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먼저 의학교육에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이 어려운 이유를 밝히고,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의거한 의료윤리의 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의료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72175
2017
Korean
001
KCI등재
학술저널
157-193(3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먼저 의학교육에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이 어려운 이유를 밝히고,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의거한 의료윤리의 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의료윤...
본 논문은 먼저 의학교육에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이 어려운 이유를 밝히고,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의거한 의료윤리의 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을 교육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그것의 목적, 절차 그리고 내용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학교육에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은 의학적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 역량을 기르는 것이 되어야 한다. 비판적 사고와 학술적 글쓰기에 기초한 도덕적 또는 의학적 추론은 그러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한 좋은 방편이 될 수 있다. 의학교육에서 적합하고 적실성 있는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은 의학적 주제와 관련된 교육적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윤리, 비판적 사고, 글쓰기가 융합되어야 한다.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에 내재된 많은 현안 문제들은 생명윤리, 분배적 정의, 동물 실험, 의무의 충돌 그리고 자율규제 등과 같이 전통적인 도덕적 문제들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and to make a proposal for an educational model of improving moral inference in teaching medical ethics in virtue of critical thi...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and to make a proposal for an educational model of improving moral inference in teaching medical ethics in virtue of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Above all else, the difficulty in teaching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lies in that its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procedure and contents are confused. I argue that the improvement of ethical problem-solving competency is the core component. So, I propose that the moral and ethical inference in medical ethics must be based on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writing. Since many current issues in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are related to traditional moral issues ― such as bioethics, distributive justice, animal experiment, conflict of obligations and self-regulation and so forth ― a proper and suitable teaching of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should focus on medical subject-related educational methods and should be integrated with ethics,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보문, "현대 의학전문직업성: 역사적 배경, 개념변화, 선언문 비판" 대한의사협회 54 (54): 1124-1136, 2011
2 안덕선, "한국의 의사상 설정 및 보수교육 실태 평가 연구" 보건복지부 2013
3 맹광호, "한국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과제와 전망" 한국의학교육학회 20 (20): 3-10, 2008
4 안덕선, "한국 의료에서 의학전문직업성의 발전과정" 대한의사협회 54 (54): 1137-1145, 2011
5 박정하, "학술적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0, 2012
6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7 최경석, "의료윤리와 전문직 교육-교육 현황과 철학의 역할" 인간학연구소 (12) : 218-243, 2007
8 전대석, "의료윤리와 비판적 글쓰기" 북코리아 2016
9 신선경,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2) : 61-84, 2006
10 김옥주,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 누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 한국의료윤리학회 9 (9): 44-59, 2006
1 최보문, "현대 의학전문직업성: 역사적 배경, 개념변화, 선언문 비판" 대한의사협회 54 (54): 1124-1136, 2011
2 안덕선, "한국의 의사상 설정 및 보수교육 실태 평가 연구" 보건복지부 2013
3 맹광호, "한국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과제와 전망" 한국의학교육학회 20 (20): 3-10, 2008
4 안덕선, "한국 의료에서 의학전문직업성의 발전과정" 대한의사협회 54 (54): 1137-1145, 2011
5 박정하, "학술적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0, 2012
6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7 최경석, "의료윤리와 전문직 교육-교육 현황과 철학의 역할" 인간학연구소 (12) : 218-243, 2007
8 전대석, "의료윤리와 비판적 글쓰기" 북코리아 2016
9 신선경,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2) : 61-84, 2006
10 김옥주,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 누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 한국의료윤리학회 9 (9): 44-59, 2006
11 허예라, "우리나라 의과대학 입학생이 갖추어야 할 의학 전문직업성의 요소" 한국의학교육학회 18 (18): 299-308, 2006
12 이좌용, "비판적 사고 : 성숙한 이성으로의 길" 성균관대출판부 2014
13 김옥주, "미국 의과대학의 의료 윤리교육 현황" 14 (14): 195-202, 2002
14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WFME)"
15 Connelly, JE, "The other side of professionalism: doctor-doctor" 12 : 178-183, 2003
16 Scott-Smith, W.,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skills and expertise in primacy care" Educ Prim Care 17-, 2006
17 Toulmin, S. E., "The Use of Argument" Cambridge [England] Univ. Press 1958
18 Toulmin, S. E., "Reason in Ethics" Chicago Univ. Press 1950
19 Miettinen, OS, "Professionalism in medicine" 9 : 353-356, 2003
20 Kasar, J, "Developing Professional Behaviors" Slack Inc 3-8, 2000
21 Arnold, L., "Assessing Professional Behavior: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77 : 505-514, 2002
호주 한인 ‘1세대’의 이민에 대한 연구 -이주체계접근법과 이민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무진기행」에서 <안개>로의 매체전이 양상 연구 -인식론적 책무 개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