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결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문항개발을 위해 90명의 서울시내 대학생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장래 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61011
2001
Korean
325.000
학술저널
167-180(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결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문항개발을 위해 90명의 서울시내 대학생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장래 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결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문항개발을 위해 90명의 서울시내 대학생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장래 직업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다섯 가지 기술하도록 하였다. 427개의 응답을 연구진이 검토한 결과,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5 개 요인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5 개 요인은 외적장애, 우유부단한 성격, 직업정보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그리고 필요성 인식부족이었다.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서울 시내 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성분 요인분석 결과 다른 4 개 요인은 동일하며, 외적 장애 요인이 외적 장애와 사회인식부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나, 6 요인구조가 더 의미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문항분석 결과 7개 문항이 제외되었다. 29개 문항을 토대로 전국 대학생 700명에게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주성분 요인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5개 문항을 제외한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6요인 구조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 그리고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데이터베이스에서 성능 실험을 위한 질의 작업부하 생성 알고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