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체제 내구성에 관한 연구: 수령제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urabil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uryong's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7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uryong's rule is the driver of the durability of the system despite the unstable environ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oot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Kim Il-sung's struggle against Japan's armed forces,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i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the Suryong's rule. Second, Suryong's rule was institu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arty Covenant and Co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olutionary tradition. Third, the proactive Suryong's rule is a product of the following actors and the pathological constraints on their policy changes. Finally, route-dependent and system-enhancing policy decisions overcame the crisis of the collapse of the receiving system and drove the third generation succession.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ontext, leading to the first-in-one dictatorship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which has driven the durability of the regi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uryong's rule is the driver of the durability of the system despite the unstable environ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uryong's rule is the driver of the durability of the system despite the unstable environ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oot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Kim Il-sung's struggle against Japan's armed forces,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i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the Suryong's rule. Second, Suryong's rule was institu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arty Covenant and Co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olutionary tradition. Third, the proactive Suryong's rule is a product of the following actors and the pathological constraints on their policy changes. Finally, route-dependent and system-enhancing policy decisions overcame the crisis of the collapse of the receiving system and drove the third generation succession.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ontext, leading to the first-in-one dictatorship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which has driven the durability of the reg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가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의 동인임을 규명하는 데 있다. 북한은 사회주의체제 전환, 선대 수령의 사망,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3대 세습에 성공했다. 하지만 북한체제의 내구성에 관한 기존연구는 체제 내구성의 중요한 동인으로 볼 수 있는 수령의 3대 세습이 제도화되는 역사적 과정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특히 독재자와 권력 엘리트의 길항관계에 바탕을 둔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동인이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에 기여한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체제의 뿌리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며,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맥락은 수령제의 제도적 환경이다. 둘째, 수령제는 혁명전통에 따라 당 규약과 헌법에 따라 제도화되었다. 셋째, 수령제라는 선행적 제도는 후속하는 행위자와 그들의 정책변화를 제약하는 경로의존적인 산물이다. 마지막으로 경로의존적이며 체제 강화적인 정책 결정은 수령제 붕괴의 위기를 극복하고 3대 세습을 견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북한정치체제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제도화를 거치며 수령 세습의 일인독재로 이어지면서 체제의 내구성을 견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함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의 비핵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체제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하다. 북한체제가 안정되어야 협상의 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동인으로 볼 수 있는 수령제의 안정성을 진단함으로서 비핵화 협상은 물론 대북 정책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가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의 동인임을 규명하는 데 있다. 북한은 사회주의체제 전환, 선대 수령의 사망, 경제난에도 불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가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의 동인임을 규명하는 데 있다. 북한은 사회주의체제 전환, 선대 수령의 사망,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3대 세습에 성공했다. 하지만 북한체제의 내구성에 관한 기존연구는 체제 내구성의 중요한 동인으로 볼 수 있는 수령의 3대 세습이 제도화되는 역사적 과정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특히 독재자와 권력 엘리트의 길항관계에 바탕을 둔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동인이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에 기여한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체제의 뿌리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며,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맥락은 수령제의 제도적 환경이다. 둘째, 수령제는 혁명전통에 따라 당 규약과 헌법에 따라 제도화되었다. 셋째, 수령제라는 선행적 제도는 후속하는 행위자와 그들의 정책변화를 제약하는 경로의존적인 산물이다. 마지막으로 경로의존적이며 체제 강화적인 정책 결정은 수령제 붕괴의 위기를 극복하고 3대 세습을 견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북한정치체제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제도화를 거치며 수령 세습의 일인독재로 이어지면서 체제의 내구성을 견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함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의 비핵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체제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하다. 북한체제가 안정되어야 협상의 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동인으로 볼 수 있는 수령제의 안정성을 진단함으로서 비핵화 협상은 물론 대북 정책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508-, 1981

      2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81-222, 2000

      3 엄기형, "항일유격대원의 수령에 대한 무한한 충성" (7) : 9-, 1967

      4 고영환, "통제체제 차원에서의 중동 혁명과 북한의 비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137-, 2011

      5 한병진, "중동의 정치적 격변과 북한 붕괴에 대한 함의" 32 (32): 2013

      6 권영승, "중동의 민주화와 북한에 대한 시사점: 비판적 재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133-176, 2013

      7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4" 조선로동당출판사 378-, 1987

      8 심형일, "주체의 사회주의헌법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47-, 1991

      9 편집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수정보충할 데 대한 보고"

      10 김정일, "조선로동당출판사: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7) : 15-, 1987

      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508-, 1981

      2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81-222, 2000

      3 엄기형, "항일유격대원의 수령에 대한 무한한 충성" (7) : 9-, 1967

      4 고영환, "통제체제 차원에서의 중동 혁명과 북한의 비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137-, 2011

