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해혁명 이후 중국 東北地域 토지 문제를 둘러싼 갈등, 1911~1932 = Land Problems and Ethnic Conflicts of Northeast China After the Chinese Revolution, 1911~193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1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s eastern provinces were organized into China’s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erms of their territorial scope, but after 1911 Revolution, conflicts for the national interests of East Asian countries and ethnic conflicts arose sharply over their leadership in the reg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and comparison of the historical subjects of the Manchus-Han-Korean-Japanese who coexisted in the same reg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for these ethnic groups to establish a long-term base in northeastern China,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n economic foundation above all else. Their immediate task was not only to acquire and reclaim land that mainly focused on agriculture, but also to establish a facility construction sit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es along with Japan’s full-fledged advancement.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each national subject surrounding thi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nd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is cannot be simplified simply by conflict, invasion and resistance of imperialism.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in northeastern Chin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East Asia and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sis beyond the existing dichotomous confrontation on the cause of ethnic conflict.
      번역하기

      China’s eastern provinces were organized into China’s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erms of their territorial scope, but after 1911 Revolution, conflicts for the national interests of East Asian countries and ethnic conflicts arose sharply over the...

      China’s eastern provinces were organized into China’s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erms of their territorial scope, but after 1911 Revolution, conflicts for the national interests of East Asian countries and ethnic conflicts arose sharply over their leadership in the reg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and comparison of the historical subjects of the Manchus-Han-Korean-Japanese who coexisted in the same reg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for these ethnic groups to establish a long-term base in northeastern China,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n economic foundation above all else. Their immediate task was not only to acquire and reclaim land that mainly focused on agriculture, but also to establish a facility construction sit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es along with Japan’s full-fledged advancement.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each national subject surrounding thi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nd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is cannot be simplified simply by conflict, invasion and resistance of imperialism.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in northeastern Chin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East Asia and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sis beyond the existing dichotomous confrontation on the cause of ethnic confli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東北地域은 영토 범위상 중국의 행정구역으로 편제되어 있었으나, 辛亥革命 이후 이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동아시아 각국의 국익을 위한 대립, 민족간 갈등 등이 첨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동시기에같은 지역에서 공존하고 있었던 만주족 ‒ 한족 ‒ 朝鮮人‒ 日本人에 대한 연관과 비교 차원의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들 민족이 중국 동북 지역에 장기적인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제적 기반의 구축이 필요하였다. 기존에 존재하였던 농업을 주 목적으로 하는 토지 취득과 개간 뿐만 아니라, 일본의본격적 진출과 더불어 근대 산업 발전을 위한 시설 건설 부지의 마련 역시 이들의 당면과제였다. 본고에서는이를 둘러싼 각 민족 주체들의 활동을 그들의 정치·사회적 지위 구축과 더불어 고찰하고, 이는 단순히 만한갈등, 혹은 제국주의의 침략과 저항 등으로 단순화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당시 중국 동북지역의 상황을 동아시아 지역사적 시각에서 재구성하여, 민족간 갈등의 발생 원인에 대해 기존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벗어난 분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중국의 東北地域은 영토 범위상 중국의 행정구역으로 편제되어 있었으나, 辛亥革命 이후 이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동아시아 각국의 국익을 위한 대립, 민족간 갈등 등이 첨예하게 ...

      중국의 東北地域은 영토 범위상 중국의 행정구역으로 편제되어 있었으나, 辛亥革命 이후 이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동아시아 각국의 국익을 위한 대립, 민족간 갈등 등이 첨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동시기에같은 지역에서 공존하고 있었던 만주족 ‒ 한족 ‒ 朝鮮人‒ 日本人에 대한 연관과 비교 차원의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들 민족이 중국 동북 지역에 장기적인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제적 기반의 구축이 필요하였다. 기존에 존재하였던 농업을 주 목적으로 하는 토지 취득과 개간 뿐만 아니라, 일본의본격적 진출과 더불어 근대 산업 발전을 위한 시설 건설 부지의 마련 역시 이들의 당면과제였다. 본고에서는이를 둘러싼 각 민족 주체들의 활동을 그들의 정치·사회적 지위 구축과 더불어 고찰하고, 이는 단순히 만한갈등, 혹은 제국주의의 침략과 저항 등으로 단순화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당시 중국 동북지역의 상황을 동아시아 지역사적 시각에서 재구성하여, 민족간 갈등의 발생 원인에 대해 기존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벗어난 분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우, "지역조사와 식민지의 경계지대 —­1919년 전후 동척과 조선은행의 간도조사—" 만주학회 (26) : 163-198, 2018

      2 윤휘탁, "변지에서 내지로 ‒ 중국인 이민과 만주(국)" 16 : 2001

      3 이명종,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 한양대학교출판부 2018

      4 常書紅, "辛亥革命前後的滿族研究:以滿漢關系爲中心"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1

      5 윤욱, "琿春 旗地의 소유와 운영, 1879-1931" 국학연구원 (184) : 149-182, 2018

      6 賴惠敏, "淸代的皇權與世家" 北京大學出版社 2010

      7 衣保中, "淸代滿洲土地制度硏究" 吉林文史出版社 1992

      8 印鑄局官書課編校, "法令全書-中華民國十四年第四期" 印鑄局 1935

      9 刁書仁, "東北旗地硏究" 民族出版社 1994

      10 郭保琳, "東三省農林墾務調査書" 不詳 1915

      1 조정우, "지역조사와 식민지의 경계지대 —­1919년 전후 동척과 조선은행의 간도조사—" 만주학회 (26) : 163-198, 2018

      2 윤휘탁, "변지에서 내지로 ‒ 중국인 이민과 만주(국)" 16 : 2001

      3 이명종,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 한양대학교출판부 2018

      4 常書紅, "辛亥革命前後的滿族研究:以滿漢關系爲中心"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1

      5 윤욱, "琿春 旗地의 소유와 운영, 1879-1931" 국학연구원 (184) : 149-182, 2018

      6 賴惠敏, "淸代的皇權與世家" 北京大學出版社 2010

      7 衣保中, "淸代滿洲土地制度硏究" 吉林文史出版社 1992

      8 印鑄局官書課編校, "法令全書-中華民國十四年第四期" 印鑄局 1935

      9 刁書仁, "東北旗地硏究" 民族出版社 1994

      10 郭保琳, "東三省農林墾務調査書" 不詳 1915

      11 天海謙三郎, "支那土地問題に関する調査資料" 南滿洲鉄道調査部 1937

      12 滿洲國民政部土地局, "土地関係舊法規"

      13 王立群, "北洋時期京直地區旗地莊頭考述" (2) : 2012

      14 윤욱, "“二等公民” 擡頭 下의 琿春 ― 滿洲國 時期 朝鮮人의 社會的 地位의 提高 ―" 동양사학회 (136) : 165-204, 2016

      15 山口省三, "(秘)滿蒙の米作と移住鮮農問題" 東洋協會 19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