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통일인식과 대학교 통일교육의 함의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been empirically studied utilizing a survey to verify university students’ changing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needed for future education of university unification. To this end, various perceptions and attitudes related to unification (the need for unification,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fication, etc.)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fication were verifi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as well as individual tendencies (the postmaterialist values and political ideology). Furthermore, we looked at the subject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students want through a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materialist values and perceptions of the North Korean regime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unification necessity and the degree of unification interest. Furthermore, the more favorable the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more interested they were in finding ways to resolve conflicts within the South regarding the North's unification policy, the North's society and culture, the benefits and costs of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policy.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future along with preliminary demand surveys of students.
      번역하기

      This paper has been empirically studied utilizing a survey to verify university students’ changing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needed for future education of university unification. To this end, various perceptions and ...

      This paper has been empirically studied utilizing a survey to verify university students’ changing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needed for future education of university unification. To this end, various perceptions and attitudes related to unification (the need for unification,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fication, etc.)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fication were verifi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as well as individual tendencies (the postmaterialist values and political ideology). Furthermore, we looked at the subject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students want through a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materialist values and perceptions of the North Korean regime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unification necessity and the degree of unification interest. Furthermore, the more favorable the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more interested they were in finding ways to resolve conflicts within the South regarding the North's unification policy, the North's society and culture, the benefits and costs of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policy.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future along with preliminary demand surveys of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변화하는 대학생 통일인식을 검증하고 대학 통일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과 관련된 인식(통일필요성, 통일관심도 등)과 대학생 개인의 성향을 파악하였고, 통일필요성과 통일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개인 성향(탈물질주의 가치와 정치이념 등)과 더불어 북한정권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희망하는 통일교육 주제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1)통일필요성과 통일관심도에 탈물질주의 가치와 북한정권인식이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보여주었다. (2)북한정권에 대한 인식이 우호적일수록 통일 장애요인을 남한 내부의 문제에서 찾고 남북한 통일정책, 북한의 사회와 문화, 통일의 이익과 비용, 대북정책 관련 남한 내부의 갈등해소 방안에 관심이 높았다. 따라서 향후 대학 통일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에 대한 사전 수요조사와 함께 그들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여 통일교육을 시행해야 함을 본 연구를 통해 주장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변화하는 대학생 통일인식을 검증하고 대학 통일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과 관련된 인식(통일필요성, 통...

      본 논문은 변화하는 대학생 통일인식을 검증하고 대학 통일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과 관련된 인식(통일필요성, 통일관심도 등)과 대학생 개인의 성향을 파악하였고, 통일필요성과 통일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개인 성향(탈물질주의 가치와 정치이념 등)과 더불어 북한정권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희망하는 통일교육 주제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1)통일필요성과 통일관심도에 탈물질주의 가치와 북한정권인식이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보여주었다. (2)북한정권에 대한 인식이 우호적일수록 통일 장애요인을 남한 내부의 문제에서 찾고 남북한 통일정책, 북한의 사회와 문화, 통일의 이익과 비용, 대북정책 관련 남한 내부의 갈등해소 방안에 관심이 높았다. 따라서 향후 대학 통일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에 대한 사전 수요조사와 함께 그들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여 통일교육을 시행해야 함을 본 연구를 통해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2 박재흥,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코호트 분석" 한국사회학회 46 (46): 69-95, 2012

      3 윤민재, "한국사회의 이념적 갈등과 특징: 세대별 통일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831-850, 2017

      4 한정훈,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 :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정치학회 50 (50): 105-126, 2016

      5 민병기, "통일인식이 대학 통일교육 수강의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97-212, 2019

      6 이내영, "통일인식에 대한 세대격차의 원인분석과 갈등해소를 통한 국민통합방안" 통일부 2015

      7 최우선, "통일인식 차이의 원인: 합리주의적 설명" 아세아문제연구원 59 (59): 84-112, 2016

      8 안완기, "통일교육의 현황 분석과 내실화 방안 연구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9 (9): 219-238, 2004

      9 정용하, "통일교육의 영향과 통일․평화 인식의 변화-대학의 통일강좌와 외부환경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407-442, 2013

      10 고경민, "통일교육 의무화와 대학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 대한정치학회 23 (23): 166-193, 2015

      1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2 박재흥,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코호트 분석" 한국사회학회 46 (46): 69-95, 2012

      3 윤민재, "한국사회의 이념적 갈등과 특징: 세대별 통일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831-850, 2017

      4 한정훈,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 :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정치학회 50 (50): 105-126, 2016

      5 민병기, "통일인식이 대학 통일교육 수강의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97-212, 2019

      6 이내영, "통일인식에 대한 세대격차의 원인분석과 갈등해소를 통한 국민통합방안" 통일부 2015

      7 최우선, "통일인식 차이의 원인: 합리주의적 설명" 아세아문제연구원 59 (59): 84-112, 2016

      8 안완기, "통일교육의 현황 분석과 내실화 방안 연구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9 (9): 219-238, 2004

      9 정용하, "통일교육의 영향과 통일․평화 인식의 변화-대학의 통일강좌와 외부환경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407-442, 2013

      10 고경민, "통일교육 의무화와 대학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 대한정치학회 23 (23): 166-193, 2015

      11 김영하, "통일관련 교양강좌의 교수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정치학회 12 (12): 183-214, 2005

      12 김욱, "정치문화의 변동과 가치 갈등: 탈물질주의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9 (19): 97-120, 2009

      13 김욱,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한국정치정보학회 9 (9): 179-202, 2006

      14 허석재, "세대교체와 북한인식의 변화: 코호트 분석"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73-112, 2014

      15 안득기, "북한 및 통일의식 분석: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1 (11): 151-191, 2007

      16 구본상, "변화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의 우리 국민의 통일인식 분석: 현대적 성차, 국가 자부심, 통일효용 인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4 (34): 43-75, 2019

      17 이경태, "바람직한 대학통일교육방향" 대한정치학회 11 (11): 233-256, 2004

      18 최순미, "마음의 통합을 위한 남북한주민 가치관 비교: 물질-탈물질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심연북한연구소 20 (20): 219-249, 2017

      19 정희태, "대학에서의 통일교육 수업을 위한 PBL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한국윤리학회 1 (1): 221-249, 2016

      20 남희은, "대학생의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탈북자에 대한 태도 및 통일인식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0) : 86-109, 2014

      21 이미경, "대학생 통일의식 제고를 위한 통일교육 방안 모색" 한국동북아학회 19 (19): 175-195, 2014

      22 변종헌, "대학 통일교육의 역설과 활성화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303-325, 2010

      23 배진석, "대북 및 안보정책 평가의 세대 및 이념요인" 극동문제연구소 34 (34): 99-135, 2018

      24 Graaf, Nan Dirk De, "Why are the young more postmaterialist? A cross-national analysis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postmaterial values" 28 (28): 608-635, 1996

      25 Inglehart, Ronald, "Measuring postmaterialism" 93 (93): 665-677, 1999

      26 Dalton, R. J., "Citizen politics: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parties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Washington 2013

      27 변종헌,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통일연구원 21 (21): 157-186, 2012

      28 윤성이, "20대 청년세대들의 남북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기 위한 변인 탐색: 의사결정 나무 예측 모형의 적용" 한국청소년학회 26 (26): 361-388, 2019

      29 정동준,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한국정치학회 50 (50): 131-16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연구원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19 1.24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