      5 한병진, "중동의 정치적 격변과 북한 붕괴에 대한 함의" 32 (32): 2013

      6 권영승, "중동의 민주화와 북한에 대한 시사점: 비판적 재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133-176, 2013

      7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4" 조선로동당출판사 378-, 1987

      8 심형일, "주체의 사회주의헌법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47-, 1991

      9 편집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수정보충할 데 대한 보고"

      10 김정일, "조선로동당출판사: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7) : 15-, 1987

      11 김정일, "조선로동당은 영광스러운 <<ㅌ.ㄷ>>의 전통을 계승한 주체형의 혁명적 당이다" 조선로동당출판사 22-, 1982

      12 조선로동당출판사, "조선로동당원의 의무해설" 3-, 1971

      13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역사비평사 314-, 1995

      14 편집위원회, "조선로동당 제7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규악> 개정에 관한 결정서 채택"

      15 조선로동당출판사, "조선로동당 규약 해설" 학우서방 19-20, 1960

      16 편집위원회, "조선로동당 규약 서문"

      17 하연섭,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출판사 37-60, 2016

      18 이기동, "제3차 노동당 대표자회 이후 북한 권력구조 확립의 쟁점 및 과제" 극동문제연구소 26 (26): 215-242, 2010

      19 조선로동당출판사, "정치사전" 1985

      20 리기석, "인생과 리더" 구월서방 1989

      21 사회과학출판사, "위대한 주체사상 총서 9" 사회과학출판사 87-, 1985

      22 편집위원회, "우리 당과 인민의 최고령도자 김정은 동지의 연설"

      23 편집위원회, "숭고한 뜻 심장에 새기자"

      24 조선로동당출판사, "수령에 대한 충실성은 공산주의적 당성의 기본" (11) : 5-, 1973

      25 강명세, "세종연구소: 북한독재체제는 왜 붕괴하지않는가" 1-49, 2013

      26 김병연, "사회주의 경제개혁과 체제이행의 정치적 조건: 구소련,동유럽,중국의 경험과 북한의 이행 가능성" 한국비교경제학회 12 (12): 215-251, 2005

      27 이종찬, "비공식제도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치적 과정, 정책이념, 공식제도"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39-164, 2018

      28 김형성, "북한헌법 변화의 특징과 전망" 법학연구원 24 (24): 1-37, 2012

      29 북한연구소, "북한총람(1983 ~1990)" 북한연구소 1990

      30 전현준,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2006

      31 정성윤, "북한체제 내구성에 대한 소고: 비교권위주의적 시각" 통일연구원 26 (26): 77-103, 2017

      32 한병진, "북한정권의 내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세종연구소 15 (15): 119-141, 2009

      33 이교덕, "북한의 후계자론" 통일연구원 11-, 2003

      34 정성장, "북한의 당 · 국가기구 · 군대" 한울 127-129, 2007

      35 서재진, "북한의 경제난과 체제 내구력" 통일연구원 9-11, 2007

      36 심지연,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238-, 2004

      37 최완규,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42-, 2004

      38 최완규, "북한 체제의 지탱요인 분석 : 쿠바 사례와의 비교론적 접근" 북한대학원대학교 9 (9): 7-48, 2006

      39 이흥석, "북한 지도자의 호칭과 우상화에 관한 연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9 (19): 117-147, 2019

      40 백학순, "북한 권력의 역사" 한울 2010

      41 김창희, "북한 권력승계의 정치: 이념·제도화·인적기반·사회화" 한국동북아학회 17 (17): 79-104, 2012

      42 현성일, "북한 국가전략과 파워엘리트" 선인출판사 56-58, 2007

      43 조선로동당출판사, "법학사전" 조선로동당출판사 681-, 1971

      44 박형중, "루마니아와 북한-사회주의 주변부 스탈린 주의의 비교연구" 1995

      45 박형중, "독재의 정치 및 경제논리" 2012

      46 이종석, "김정일의 통치력" 89-, 1992

      47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정일동지략전" 159-, 1999

      48 스즈키 마사유끼,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중앙일보사 19-92, 1994

      49 이기동,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 수령 제, 당 · 정 · 군 관계, 권력엘리트의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63-65, 2015

      50 백승주, "김정은 권력승계 2년차, 3대 관전 포인트" (626) : 2011

      51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일성저작집 21" 136-337, 1983

      52 이기동, "권력구조적 측면에서 본 북한 노동당 신 규약" 국가 안보전략연구소 40-, 2011

      53 Grand, Stephen R., "Starting in Egypt: The Fourth Wave of Democratization?"

      54 국방부, "2018 국방백서" 국방부 228-22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연구원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19 1.24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