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508-, 1981
2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81-222, 2000
3 엄기형, "항일유격대원의 수령에 대한 무한한 충성" (7) : 9-, 1967
4 고영환, "통제체제 차원에서의 중동 혁명과 북한의 비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137-, 2011
5 한병진, "중동의 정치적 격변과 북한 붕괴에 대한 함의" 32 (32): 2013
6 권영승, "중동의 민주화와 북한에 대한 시사점: 비판적 재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133-176, 2013
7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4" 조선로동당출판사 378-, 1987
8 심형일, "주체의 사회주의헌법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47-, 1991
9 편집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수정보충할 데 대한 보고"
10 김정일, "조선로동당출판사: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7) : 15-, 1987
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508-, 1981
2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81-222, 2000
3 엄기형, "항일유격대원의 수령에 대한 무한한 충성" (7) : 9-, 1967
4 고영환, "통제체제 차원에서의 중동 혁명과 북한의 비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137-, 2011
5 한병진, "중동의 정치적 격변과 북한 붕괴에 대한 함의" 32 (32): 2013
6 권영승, "중동의 민주화와 북한에 대한 시사점: 비판적 재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133-176, 2013
7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4" 조선로동당출판사 378-, 1987
8 심형일, "주체의 사회주의헌법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47-, 1991
9 편집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수정보충할 데 대한 보고"
10 김정일, "조선로동당출판사: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7) : 15-, 1987
11 김정일, "조선로동당은 영광스러운 <<ㅌ.ㄷ>>의 전통을 계승한 주체형의 혁명적 당이다" 조선로동당출판사 22-, 1982
12 조선로동당출판사, "조선로동당원의 의무해설" 3-, 1971
13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역사비평사 314-, 1995
14 편집위원회, "조선로동당 제7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규악> 개정에 관한 결정서 채택"
15 조선로동당출판사, "조선로동당 규약 해설" 학우서방 19-20, 1960
16 편집위원회, "조선로동당 규약 서문"
17 하연섭,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출판사 37-60, 2016
18 이기동, "제3차 노동당 대표자회 이후 북한 권력구조 확립의 쟁점 및 과제" 극동문제연구소 26 (26): 215-242, 2010
19 조선로동당출판사, "정치사전" 1985
20 리기석, "인생과 리더" 구월서방 1989
21 사회과학출판사, "위대한 주체사상 총서 9" 사회과학출판사 87-, 1985
22 편집위원회, "우리 당과 인민의 최고령도자 김정은 동지의 연설"
23 편집위원회, "숭고한 뜻 심장에 새기자"
24 조선로동당출판사, "수령에 대한 충실성은 공산주의적 당성의 기본" (11) : 5-, 1973
25 강명세, "세종연구소: 북한독재체제는 왜 붕괴하지않는가" 1-49, 2013
26 김병연, "사회주의 경제개혁과 체제이행의 정치적 조건: 구소련,동유럽,중국의 경험과 북한의 이행 가능성" 한국비교경제학회 12 (12): 215-251, 2005
27 이종찬, "비공식제도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치적 과정, 정책이념, 공식제도"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39-164, 2018
28 김형성, "북한헌법 변화의 특징과 전망" 법학연구원 24 (24): 1-37, 2012
29 북한연구소, "북한총람(1983 ~1990)" 북한연구소 1990
30 전현준,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2006
31 정성윤, "북한체제 내구성에 대한 소고: 비교권위주의적 시각" 통일연구원 26 (26): 77-103, 2017
32 한병진, "북한정권의 내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세종연구소 15 (15): 119-141, 2009
33 이교덕, "북한의 후계자론" 통일연구원 11-, 2003
34 정성장, "북한의 당 · 국가기구 · 군대" 한울 127-129, 2007
35 서재진, "북한의 경제난과 체제 내구력" 통일연구원 9-11, 2007
36 심지연,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238-, 2004
37 최완규,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42-, 2004
38 최완규, "북한 체제의 지탱요인 분석 : 쿠바 사례와의 비교론적 접근" 북한대학원대학교 9 (9): 7-48, 2006
39 이흥석, "북한 지도자의 호칭과 우상화에 관한 연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9 (19): 117-147, 2019
40 백학순, "북한 권력의 역사" 한울 2010
41 김창희, "북한 권력승계의 정치: 이념·제도화·인적기반·사회화" 한국동북아학회 17 (17): 79-104, 2012
42 현성일, "북한 국가전략과 파워엘리트" 선인출판사 56-58, 2007
43 조선로동당출판사, "법학사전" 조선로동당출판사 681-, 1971
44 박형중, "루마니아와 북한-사회주의 주변부 스탈린 주의의 비교연구" 1995
45 박형중, "독재의 정치 및 경제논리" 2012
46 이종석, "김정일의 통치력" 89-, 1992
47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정일동지략전" 159-, 1999
48 스즈키 마사유끼,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중앙일보사 19-92, 1994
49 이기동,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 수령 제, 당 · 정 · 군 관계, 권력엘리트의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63-65, 2015
50 백승주, "김정은 권력승계 2년차, 3대 관전 포인트" (626) : 2011
51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일성저작집 21" 136-337, 1983
52 이기동, "권력구조적 측면에서 본 북한 노동당 신 규약" 국가 안보전략연구소 40-, 2011
53 Grand, Stephen R., "Starting in Egypt: The Fourth Wave of Democratization?"
54 국방부, "2018 국방백서" 국방부 228-229,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