 탄생" 한국학연구소 (32) : 125-154, 2014
5 박찬승, "아시아의 근대화와 대학의역할"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0
6 홍대길,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 조선교육협회, 민립대학 설립 추진" 2005
7 임정혁, "식민지시기 물리학자 도상록의 연구활동에 대하여" 한국과학사학회 27 (27): 109-126, 2005
8 김용섭, "남북 학술원과 과학원의 발달" 지식산업사 2005
9 임종태, "근현대 한국사회의과학" 창작과 비평사 1998
10 김영식, "근현대 한국사회의 과학" 창작과 비평사 1998
11 Rosenkranz, Ze'ev, "The Travel Diaries of Albert Einstein: The Far East, Palestine, and Spain, 1922-1923"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12 Kaneko, Tsutomu, "The Comparative Reception of Relativity" Springer 1987
13 Ezawa, H., "Impacts of Einstein’s visit on physics in Japan" 3-16, 2005
14 Jansen, M. B., "Einstein in Japan" 50 (50): 145-154, 1989
15 Hu, D., "China and Albert Einstein: The Reception of the Physicist and His Theory in China, 1917-1979"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16 김성연, "1920년대 초 식민지 조선의 아인슈타인 전기와 상대성이론 수용 양상" 역사문제연구소 16 (16): 33-62, 2012
17 김한종, "1920년대 조선교육협회의 교육운동" 충북대학교사학회 (8) : 1995
Contrastive Topics in Chinese Comparatives
원주의 군사문화 연구 -원주의 장소성, 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3 | 0.863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